발가락이 닮았다

현대문학
작품
1932년, 김동인(金東仁)이 『동광(東光)』에 발표한 단편소설.
작품/문학
발표 연도
1932
간행 연도
1932
작가
김동인
• 본 항목의 내용은 해당 분야 전문가의 추천을 통해 선정된 집필자의 학술적 견해로 한국학중앙연구원의 공식입장과 다를 수 있습니다.
내용 요약

「발가락이 닮았다」는 김동인이 『동광(東光)』에 발표한 단편소설이다. 소설의 중심인물 M은 학생 시절 방탕한 생활을 거듭하다가 생식 능력을 잃고 만다. 의사인 ‘나’는 M의 아내가 임신했다는 소식을 듣고 이전 자신을 찾아온 M의 심정을 이해한다. M은 반년쯤 지났을 때 나에게 아이를 데려와 아이의 발가락이 자신의 그것과 꼭 닮았다고 말한다. 소설이 발표된 후 김동인과 염상섭은 소설의 모델을 둘러싼 논쟁을 펼치기도 하였다. 이 소설에서 김동인의 자연주의적 수법 근간에 자리 잡은 휴머니즘이 드러난다는 점에서도 주목할 필요가 있다.

정의
1932년, 김동인(金東仁)이 『동광(東光)』에 발표한 단편소설.
개설

「발가락이 닮았다」는 1932년 1월 『동광(東光)』 29호에 발표된 김동인단편소설이다. 소설이 발표된 후 문단에서는 「발가락이 닮았다」가 염상섭을 모델로 한 소설이라는 소문이 퍼지게 되어 김동인과 염상섭은 『조선일보』를 지면으로 하여 논쟁을 펼치게 된다.

내용

「발가락이 닮았다」의 중심인물은 ‘M’인데, 그는 작은 회사에 다니는 가난한 월급쟁이이다. 서른두 살이 되도록 혼인을 하지 못해 노총각이라는 소리 역시 듣는 인물이다. M은 학생 시절부터 대단히 방탕한 생활을 거듭해 왔다. 성욕을 이기지 못해 주1을 자주 찾다가 결국 성병으로 인해 생식 능력을 잃고 만다.

어느 날 M이 의사인 ‘나’를 찾아와 자신의 생식 능력 여부를 묻고 가는데, 그 며칠 후 M이 친구들 몰래 혼인을 했다는 소식이 들려온다. 결혼한 지 2년이 거의 다 된 어느 날 나를 찾아온 M은 침통해 하며 생식 능력 여부를 검사하겠다는 말을 한다. 며칠 후 나는 M의 아내가 임신했다는 소식을 듣고 매우 놀라는 한편 자신을 찾아온 M의 심정을 이해한다.

M은 두 번이나 검사를 하겠다고 병원에 찾아와서는 막상 검사는 받지 않고 그냥 돌아간다. 나는 아마도 M이 아내의 부정에 대한 의혹이 사실화되고 자신의 지난날의 과오가 드러날까 두려운 마음에 그랬을 것이라고 생각한다. 아내가 아들을 낳고 반년쯤 지났을 때 M이 기관지가 약한 아이를 안고 나를 찾아온다.

M은 아들이 자신의 증조부(曾祖父)를 닮았으며, 가운뎃발가락이 가장 긴 아이의 발가락이 자신의 그것과 꼭 닮았다고 말한다. 나는 M의 말속에 담긴 마음과 노력에 동정을 느끼며 발가락뿐만 아니라 얼굴도 닮았다고 얘기해 준다. 그러면서 나는 M의 의혹과 희망이 섞인 시선을 피하기 위해 고개를 돌린다.

의의와 평가

『동광』은 1926년 5월 20일 ‘ 수양동우회’의 주2적 성격을 띠고 창간된 잡지였는데, 「발가락이 닮았다」가 발표되었을 당시 편집인 겸 발행인은 주요한이 맡고 있었다. 주요한과 김동인은 1919년 문예 주3 『창조』를 창간할 때 주도적인 역할을 맡는 등 막역한 사이였다. 김동인이 주요한의 원고 청탁을 수락한 후 「발가락이 닮았다」를 발표한 것도 이러한 상황에 따른 것이었다.

그런데 「발가락이 닮았다」가 발표된 후 문단을 중심으로 중심인물 M이 염상섭을 모델로 했다는 소문이 퍼져 나갔다. 1932년 2월 6일부터 같은 달 26일까지 『조선일보』를 지면으로 이루어진 김동인(「나의 변명-「발가락이 닮았다」에 대하여」)과 염상섭(「소위 모델 문제」)의 논쟁 역시 「발가락이 닮았다」의 모델을 둘러싼 것이었다.

하지만 논쟁과는 별개로 「발가락이 닮았다」는 김동인의 자연주의적 수법 근간에 자리 잡은 주4이 드러난다는 점에 주목할 필요가 있다. 즉, M에 대한 의사인 나의 고찰은 주5적인 방법에 의하여 해부적으로 현상을 포착한 것이지만, 나는 결국 “발가락뿐 아니라 얼굴도 닮은 데가 있네.”라고 말함으로써 그의 해부적 수법으로 세계를 인식하려는 태도와는 주6되는 정신으로 M을 구원하는데, 이는 곧 휴머니티의 주7라고 할 수 있는 것이다.

참고문헌

단행본

김열규, 신동욱 편, 『김동인연구』 (새문사, 1982)
김윤식, 『김동인 연구』 (민음사, 1987)

논문

조윤정, 「김동인 소설과 위반의 미학」 (『돈암어문학』 27, 돈암어문학회, 2014)
주석
주1

많은 창녀를 두고 매음 영업을 하는 집. 또는 그런 집이 모여 있는 곳. 우리말샘

주2

특정한 개인이나 조직, 단체 따위가 추구하는 정신이나 이념 따위를 널리 펴기 위하여 발행하는 잡지. 우리말샘

주3

사상, 취미, 경향 따위가 같은 사람들끼리 모여 편집ㆍ발행하는 잡지. 우리말샘

주4

인간의 존엄성을 최고의 가치로 여기고 인종, 민족, 국가, 종교 따위의 차이를 초월하여 인류의 안녕과 복지를 꾀하는 것을 이상으로 하는 사상이나 태도. 우리말샘

주5

진리를 구체적인 경험에 입각하여 추구하려는 태도. 우리말샘

주6

서로 반대로 되어 어그러지거나 어긋남. 우리말샘

주7

숨은 것이 겉으로 드러나거나 숨은 것을 겉으로 드러냄. 또는 그런 것. 우리말샘

관련 미디어 (1)
• 항목 내용은 해당 분야 전문가의 추천을 거쳐 선정된 집필자의 학술적 견해로, 한국학중앙연구원의 공식입장과 다를 수 있습니다.
• 사실과 다른 내용, 주관적 서술 문제 등이 제기된 경우 사실 확인 및 보완 등을 위해 해당 항목 서비스가 임시 중단될 수 있습니다.
•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은 공공저작물로서 공공누리 제도에 따라 이용 가능합니다. 백과사전 내용 중 글을 인용하고자 할 때는
   '[출처: 항목명 -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과 같이 출처 표기를 하여야 합니다.
• 단, 미디어 자료는 자유 이용 가능한 자료에 개별적으로 공공누리 표시를 부착하고 있으므로, 이를 확인하신 후 이용하시기 바랍니다.
미디어ID
저작권
촬영지
주제어
사진크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