부왕 ()

고대사
인물
초기국가시대 고조선의 왕.
인물/전통 인물
성별
남성
출생 연도
미상
사망 연도
미상
주요 관직
고조선의 왕
내용 요약

부왕은 초기국가시대 고조선의 왕이다. 진(秦)이 중국을 통일한 서기전 3세기 중반경 왕위에 올랐다. 공격을 받을까 두려워 진에게 복속을 청하였지만, 진의 조회에는 응하지 않았다. 부왕이 죽은 뒤 아들 준(準)이 왕위를 이었다.

정의
초기국가시대 고조선의 왕.
가계 및 인적 사항

부왕은 고조선 준왕(準王)의 아버지이자 주1이다. 『삼국지(三國志)』 「한전(韓傳)」에 인용된 『위략(魏略)』에는 부왕이 주2의 후손이라고 전하며, 서기전 323년 무렵 주3과 대치하며 스스로 왕을 칭한 주4의 자손이라고 한다.

『삼국지』 「예전(濊傳)」에는 기자가 조선에 가서 8조의 교(敎)를 만들어 가르친 후, 40여 세를 지나 조선후 준(準)에 이르러 왕을 칭하였다고 전한다. 단, 『위략』과 『삼국지』에서 각각 조선후가 스스로 왕을 칭하였다고 전하는 시기가 현저히 다를 뿐만 아니라, 그보다 앞서 고조선의 역사를 전하는 『사기』와 『한서』의 「조선열전」에서는 기자가 전혀 언급되지 않는 등, 부왕이 기자의 후손이라는 계보는 의문의 여지가 있고, 1~3세기경에 성립된 전승일 가능성도 있다.

주요 활동

서기전 3세기 중반, 중국을 통일한 진(秦)은 주5을 시켜서 만리장성을 쌓게 하여 요동에 이르렀다. 『위략』에 따르면, 부(否)는 이 시기에 조선왕이 되었다. 통일제국 진이 쳐들어올까 두려웠던 부왕은 진에 주6을 청하였다고 한다. 『사기』 「조선열전」에는 고조선이 진의 주7에, 『전한기(前漢紀)』에서는 진의 요동에 속해 있었다고 전한다.

한편, 『위략』에 따르면, 부왕은 진의 주8에 응하지는 않았다. 비록 진에게 복속을 청하였지만, 진이 요구한 조회에 응하지 않은 것으로 부왕 대 고조선이 상당한 국력을 가졌다고 추정하기도 한다. 또한, 남월과 동월 등 진의 주변국들이 대부분 진의 군현으로 편제되어 소멸되었던 반면에, 고조선은 진의 군현으로 편제되지 않은 채 조회를 요구받았던, 예외적인 외신방(外臣邦)으로 보기도 한다.

참고문헌

원전

『사기(史記)』
『삼국지(三國志)』
『한서(漢書)』

단행본

박준형, 『고조선사의 전개』(서경문화사, 2014)

논문

박대재, 「箕子朝鮮과 小中華」(『한국사학보』 65, 고려사학회, 2016)
서영수, 「朝鮮의 對外關係와 疆域의 變動」(『동양학』 29, 단국대학교 동양학연구원, 1999)
주석
주1

죽은 전왕(前王)을 높여 이르는 말.    우리말샘

주2

고조선 때에 있었다고 하는 전설상의 기자 조선의 시조(始祖).    우리말샘

주3

중국 춘추전국시대(春秋戰國時代)에 허베이성[河北省] 북부에 있던 나라로, 전국칠웅(全國七雄) 가운데 하나이다. 서기전 222년에 진(秦)에 멸망되었다.

주4

조선후(朝鮮侯)는 고조선의 국왕으로, 왕명이 아닌 호칭이며 전국책에는 그의 왕호(王號)가 기록되어 있지 않다. 기자조선을 따르면 기자의 후손이며 기자조선을 부정하면 고조선(단군조선)의 왕이 된다.

주5

몽염(蒙恬)은 전국시대 진(秦)나라의 관료이자 장군이다. 진나라 장군 몽무(蒙武)의 아들이자 몽의(蒙毅)의 형으로, 전국통일 이후에 북쪽의 흉노를 몰아내고 만리장성의 건축 및 북방의 수비를 감독하였다.

주6

복종하여 붙좇음.    우리말샘

주7

진(秦)나라 때 요동(遼東) 바깥에 세운 요새.

주8

학교나 관청 따위에서 아침에 모든 구성원이 한자리에 모이는 일. 또는 그런 모임. 주로 아침 인사, 지시 사항 전달, 생활 반성, 체조 따위를 한다.    우리말샘

집필자
권순홍(경희대 연구교수)
    • 본 항목의 내용은 관계 분야 전문가의 추천을 거쳐 선정된 집필자의 학술적 견해로, 한국학중앙연구원의 공식 입장과 다를 수 있습니다.

    •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은 공공저작물로서 공공누리 제도에 따라 이용 가능합니다. 백과사전 내용 중 글을 인용하고자 할 때는 '[출처: 항목명 -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과 같이 출처 표기를 하여야 합니다.

    • 단, 미디어 자료는 자유 이용 가능한 자료에 개별적으로 공공누리 표시를 부착하고 있으므로, 이를 확인하신 후 이용하시기 바랍니다.
    미디어ID
    저작권
    촬영지
    주제어
    사진크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