북찬가 ()

고전시가
작품
1755년(영조 31)이광명(李匡明)이 지은 유배가사.
정의
1755년(영조 31)이광명(李匡明)이 지은 유배가사.
구성 및 형식

형식은 비교적 잘 다듬어져 있는데, 3·4조와 4·4조가 주조를 이루며 전체 분량은 2율각 1구로 세어 282구이다. 『증참의공적소시가(贈參議公謫所詩歌)』에 실려 있다.

내용

저자는 벼슬살이에 뜻이 없어 시골에 숨어 살고 있었는데, 숙종 때 이조판서를 지낸 큰아버지 진유(眞儒)가 역률(逆律)로 처형된 뒤 25년이 지난 1755(영조 31년)에 나주괘서(羅州掛書)의 변이 일어나자 소론(少論)의 원로대신이었던 진유의 조카라는 이유만으로 갑자기 갑산으로 귀양가게 되었다.

이 작품은 “가련타 묘여일신 텬지간의 뉘비ᄒᆞᆯ고”로 시작하여 “아마도 우리셩군 효니하의 명츈은경 미츠쇼셔”로 끝맺고 있는데, 유배의 억울함을 하소연하면서 홀로 계시는 어머니를 염려하는 내용을 담고 있다.

의의와 평가

이 작품은 신임사화(辛壬士禍)의 후유증과 피해 대중의 참담한 당시의 사회 현실을 이해하는데 귀중한 자료가 된다. 원본은 국사편찬위원회에 소장되어 있다.

참고문헌

「유배가사연구(流配歌辭硏究)」(이재식, 『건국대학교박사학위논문』, 1993)
「이광명(李匡明)의 적소시가(謫所詩歌)에 대하여」(정기호, 『논문집』 3, 인하대학교, 1977)
집필자
최강현
    • 본 항목의 내용은 관계 분야 전문가의 추천을 거쳐 선정된 집필자의 학술적 견해로, 한국학중앙연구원의 공식 입장과 다를 수 있습니다.

    •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은 공공저작물로서 공공누리 제도에 따라 이용 가능합니다. 백과사전 내용 중 글을 인용하고자 할 때는 '[출처: 항목명 -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과 같이 출처 표기를 하여야 합니다.

    • 단, 미디어 자료는 자유 이용 가능한 자료에 개별적으로 공공누리 표시를 부착하고 있으므로, 이를 확인하신 후 이용하시기 바랍니다.
    미디어ID
    저작권
    촬영지
    주제어
    사진크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