보성 우천리 삼층석탑 ( )

보성 우천리 삼층석탑 후측면
보성 우천리 삼층석탑 후측면
건축
유적
문화재
전라남도 보성군 조성면에 있는 남북국시대 통일신라의 단층기단 형태의 석조 불탑. 보물.
정의
전라남도 보성군 조성면에 있는 남북국시대 통일신라의 단층기단 형태의 석조 불탑. 보물.
개설

1988년 보물로 지정되었다. 벌교에서 보성으로 가는 국도변 우천리 대동마을 초입에 있다. 탑은 하층 기단을 생략한 단층기단에 삼층의 탑신을 지닌 석탑으로 9세기 이후 전국적으로 유행한 단층기단석탑 양식을 잘 보여주고 있다.

역사적 변천

우천리사지는 오랜 경작과 2번 국도 개설시 다수의 석재 등이 유실되어 탑을 제외하면 사찰의 흔적을 찾기 어렵다. 또한 원래 사찰에 대한 문헌 기록도 남아 있지 않아 절 이름을 추정할 수 없다. 그러나 마을 사람들의 구전에 의하면, 벌교읍 징광리에 있었던 징광사(澄光寺)의 말사였다고 한다. 1900년대 초 발간된 『사탑고적고(寺塔古蹟攷)』에는 이 석탑을 ‘13척 높이의 오층석탑’이라고 기록되어 있으나, 층수에 오기가 있었던 것으로 보인다. 이후 1970년과 1985년 수리가 있었고 1988년 전라남도 유형문화재에서 보물로 승격, 지정되었다.

내용

석탑의 지대석은 4매의 장대석을 엇물림하여 마련하였는데, 상면에 2단의 괴임을 두어 기단면석을 받치고 있다. 기단면석은 4매의 판석으로 엇물림 결구하였다. 면석은 각 면 중앙에 1주의 탱주를 두었고 모서리에도 우주를 두었다. 갑석은 4매로 되어 있는데 갑석의 기울기는 완만한 편이며 아래쪽에 1단의 갑석부연을 두었고, 상면에는 낮게 2단의 괴임을 두어 탑신을 받치고 있다. 탑신부는 3층으로 몸돌(또는 옥신)과 옥개석이 각각 1돌로 총 6매로 구성되었다. 탑신부는 모서리에 우주를 새겼을 뿐, 면석에 문비나 기타 부조상은 없다. 초층 탑신은 2층과 3층에 비해 높게 설정하여 상승감을 강조하고 있다. 옥개석은 3층 모두 4단의 층급받침을 두었으며 모서리 전각의 반전은 경쾌한 편이다. 옥개석의 모서리에는 각각 1개씩의 풍경공이 남아 있다. 상륜부는 복발과 보개형 부재 1매가 남아 있다. 복발은 편구형으로 중앙에 연꽃과 띠매듭이 선명하다.

특징

신라의 단층기단 석탑은 8세기 말에서 9세기 초 경주 남산에서 시작되어 경북 지역으로 크게 확산된 양식이다. 이 석탑은 기단면석을 4매로 결구하는 수법과 지대석의 결구방식이 경주 남산과 경북 지역 석탑과 동일하다. 또한 탑신부의 구성과 옥개석의 표현수법은 9세기 중기에 유행한 단층기단 석탑 양식에 부합하여 제작 시기를 파악하는 데에 단서가 되고 있다.

의의와 평가

이 석탑은 결구법이 정연하고 보존상태가 양호하여 신라 단층기단 석탑 연구에 귀중한 자료를 제공한다. 특히 호남 지역에서 확인되는 유일의 신라 단층기단 석탑이라는 점은 이 석탑의 존재성에 많은 의미를 부여할 수 있다. 이는 중앙의 새로운 석탑 기술이 남해안을 따라 서점(西漸)한 것과 밀접한 연관성을 맺고 있다는 점에서 그 중요성이 있다.

참고문헌

『전라남도의 석탑』(천득염·김준오, 전남대학교 출판부, 2015)
『한국의 사지』전라남도1(문화재청·불교문화재연구소, 2011)
『전라남도의 석탑』 1~3(문화재연구소, 2005·2006)
『(寶物篇)文化財大觀-石造』(문화재청, 2004)
「전라도 석탑의 세부 기법 고찰-옥개석 물끊기홈과 충탁공을 중심으로」(조은경·한주성·남창근, 『문화재』 40, 2007)
「신라 단층기단 석탑의 편년과 특징」(신용철,『한국민족문화』47, 부산대학교 한국민족문화연구소, 2013)
관련 미디어 (1)
집필자
신용철
    • 본 항목의 내용은 관계 분야 전문가의 추천을 거쳐 선정된 집필자의 학술적 견해로, 한국학중앙연구원의 공식 입장과 다를 수 있습니다.

    •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은 공공저작물로서 공공누리 제도에 따라 이용 가능합니다. 백과사전 내용 중 글을 인용하고자 할 때는 '[출처: 항목명 -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과 같이 출처 표기를 하여야 합니다.

    • 단, 미디어 자료는 자유 이용 가능한 자료에 개별적으로 공공누리 표시를 부착하고 있으므로, 이를 확인하신 후 이용하시기 바랍니다.
    미디어ID
    저작권
    촬영지
    주제어
    사진크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