법계도기총수록 ()

불교
문헌
남북국시대 통일신라 때 의상이 지은 『일승법계도』 원문을 싣고 이에 대한 신라 시대 주석서 및 관련 문헌을 나누어 수록한 불교 주석서.
이칭
약칭
총수록
문헌/고서
편찬 시기
10세기 후반~13세기 중반
저자
의상(義湘), 의상의 문손(門孫)들
편자
천기(天其)로 추정
권책수
4권
판본
목판본
표제
법계도기총수록
• 본 항목의 내용은 해당 분야 전문가의 추천을 통해 선정된 집필자의 학술적 견해로 한국학중앙연구원의 공식입장과 다를 수 있습니다.
내용 요약

『법계도기총수록(法界圖記叢髓錄)』은 의상(義湘, 625~702)이 쓴 『일승법계도(一乘法界圖)』와 이에 대한 의상 문손(門孫)들의 해석 및 이를 이해하는 데 도움이 될 만한 문헌의 구절을 수록한 책이다. 편자는 미상이고 현재 존재하는 판본의 목판은 1254년(고종 41)에 『고려대장경』의 보유판(補遺版)으로 대장도감(大藏都監)에서 개판(開板)된 것이다.

정의
남북국시대 통일신라 때 의상이 지은 『일승법계도』 원문을 싣고 이에 대한 신라 시대 주석서 및 관련 문헌을 나누어 수록한 불교 주석서.
개설

『법계도기총수록(法界圖記叢髓錄)』은 의상(義湘, 625~702)의 『일승법계도(一乘法界圖)』와 이에 대해 의상의 문손(門孫)들이 한 해석, 이를 이해하는 데 도움이 될 만한 문헌의 구절을 수록한 책이다. 편자는 미상이나, 13세기 중반에 『고려대장경(高麗大藏經)』 재조장경(再雕藏經)의 간행에 관여했던 천기(天其)를 중심으로 편찬되었을 것이라는 견해가 있다. 현재 존재하는 목판은 1254년(고종 41)에 『고려대장경』의 보유판(補遺版)으로서 대장도감(大藏都監)에서 개판(開板)된 것이다.

서지적 사항

『법계도기총수록』은 상 · 하 각 2권, 총 4권으로 구성된 목판본이다. 『고려대장경』 권45, 『대정신수대장경』 권45, 『한국불교전서』 제6책 등에 수록되어 있으며, 모두 『고려대장경』 보유판에서 인출된 판본이다. 이 판본 이전에 『법계도기총수록』이 유통된 상황에 대한 기록은 없다. 이 책이 편찬된 시기는 책의 인용 문헌에 균여의 저술이 보이므로 위로는 균여가 저술 활동을 한 10세기 후반부터 아래로는 『고려대장경』 보유판이 만들어진 13세기 중엽까지로 추정한다.

내용

『법계도기총수록』은 『일승법계도』의 원문을 싣고, 다음에 「법융기(法融記)」 · 「진수기(眞秀記)」 · 「대기(大記)」 등 신라시대 주석서의 해석을 싣고 있다. 「법융기」는 법융(法融)이 쓴 주석서로 추정되며, 총 47회 수록되어 있다. 법융은 의상(義湘), 상원(相元), 신림(神琳), 법융으로 계승되는 의상의 문손이다. 「진수기」는 24회 수록되어 있는데, 그 저자로 생각되는 진수가 누구인지는 알 수 없다. 또 「대기」는 54회 수록되어 있는데, 마찬가지로 누구의 저술인지 알 수 없다.

이 책은 『일승법계도』의 내용을 네 단락으로 나누어서 상권의 1에 『일승법계도』의 대의(大意)와 법계도인(法界圖印)에 대한 해설을 수록하였다. 상권의 2에는 석문(釋文) 중에 총석인의(總釋印意) 전체와 별행인상(別行印相) 중의 인문상(印文相)과 자상(字相)을 수록하였고, 상권의 3에는 석문의(釋文意) 중의 자리행(自利行), 이타행(利他行)과 수행 방편까지가 실려 있다. 상권의 4에는 득이익(得利益)과 총결(總結)에 대한 해석을 수록하였다.

『법계도기총수록』에 수록된 『일승법계도』 원문의 제목은 ‘일승법계도합시일인오십사각이백일십자(一乘法界圖合詩一印五十四角二百一十字)’이다. 『법계도기총수록』에 수록되어 있는 『일승법계도』와 일본에서 유통된 사본을 저본(底本)으로 하는 『대정신수대장경』 권45, 『한국불교전서』 제2책본의 『화엄일승법계도』는 서로 다른 부분이 적지 않다. 그중 『법계도기총수록』에 수록된 『일승법계도』는 오탈자와 누락된 부분이 상대적으로 적다.

본서에 수록된 주석서들은 의상과 직계 제자들 사이의 문답을 비롯하여 2대, 3대, 4대에 이르는 의상대사 문손들의 『법계도』를 통한 화엄(華嚴) 교학 연찬(硏鑽)을 보여줌으로써, 신라 말에 이르기까지 의상의 화엄사상이 활발하게 연마되고 계승되었음을 보여준다. 특히 본서에 나오는 『도신장(道身章)』은 의상의 제자인 도신(道身)이 의상의 강의 내용을 수록한 것이고, 『지통기(智通記)』는 역시 의상의 제자인 지통(智通)이 의상의 강의를 필기한 것으로 『추동기(錐洞記)』로 알려진 중요한 저술이다. 그 밖에 『자체불관론(自體佛觀論)』 · 『간의장(簡義章)』 · 『관석(觀釋)』 등 신라의 화엄 관련 저술이 많이 인용되어 있어, 『법계도기총수록』은 자료적 가치가 높다.

의의와 평가

이 책을 통해서 『일승법계도』에 대한 연구가 의상 이후로도 지속적으로 계승되었음을 알 수 있다. 또한 『법계도기총수록』은 의상과 그 문손들의 화엄 관련 저술들이 다수 인용되어 있어 신라 화엄사상의 전체적인 면모를 이해하는 데 큰 도움이 된다.

참고문헌

원전

동국대학교 한국불교전서편찬위원회, 『한국불교전서』 제6책(동국대학교 출판부, 1989)
해주 옮김, 『법계도기총수록(法界圖記叢髓錄)』(동국대학교 출판부, 2014)

단행본

논문

전해주, 「법계도기총수록에 나타난 의상의 성기사상」(『석림』 23, 1990)
정승석 편, 「화엄일승법계도」(『불전해설사전』, 민족사, 1989)

인터넷 자료

기타 자료

관련 미디어 (2)
• 항목 내용은 해당 분야 전문가의 추천을 거쳐 선정된 집필자의 학술적 견해로, 한국학중앙연구원의 공식입장과 다를 수 있습니다.
• 사실과 다른 내용, 주관적 서술 문제 등이 제기된 경우 사실 확인 및 보완 등을 위해 해당 항목 서비스가 임시 중단될 수 있습니다.
•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은 공공저작물로서 공공누리 제도에 따라 이용 가능합니다. 백과사전 내용 중 글을 인용하고자 할 때는
   '[출처: 항목명 -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과 같이 출처 표기를 하여야 합니다.
• 단, 미디어 자료는 자유 이용 가능한 자료에 개별적으로 공공누리 표시를 부착하고 있으므로, 이를 확인하신 후 이용하시기 바랍니다.
미디어ID
저작권
촬영지
주제어
사진크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