복재집 ()

목차
유교
문헌
조선시대 때의 학자, 이도자의 시가와 산문을 엮어 1884년에 간행한 시문집.
목차
정의
조선시대 때의 학자, 이도자의 시가와 산문을 엮어 1884년에 간행한 시문집.
내용

2권 1책. 목판본. 1884년(고종 21) 후손 극인(克仁)이 편집, 간행하였다. 권두에 이경유(李敬儒)의 서문이 있다. 국립중앙도서관에 있다.

권1에 시 49수, 서(書) 1편, 제문 5편, 권2는 부록으로 가장(家狀)·행장·묘갈명 각 1편, 만사 24수, 제문 13편, 수묘갈문(竪墓碣文) 1편, 상량문 2편, 봉안문 1편, 축문 2편, 고유문 1편 등이 수록되어 있다.

시에는 성당의 시풍이 나타나 있다. 「수이제(酬二弟)」는 두 아우에 대한 애틋한 정을 표현한 것으로 인륜의 지중함과 동기일신의 뜻을 강조한 것이며, 「두암주중(斗巖舟中)」은 배를 타고 두암을 바라보면서 그 경치와 감회를 읊은 것이다. 「만곽망우당(輓郭忘憂堂)」은 곽재우(郭再祐)의 죽음을 애도하여 지은 것으로 그 뜻이 절실하다.

서(書)인 「상한강선생(上寒岡先生)」은 스승인 정구(鄭逑)에게 경의(經義)와 예의(禮疑)에 대해 가르침을 청한 글인데, 별지인 문목은 일실되어 수록되지 않았다.

「제한강선생문(祭寒岡先生文)」은 정구에 대한 제문으로, 그가 생시에 국가와 민족을 위해 헌신한 공로를 치하하고 후학을 위해 남긴 귀중한 자료를 높이 평가하면서 사제간의 깊은 의리를 설명하고 있다.

집필자
신동호
    • 본 항목의 내용은 관계 분야 전문가의 추천을 거쳐 선정된 집필자의 학술적 견해로, 한국학중앙연구원의 공식 입장과 다를 수 있습니다.

    •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은 공공저작물로서 공공누리 제도에 따라 이용 가능합니다. 백과사전 내용 중 글을 인용하고자 할 때는 '[출처: 항목명 -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과 같이 출처 표기를 하여야 합니다.

    • 단, 미디어 자료는 자유 이용 가능한 자료에 개별적으로 공공누리 표시를 부착하고 있으므로, 이를 확인하신 후 이용하시기 바랍니다.
    미디어ID
    저작권
    촬영지
    주제어
    사진크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