고성 어명기 고택 ( )

목차
관련 정보
강원 고성 어명기 고택 후면
강원 고성 어명기 고택 후면
주생활
유적
문화재
강원특별자치도 고산군 죽왕면에 있는 어명기 2대조인 어용수 관련 주택. 국가민속문화재.
목차
정의
강원특별자치도 고산군 죽왕면에 있는 어명기 2대조인 어용수 관련 주택. 국가민속문화재.
내용

1984년 국가민속문화재로 지정되었다. 평면은 이른바 세줄겹집이라는 것으로, 정면 4칸, 측면 3칸 규모이다. 부엌 앞쪽으로 한 칸이 달려나와 아래는 외양간, 위층은 다락으로 쓰이게 되어 있다.

몸채와 이 한 칸과는 따로 만든 것이어서 자연히 반 칸 정도의 간격이 생긴다. 이 부분을 이용하여 앞쪽으로는 부엌 출입문을 만들고 뒤쪽으로는 붙박이뒤주를 설치하여 곡식을 담아두게 하였다.

이 덧달아내는 한 칸은 가적지붕을 하거나 이엉을 이고 마는 수가 많다. 하지만 이 집에서는 몸채와 함께 홑처마에 기와를 이는 지붕으로 당당하게 구성하면서 합각까지 완벽하게 연출하였다.

널빈지를 들인 기법이나 처마의 매기 정돈 등에서 이 집을 지은 목수의 능력이 뛰어났음을 알 수 있다. 이러한 능력은 몸채의 가구법(架構法)에서도 볼 수 있다.

가구는 오량집의 법식을 따랐다. 그러면서도 위치에 따라 대량을 통보와 짧은 보로 나누어 결구하는 재치를 발휘하였다. 이는 칸을 막는 기둥의 존재를 십분 이용한 결과이다. 세줄겹집의 평면에서 앞쪽 두 칸은 마루를 깐 대청이고 옆의 한 칸에는 방을 들였다.

대청 부분을 제외하고는 모두가 방인데, 이들 방의 천장을 모두 평천장으로 하였다. 이로 인하여 평천장에서 종도리까지의 공간이 열리게 되었는데, 이 공간을 더그매라고 부른다.

옛날 귀틀집이 주류를 이루던 시절에 이만한 더그매를 형성하려면, 귀틀집에 큰 집 하나를 덮어씌워 구조하여야 했다. 작은 집에 큰 집을 씌워 퇴를 구성한 합병형 구조인데, 이 유형이 기둥을 세우는 집에도 채택되면 이런 모습이 된다고 할 수 있다.

이 점도 이 집이 지닌 가치라고 할 수 있다. 같은 세줄겹집이라도 정지간을 두는 북방형의 집과는 달라서, 정지간이 없고 부엌만이 넓게 자리하고 있다.

이것이 개마고원주변의 북방형과 다른 점이고, 삼척시 원덕읍 어름에서 그 남쪽으로 분포되고 있는 까치구멍집의 평면과도 다른 점이다.

까치구멍집이 같은 세줄겹집이면서도 폐쇄성이 강한 산곡간형(山谷間形)인 데 비하면, 강릉지역부터 해안을 따라 분포되는 이들 집은 개방성이 짙은 해안성형(海岸性形)이라 할 수 있다.

그런 세줄겹줄집 중에서 이 집은 규모가 당당하며 건축한 기법이 능숙하고 고식을 비교적 충실히 지니고 있어 모범이 될만하다. 몸채 뒤편에는 동향한 3칸의 곳간이 있고, 배나무와 감나무를 심은 뒷동산이 널찍하게 갖추어져 있다.

참고문헌

『문화재대관』중요민속자료편 상(문화재관리국, 1985)
관련 미디어 (2)
집필자
신영훈
    • 본 항목의 내용은 관계 분야 전문가의 추천을 거쳐 선정된 집필자의 학술적 견해로, 한국학중앙연구원의 공식 입장과 다를 수 있습니다.

    •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은 공공저작물로서 공공누리 제도에 따라 이용 가능합니다. 백과사전 내용 중 글을 인용하고자 할 때는 '[출처: 항목명 -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과 같이 출처 표기를 하여야 합니다.

    • 단, 미디어 자료는 자유 이용 가능한 자료에 개별적으로 공공누리 표시를 부착하고 있으므로, 이를 확인하신 후 이용하시기 바랍니다.
    미디어ID
    저작권
    촬영지
    주제어
    사진크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