부여 중정리 유적 ( )

목차
선사문화
유적
충청남도 부여군 부여읍에 있는 삼국시대 백제의 화장무덤 등이 발굴된 무덤군.
목차
정의
충청남도 부여군 부여읍에 있는 삼국시대 백제의 화장무덤 등이 발굴된 무덤군.
내용

1971년 우연히 발견된 석검이 당시 국립박물관 부여분관(현 국립부여박물관)에 신고되어 조사하게 되었다. 이미 7기는 파괴되어 원형을 알 수 없게 되었다. 신고한 뒤에 파괴되지 않은 유적 2기와 비교적 상태가 좋은 파괴고분 1기가 조사되었다.

이 일대는 풍화암반층으로 석비레층을 파고 화장묘를 만들었다. 화장묘는 형식이 다른 세 종류의 묘제가 발견되었다.

가운데 뚜껑이 있는 사발[盌]을 1개만 묻은 것[單盌式], 뚜껑덮인 2개의 사발을 상하 2층으로 쌓은 것[二重盌式], 뚜껑있는 단지를 가운데에 두고 주위에 작은 사발 8개를 배치한 것[心壺多盌式] 등이 있다.

구조는 모두 둥근 구덩이를 파고 바닥에 부식토를 얇게 깐 뒤 골호를 안치하고 주변을 부식토로 메웠다. 뚜껑은 커다란 돌로 덮었던 것도 있으나 없는 것도 있는데 원래 있었던 것이 없어진 듯하다. 부식토에서 민무늬벽돌조각[無文塼片]들이 깔려 있는 것으로 보아 뚜껑돌 위에 벽돌을 깔았는지도 모른다.

이 밖에 백제시대 유물로서 연화문와당 1장, 어망추(漁網錘) 1개, 백제토기편이 발견되었다. 신고된 석검은 청동기시대 분묘 유적에서 나온 것으로 보이나 유구의 구조는 알 수 없다.

이 지역은 예비군 참호공사 등으로 지형이 많이 변했고, 주위에 백제시대 무문전편이나 백제토기편이 흩어져 있는 것으로 보아, 백제시대 화장분묘가 집중적으로 매장되었던 지역인 듯하며, 선사시대유적도 있었던 곳이다.

참고문헌

「백제(百濟)의 화장묘(火葬墓)」(강인구, 『고고미술(考古美術)』115, 1972)
집필자
이강승
    • 본 항목의 내용은 관계 분야 전문가의 추천을 거쳐 선정된 집필자의 학술적 견해로, 한국학중앙연구원의 공식 입장과 다를 수 있습니다.

    •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은 공공저작물로서 공공누리 제도에 따라 이용 가능합니다. 백과사전 내용 중 글을 인용하고자 할 때는 '[출처: 항목명 -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과 같이 출처 표기를 하여야 합니다.

    • 단, 미디어 자료는 자유 이용 가능한 자료에 개별적으로 공공누리 표시를 부착하고 있으므로, 이를 확인하신 후 이용하시기 바랍니다.
    미디어ID
    저작권
    촬영지
    주제어
    사진크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