배첩장 ()

목차
회화
개념
서화와 자수의 미적 가치와 실용성, 보존성을 높이기 위해 족자, 액자, 병풍, 서첩 등으로 꾸미는 일 또는 그 일에 종사하는 장인. 표구장.
이칭
이칭
표구장
목차
정의
서화와 자수의 미적 가치와 실용성, 보존성을 높이기 위해 족자, 액자, 병풍, 서첩 등으로 꾸미는 일 또는 그 일에 종사하는 장인. 표구장.
개설

1996년 국가무형문화재로 지정되었다. 배첩(褙貼)은 새 작품뿐만 아니라 낡거나 훼손된 작품을 짜깁기나 가필(加筆) 등의 방법을 통해 원형에 가깝게 복원하는 작업까지 포함한다. 『조선왕조실록』을 위시한 옛 문헌을 통해 배첩 외에 장황(粧䌙, 裝潢), 장배(裝褙), 장표(裝縹) 등의 용어으로도 사용되었음이 확인된다. 그러나 일제강점기에 표구(表具)라는 용어가 수입되어 우리나라 곳곳에 표구점이 자리잡음에 따라 일반인들에게는 표구라는 말로 더 알려져 있다.

내용

배첩장은 조선시대 공조(工曹)에 2인, 상의원(尙衣院)에 4인, 도화서(圖畵署)에 2인이 배정되어 어진(御眞), 서화, 서적의 배첩뿐 아니라 복식류의 자수와 같은 장식품도 담당하였다.

배첩의 기본 재료는 풀, 종이[韓紙], 비단, 목재, 금속 장식이며, 축(軸)의 재료로는 나무 외에도 옥(玉) 또는 짐승의 뿔을 사용하였다. 배첩할 때 종이와 비단의 선택도 중요하지만 좋은 날씨에 배첩을 하는 것도 성패의 중요한 관건이 되었다. 또 고서화를 수리할 경우 풀에 의해 곰팡이가 피는 경우가 많아 이를 방지하기 위한 다양한 종류의 풀 쑤는 방법이 전해 내려왔다. 현재 우리나라의 배첩장들은 7년간 물에 삭힌 밀가루를 섞어 풀을 쑤는 방법을 사용하고 있다.

배첩 작업은 배접(褙接)·회장(回裝)·보수(補修)의 3단계로 나눌 수 있다. 배접에는 틀배접, 주지배접, 비단배접, 색지배접, 주지에 윤선붙이기, 표지의 비단배접 등이 있다. 회장 작업에는 족자(주지의 사위를 비단으로 꾸며주는 작업), 가접이, 주머니 붙이기, 온배접, 수지칠하고 문지르기, 병풍 돌쩌귀 달기, 병풍에 주지붙이기 등이 있다.

보수 작업은 유물의 원형을 살려야 하므로 원본과 같은 재료를 사용해 수리해야 한다. 그 과정은 분해·가배접·세탁·배접·수정(修整) 작업의 순으로 진행된다.

현황

현재 국가무형문화재 배첩장 기능보유자로서 서울의 김표영(金杓永)이 지정되었다.

참고문헌

『꾸밈과 갖춤의 예술, 장황』(국립고궁박물관, 2008)
『공장』(고려대학교 민족문화연구소, 1982)
『국역대전회통』(고려대학교 민족문화연구소, 1975)
「조선후기 서화 장황 연구 –병풍․족자를 중심으로-」(이진희, 홍익대학교 석사학위논문, 2004)
집필자
김삼대자
    • 본 항목의 내용은 관계 분야 전문가의 추천을 거쳐 선정된 집필자의 학술적 견해로, 한국학중앙연구원의 공식 입장과 다를 수 있습니다.

    •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은 공공저작물로서 공공누리 제도에 따라 이용 가능합니다. 백과사전 내용 중 글을 인용하고자 할 때는 '[출처: 항목명 -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과 같이 출처 표기를 하여야 합니다.

    • 단, 미디어 자료는 자유 이용 가능한 자료에 개별적으로 공공누리 표시를 부착하고 있으므로, 이를 확인하신 후 이용하시기 바랍니다.
    미디어ID
    저작권
    촬영지
    주제어
    사진크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