삿갓지붕

목차
관련 정보
창덕궁 청의정
창덕궁 청의정
주생활
개념
사면의 처마로부터 중앙의 정상부를 향하도록 솟아 오르게 구조된 지붕. 사모지붕 · 육모지붕 · 팔모지붕.
이칭
이칭
사모지붕, 육모지붕, 팔모지붕
목차
정의
사면의 처마로부터 중앙의 정상부를 향하도록 솟아 오르게 구조된 지붕. 사모지붕 · 육모지붕 · 팔모지붕.
내용

그 모습이 마치 삿갓처럼 생겼다고 해서 삿갓지붕이라 부른다. 기와지붕으로의 삿갓지붕은 정방형 평면의 정자나 육모·팔모의 평면 위에 조성된 것인데, 이들은 건축용어로 사모지붕·육모지붕·팔모지붕이라 부른다.

천장 구조법에 따라 표면을 이루는 지붕이 완성된다. 천장 중에 삿갓천장·삿갓반자의 구조법이 있다. 살림집의 부속건물들에서 흔히 볼 수 있다. 이런 부속건물은 그 결구법(結構法)이 매우 원초적인데, 지붕도 그에 따라 질박한 초가 형태가 된다.

전라남도 구례군 토지면 오미리 운조루(雲鳥樓) 앞의 모정(茅亭)은 굵은 기둥을 중앙에 세우고 마치 우산을 만든 듯이 하여 서까래가 우산 살대같이 설치되었다. 이런 천장에 따라 지붕이 구성되었는데 그 모습이 삿갓과 아주 비슷하다.

동궐(東闕)의 후원 안에 청의정(淸漪亭)이 있다. 네모반듯한 평면 위에 팔각의 구성으로 천장을 만들고 그것을 바탕으로 지붕을 완성시켰는데 윤곽은 둥근 형태이다. 역시 이엉을 이은 초가인데 삿갓지붕의 대표적인 예라고 할 수 있다. 이 정자는 방형·팔각·원형이라는 천·지·인의 세 요소를 구비한 철학적 표현을 심도 있게 나타낸 것으로 이름이 나 있다.

이러한 초가의 지붕 형태에서 기와지붕으로 전개되기에 이른다. 기와로 만든 지붕을 삿갓지붕이라고 하는 속칭은 이러한 전개가 전제되었을 때 얻게 되는 것이다.

참고문헌

『한국의 살림집』(신영훈, 열화당, 1983)
관련 미디어 (1)
집필자
신영훈
    • 본 항목의 내용은 관계 분야 전문가의 추천을 거쳐 선정된 집필자의 학술적 견해로, 한국학중앙연구원의 공식 입장과 다를 수 있습니다.

    •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은 공공저작물로서 공공누리 제도에 따라 이용 가능합니다. 백과사전 내용 중 글을 인용하고자 할 때는 '[출처: 항목명 -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과 같이 출처 표기를 하여야 합니다.

    • 단, 미디어 자료는 자유 이용 가능한 자료에 개별적으로 공공누리 표시를 부착하고 있으므로, 이를 확인하신 후 이용하시기 바랍니다.
    미디어ID
    저작권
    촬영지
    주제어
    사진크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