우보 ()

고대사
제도
삼국시대 고구려 초기의 고위 관직.
제도/관직
설치 시기
25년(대무신왕 8)
폐지 시기
166년(신대왕 2)
내용 요약

우보(右輔)는 삼국시대 고구려 초기의 고위 관직이다. 25년(대무신왕 8) 을두지가 우보로 임명되는 기사에 최초로 등장한다. 이후 166년(신대왕 2) 좌보와 우보를 최고위 관직인 국상으로 개편할 때까지 유지되었다. 우보의 성격과 관련하여서는 왕권과 밀접한 측근 세력이 임명된 것으로 보기도 하고, 혹은 계루부와 나부 출신의 대표자가 좌보와 우보를 나눠 맡으면서 공동정치 운영방식을 구현한 것으로 보는 견해도 있다.

정의
삼국시대 고구려 초기의 고위 관직.
설치 목적

『삼국사기』 고구려본기에 따르면, 25년( 대무신왕 8) 을두지가 우보로 임명되는 기사에 최초로 등장한다. 우보의 기원에 대해서는 대체로 계루부 왕권의 성장 과정에서 기존 대보 관직이 좌보와 우보로 분화하면서 설치된 것으로 보지만, 주1의 좌 · 우현왕 또는 좌 · 우골도후의 사례를 들어 유목적 전통에서 기원을 찾기도 한다.

임무와 직능

우보의 성격에 대해서는 왕권과 밀접한 측근 세력이 임명된 것으로 보기도 하고, 혹은 계루부와 나부 출신의 대표자가 좌보와 우보를 나눠 맡으면서 공동 정치 운영방식을 구현한 것으로 보기도 한다. 우보와 좌보에는 주로 대가(大加)급이 임명되었으며, 우보였던 을두지가 좌보로 승진하는 사례를 통해 서열상 좌보보다 하위 관직임을 알 수 있다.

설치 초기에는 대체로 주2이었던 것으로 파악되나, 왕권이 강화되면서 사망과 관계 없이 교체되는 현상을 보인다. 우보의 직능에 대해서는 군국지사(軍國之事) 혹은 병마지사(兵馬之事)와 관련하여 설명하는데, 이와 달리 왕을 보좌하는 측근으로 볼 뿐 고유업무가 없었다는 견해도 있다.

변천사항

우보와 좌보는 유리왕협보가 역임한 대보에서 분화된 것으로 추정한다. 이후 166년( 신대왕 2)에 좌보와 우보를 최고위 관직인 국상으로 개편할 때까지 유지되었다.

의의 및 평가

우보와 관련한 기록은 중국측 사서에는 나타나지 않는다. 『 삼국사기』 직관지에서는 『고기(古記)』를 인용하여 수록하였다. 한편, 백제에도 서기전 17년(온조왕 2)부터 우보 임명 기사가 나오고 있는데, 고구려와 마찬가지로 고위직 역할을 하였다.

참고문헌

원전

『삼국사기(三國史記)』

단행본

여호규, 『고구려 초기 정치사 연구』(신서원, 2014)
임기환, 『고구려 정치사 연구』(한나래, 2004)

논문

조영광, 「부여, 고구려 사회의 북방문화적 요소에 대하여」(『동양학』 66, 단국대학교 동양학연구원, 2017)
조영광, 「고구려 좌, 우보의 기원과 성격」(『선사와 고대』 50, 한국고대학회, 2016)
김현숙, 「고구려 전기 나부통치체제의 운영과 변화」(『역사교육논집』 20, 한국역사교육학회, 1995)
노중국, 「고구려국상고」(『한국학보』 16·17, 일지사, 1979)
주석
주1

중국의 이민족인 오호(五胡) 가운데 진(秦)나라ㆍ한(漢)나라 때에 몽골고원에서 활약하던 기마 민족. 기원전 3세기 말에, 묵돌 선우가 모든 부족을 통일하여 북아시아 최초의 유목 국가를 건설하고, 최성기(最盛期)를 맞이하였으나, 한나라 무제의 잦은 침공으로 쇠약해져, 1세기경 남북으로 분열되었다.    우리말샘

주2

평생 동안 일할 수 있는 직위. 유죄 선고 또는 징계 처분에 의하거나 스스로 그만두지 않는 한, 면직되지 않고 평생 계속한다.    우리말샘

• 본 항목의 내용은 관계 분야 전문가의 추천을 거쳐 선정된 집필자의 학술적 견해로, 한국학중앙연구원의 공식 입장과 다를 수 있습니다.

•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은 공공저작물로서 공공누리 제도에 따라 이용 가능합니다. 백과사전 내용 중 글을 인용하고자 할 때는 '[출처: 항목명 -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과 같이 출처 표기를 하여야 합니다.

• 단, 미디어 자료는 자유 이용 가능한 자료에 개별적으로 공공누리 표시를 부착하고 있으므로, 이를 확인하신 후 이용하시기 바랍니다.
미디어ID
저작권
촬영지
주제어
사진크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