바보사위설화 (바보사위)

구비문학
작품
어리숙한 신랑이 아내에게 교육 받은 언행을 상황에 맞지 않게 하여 웃음을 유발하는 내용의 민담.
이칭
이칭
바보 신랑 설화
내용 요약

「바보사위설화」는 어리숙한 신랑이 아내에게 교육 받은 언행을 상황에 맞지 않게 하여 웃음을 유발하는 내용의 민담이다. 소화(笑話) 중 치우담(痴愚譚)에 속하며, ‘치서 설화(癡壻說話)’ · ‘바보 신랑 설화’라고도 한다. 이 설화는 남편의 우둔함을 드러내어, 도덕적 규범에 순종해야 하는 삶에서 일어나는 긴장을 웃음으로 해소한다. 「바보사위설화」는 성현(成俔)의 『용재총화』, 중국 문헌 『태평광기(太平廣記)』에도 소개되어 있어 문헌 설화로서의 성격도 지닌다.

정의
어리숙한 신랑이 아내에게 교육 받은 언행을 상황에 맞지 않게 하여 웃음을 유발하는 내용의 민담.
개설

소화(笑話)치우담(痴愚譚)에 속하며, ‘치서 설화(癡壻說話)’ · ‘바보 신랑 설화’라고도 한다. 전국적으로 널리 전승되고 있는 구전 설화이다.

내용

어느 바보 사위가 인사법도 몰랐다. 아내가 바보 남편과 친정에 가면서 남편이 망신당하지 않도록, 주1에 줄을 달아, 잡아당기는 횟수에 따라 인사말을 하도록 가르쳤다. 신랑은 그 말을 좇아서 인사를 잘 치르게 되어 장인의 인정을 받았다. 그런데 아내가 급한 일로 줄에다 명태를 매어 두고 나갔는데, 그 사이에 고양이가 와서 명태를 물고 계속 잡아당겼다. 신랑은 고양이가 잡아당기는 대로 “진지 잡수시오.”, “연초 잡수시오.”를 연발하여 큰 실수를 하고 말았다.

유형과 전승

「바보사위설화」는 바보 사위의 어리석은 행동 상황과 행동 방식에 따라서 다양한 유형의 삽화가 존재한다. 문안드리면서 벌이는 사위의 어리석은 행동, 첫날밤에 동치미를 먹으려다 벌이는 어리석은 행동, 처가를 잊어버려 벌이는 어리석은 행동, 음식 먹는 방식을 잘 몰라서 벌이는 어리석은 행동, 주4 가서 벌이는 어리석은 행동 등이 있다. 설화 유형에 따라서 바보 사위의 비정상적인 행위가 다양하게 구현된다.

이 설화는 구전 전승뿐만 아니라 문헌을 통한 기록 전승도 이루어진다. 우리나라 필기 잡록류(筆記雜錄類)에 속하는 성현(成俔)『용재총화』 권 5에 수록된 설화는 어느 바보 사위가 자신을 시험하는 장인의 물음에 아내에게 교육 받은 대로 말하여 위기를 넘겼으나 이후 장인의 병문안에서 상황에 맞지 언행으로 웃음을 유발하는 내용이다. 중국 문헌 주5 권 262에도 같은 종류의 설화가 수록되어 있다.

의의 및 평가

「바보사위설화」는 남편의 우둔함을 드러내어, 도덕적 규범에 순종해야 하는 삶에서 일어나는 긴장을 웃음으로 해소한다. 또한 성인으로 독립할 수 없는 미성숙한 사람도 관습적으로 강제 독립시킴으로써 발생하는 사회적 관습의 부작용을 상기시키는 의미도 있다.

「바보사위설화」는 구전 설화와 문헌 설화의 상관성, 한국과 중국, 일본 설화와의 영향 관계와 특성을 파악할 수 있는 자료적 가치를 지닌다. 일례로 우리나라의 설화에는 바보 남편에 대해 안타까워하는 아내의 심성과 해학성이 부각되며, 우리 고유한 도덕적 규범 사회의 단면이 반영되어 있다. 또한 혼례, 상례 등 일생 의례에서 범하는 바보 사위의 실수를 통한 민속 문화의 교육적 자료로도 활용이 가능하다.

참고문헌

원전

『태평광기(太平廣記)』
『용재총화(慵齋叢話)』
손진태, 『조선민족설화의 연구』(을유문화사, 1947)
『국역대동야승』Ⅰ(민족문화추진위원회, 1971)
임동권, 『한국의 민담』(서문당, 1972)
『한국구비문학대계』(한국정신문화연구원, 1980∼1986)

단행본

김현룡, 『한중소설설화비교연구』(일지사, 1976)
조희웅, 『한국설화의 유형적연구』(한국연구원, 1983)

논문

강성숙, 「<바보사위> 설화 연구」(『한국고전여성문학연구』 13, 한국고전여성문학회, 2006)
김교봉, 「바보사위설화의 희극미와 그 의미」(『민속어문논총』, 계명대학교 출판부, 1983)
김복순, 「한국 바보민담 연구」(강원대학교 박사학위논문, 2008)
이강엽, 「禮樂으로 본 바보사위담」(『한국민속학』 44, 한국민속학회, 2006)
주석
주1

포유류 수컷의 음경 기부에 있어 정소, 부정소 등을 내부에 함유하는 주머니처럼 생긴 것. 우리말샘

주2

어떤 이야기나 사건의 줄거리에 끼인 짤막한 토막 이야기. 우리말샘

주4

남의 죽음에 대하여 슬퍼하는 뜻을 드러내어 상주(喪主)를 위문함. 또는 그 위문. 우리말샘

주5

중국 송나라의 태평흥국 2년(977)에 이방(李昉) 등 12명이 황제의 명에 따라 편집한 중국 설화집. 한(漢)나라로부터 오대(五代)에 이르기까지의 설화, 소설, 전기, 야사 따위를 종류에 따라 92항목으로 정리ㆍ분류하여 수록하고 출전을 밝혔다. 500권. 우리말샘

주6

해학적인 성질. 또는 그런 특성. 우리말샘

집필자
박현숙(건국대학교 강사, 구비문학)
    • 본 항목의 내용은 관계 분야 전문가의 추천을 거쳐 선정된 집필자의 학술적 견해로, 한국학중앙연구원의 공식 입장과 다를 수 있습니다.

    •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은 공공저작물로서 공공누리 제도에 따라 이용 가능합니다. 백과사전 내용 중 글을 인용하고자 할 때는 '[출처: 항목명 -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과 같이 출처 표기를 하여야 합니다.

    • 단, 미디어 자료는 자유 이용 가능한 자료에 개별적으로 공공누리 표시를 부착하고 있으므로, 이를 확인하신 후 이용하시기 바랍니다.
    미디어ID
    저작권
    촬영지
    주제어
    사진크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