보성 이승래 고택 ( )

목차
관련 정보
보성 이승래 고택
보성 이승래 고택
주생활
유적
문화재
전라남도 보성군 보성읍에 있는 조선후기 안채 · 사랑채 · 사당 등으로 구성된 주택. 국가민속문화재.
목차
정의
전라남도 보성군 보성읍에 있는 조선후기 안채 · 사랑채 · 사당 등으로 구성된 주택. 국가민속문화재.
내용

1984년 국가민속문화재로 지정되었다. 1800년대 말에 건립된 집으로 ㄱ자형의 평면을 갖춘 보기 드문 유형이다. 대숲으로 둘러싸인 듯한 집의 주위는 자연경관이 아름답다. 문간채가 따로 없이 골목길과 바깥마당이 바로 연결되나 원래는 대문이 있었을 것이다.

안채는 ㄱ자형으로 정면 7칸, 측면 2칸인데 돌출된 부분이 2칸으로 바깥마당에서 보면 측면이 4칸으로 보인다. ㄱ자형 중에서 전면으로 돌출된 부분의 양간(樑間)은 한 칸 반으로 약간 좁다.

서쪽 끝에는 안채에 이어서 부속건물이 3칸 더 붙어 있는데, 측면이 한 칸으로 안채와는 후편 한 칸과 연결되어 있다. 전면으로 돌출된 부분의 맨 끝에는 부엌이 있는데 이 부분은 기둥의 높이가 높게 되어 마치 2층처럼 꾸미고, 상층은 다락으로 만들어 그 안쪽에 있는 사랑방에서 쓸 수 있도록 하였다.

부엌 쪽의 기둥이 높아진 것은 지대가 낮아지면서 기단도 낮게 하였기 때문이며, 서쪽 끝에 있는 정지와는 별도로 쇠죽을 끓이면서 사랑방의 군불을 때는 곳이다. 이 집에는 사랑채가 별도로 없는 대신 돌출부분의 방들이 사랑채의 구실을 하고 있다.

사랑방은 두 칸인데 중간에 미닫이로 칸막이를 하였고, 동편으로 툇마루가 있어 바깥마당과 통하도록 되어 있다. 사랑방 옆으로 대청이 연결되는데 전면의 한칸통이 일반적인 대청이고, 후면의 한칸통은 도장방으로 이용하고 있었다.

사랑방의 북쪽에 대청이 별도로 있어 앞쪽의 안대청과 구분되는 바깥대청, 즉 사랑채대청의 구실을 하고 있다. 대청 옆으로 안방이 이어지는데 아랫방과 윗방 그리고 고방(마루방)으로 나누어진다.

이 안방의 전면에는 반칸통의 툇마루가 있고, 후면으로는 쪽마루가 건물의 동쪽 끝까지 이어지고 있다. 안방의 옆으로 부엌(정지)이 있는데, 부엌은 후면 한칸통에 있고 그 전면 한칸통에 부엌방이 배치되어 있다.

부엌은 옆으로 이어지고 있는 부속건물을 통하여 출입할 수 있도록 되어 있으며, 계속되는 부속건물의 용도는 광으로 되어 있다. 부엌의 후면으로도 출입구가 있고 이 문을 나서면 바로 장독대가 된다.

부속건물 왼쪽 끝의 앞면, 즉 안마당의 서쪽편에 동향한 곳간이 있다. 정면 4칸, 측면 단칸인 이 집은 모두 마루를 깔아놓은 고상식(高床式)의 창고이다. 판벽과 판문으로 처리하고 마루 밑이 트여 있어 남쪽지방 특유의 창고형식이 남아 있다.

정면 4칸 중 북쪽의 3칸에만 출입문이 나 있다. 안채의 지붕은 팔작기와지붕이고 돌출부는 맞배지붕으로 처리하고 있으며 곳간채는 맞배기와지붕이다. 이 집에는 사당, 즉 가묘(家廟)가 별도로 있는데 별도의 담장으로 구획되어 있다.

안채의 동북쪽 약간 높은 언덕에 자리 잡은 이 사당은 정면 2칸에 측면이 2칸인데, 전면의 반칸은 벽이 없는 툇간으로 전면기둥 3개는 독립기둥이다. 가묘로서는 규모가 큰 맞배기와집이다.

참고문헌

『문화재대관』중요민속자료편 상(문화재관리국, 1985)
관련 미디어 (2)
집필자
황의수
    • 본 항목의 내용은 관계 분야 전문가의 추천을 거쳐 선정된 집필자의 학술적 견해로, 한국학중앙연구원의 공식 입장과 다를 수 있습니다.

    •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은 공공저작물로서 공공누리 제도에 따라 이용 가능합니다. 백과사전 내용 중 글을 인용하고자 할 때는 '[출처: 항목명 -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과 같이 출처 표기를 하여야 합니다.

    • 단, 미디어 자료는 자유 이용 가능한 자료에 개별적으로 공공누리 표시를 부착하고 있으므로, 이를 확인하신 후 이용하시기 바랍니다.
    미디어ID
    저작권
    촬영지
    주제어
    사진크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