왕건(王建)이 고려를 세운 후 신라의 위계(位階) 사용에서 벗어나 태봉(泰封)의 관계를 이어받아 919년(태조 2)부터 사용하기 시작하였다. 이는 고려 초기의 독자적인 공적 질서체제로서, 태조(太祖) 왕건의 직속 부하를 중심으로 하고 고려왕조에 복속한 친고려적 정치집단인 호족세력(豪族勢力)을 조직한 문무관의 위계였다.
936년 후삼국통일을 전후하여 완성되었으며 보윤(甫尹)은 총 16관계 가운데 14위로 중국식 관품으로는 정7품에 해당된다. 그 뒤 광종(光宗) 때 중국식 문산계(文散階)가 들어와 같이 사용되다가 995년(성종 14) 문산계의 개편에 따라 향직(鄕職)으로 존속되었다. 이 때의 관위(官位)는 16계 가운데 8품이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