귀틀집

목차
관련 정보
무주 귀틀집 후면
무주 귀틀집 후면
주생활
개념
통나무를 井자 모양으로 귀를 맞추고 쌓아올려 벽을 만든 후 그 위에 너와 · 굴피 · 화피 등으로 지붕을 이은 건축물.
• 본 항목의 내용은 해당 분야 전문가의 추천을 통해 선정된 집필자의 학술적 견해로 한국학중앙연구원의 공식입장과 다를 수 있습니다.
내용 요약

귀틀집은 통나무를 우물 정(井)자 모양으로 귀를 맞추고 쌓아올려 벽을 만든 후 그 위에 너와·굴피·화피 등으로 지붕을 이은 건축물이다. 지역에 따라 방틀집·목채집·틀목집·투방집·투막집 등 다양한 명칭으로 불린다. 문헌·벽화 등의 자료를 보면 삼국시대 이전부터 존재한 것으로 판단된다. 풍부한 목재만 있으면 정교한 기술이나 도구 없이도 튼튼한 집을 지을 수 있는 이점이 있어서 산림이 많은 중부 이북의 산간지역에 많이 분포한다. 통나무를 쌓아올린 후, 사이의 틈을 진흙으로 메우고 지붕을 잇는데, 대체로 방 한두 칸과 부엌으로 이루어진 평면구성을 하고 있다.

목차
정의
통나무를 井자 모양으로 귀를 맞추고 쌓아올려 벽을 만든 후 그 위에 너와 · 굴피 · 화피 등으로 지붕을 이은 건축물.
내용

평안남도에서는 방틀집[方機家]또는 목채집[木叉家], 평안북도 강계 지방에서는 틀목집[機木家], 강원도 지방에서는 투방집, 울릉도 역시 투방집 또는 투막집 등의 이름으로 불린다.

언제부터 우리나라에 귀틀집이 지어졌는지는 알 길이 없으나 ≪삼국지≫ 위지 동이전 변진조에 “그 나라는 누목식(累木式)으로 집을 지었고 그 모양이 뇌옥(牢獄)과 비슷하였다.”라는 기록이 보인다. 여기에 나오는 누목식 집을 귀틀집으로 볼 수 있다. 따라서 변진시대에 그 고토인 경상북도의 서부 낙동강유역을 중심으로 한 지역에 이미 귀틀집이 존재하였던 것으로 추측된다. 그러나 우리나라의 선사시대 문화가 북방문화 계통에 속한다는 사실을 감안해 볼 때 북한지역에는 이보다 훨씬 이른 시기에 귀틀집이 전래되었을 가능성을 생각해 볼 수도 있다.

또, 고구려 벽화고분 가운데 마선구 제1호분의 남측실 남벽 상부에 우진각지붕으로 된 건물의 그림이 그려져 있다. 이 건물은 지붕이 하나로 되어 있고 몸체는 두 채로 된 귀틀집 같다. 각 건물 전면에 한 개씩의 순패형(방패형) 문 같은 것을 그렸고, 마루가 매우 높은 고상식 건물이다. 이 건물이 일본의 나라(奈良) 도다이사(東大寺) 구내에 있는 쇼소원보고(正倉院寶庫)라 불리는 귀틀집 창고와 같은 형식의 건물이라는 점을 감안하면 그 벽이 귀틀구조라 보아도 좋을 것이다. 이와 같이 낙랑 · 고구려에서는 덧널무덤[木廓墳墓]이나 창고로 생각되는 고상식 건물 등의 특수구조에도 귀틀식의 벽체구조가 사용되었음을 보여주고 있다.

그러나 시대가 흐름에 따라 인구의 팽창과 도구 · 건축기술의 발달로 인구가 집중된 도시지역에서는 일찍부터 그 자취를 감추게 되었다. 1920년대 이후의 조사자료에 의하면 귀틀집은 화전 경작지역에 주로 분포되어 있었던 것으로 나타나며 지역적으로는 개마고원낭림산맥의 양 사면지역의 산림이 풍부한 북부지역에 많이 분포되어 있었다. 중부지역은 태백산맥을 중심으로 한 강원도 산간지방에 주로 분포되어 있다. 남부지역에서는 지리산을 중심으로 한 소백산맥의 일부에서와 울릉도에서도 발견되고 있다. 따라서 귀틀집은 전국적으로 분포되어 있음을 알 수 있지만, 전체적으로 보아 산림지역이 많은 중부 이북의 산간지역에 보다 많이 분포되어 있었다. 현재는 많이 없어졌으나 울릉도 · 태백산맥 · 소백산맥 등 강원도 일부지방에 약간 남아 있다.

귀틀을 짜는 통나무는 지름 15∼25㎝ 정도의 것을 많이 사용한다. 통나무의 양끝에 홈을 내어 접합한다. 하나는 위턱을 내고 또 하나는 아래턱을 만들어서 덮어 끼웠을 때 十자 모양으로 결구(結構)된다. 이것을 엎을장 · 받을장의 왕지짜기라 부른다. 네 귀퉁이에서 이렇게 결구하면 벽체는 정자형으로 구성된다. 통나무는 울퉁불퉁하여 상하 재목이 틈새없이 밀착되지 못하므로 통나무 사이의 틈을 진흙으로 안팎에서 메워 바람을 막는다. 통나무의 벽을 알맞게 장방형으로 잘라내어 통나무로 문얼굴을 만들고 형으로 대나무나 시누대 등을 얽어 만든 외짝여닫이를 단다. 방 두 개를 달아서 만들 때의 사잇문도 이와 같은 방법으로 만든다. 간벽은 나무들의 틈을 진흙으로 메워서 흙벽처럼 만들지만 때로는 메우지 않고 두어 나무틈 사이로 서로 들여다보이는 경우도 있었다.

귀틀집의 평면구성은 방 두 칸과 부엌 한 칸의 세 칸으로 이루어진 집, 또는 세 칸에서 부엌의 끝 쪽에 가축의 우리를 달아낸 것 등의 평면형식이 가장 흔하다. 분포지역이나 경제적인 여건에 따라 방 한 칸, 부엌 한 칸의 소규모에서부터 규모가 큰 것에 이르기까지 다양한 형태를 보이고 있다. 귀틀집은 그 벽체의 구성을 귀틀 방식으로 짠 것이 같을 뿐이지 평면 자체는 일정한 형식을 가지고 있지 않다. 지붕의 형태도 까치구멍집 · 우진각 · 맞배지붕 등의 여러 가지 구조로 되어 있다. 따라서 귀틀집은 풍부한 목재와 정교한 기술이나 도구 없이 튼튼한 집을 지을 수 있는 이점을 가진 건물 유형이라고 할 수 있다.

참고문헌

『조선민족문화의 연구』(손진태, 을유문화사, 1948)
『우리 나라 농촌주택에 관한 연구』(이종목, 과학원출판사, 1961)
『화전부락의 가옥 및 민구』(이광규·김광언, 문화공보부문화재관리국, 1971)
『한국건축사』(윤장섭, 동명사, 1973)
『한국의 민가연구』(장보웅, 보진재, 1981)
「한국산간부락에서의 분가와 재산상속」(여중철, 『한국학보』 15, 1979)
집필자
김일진
    • 항목 내용은 해당 분야 전문가의 추천을 거쳐 선정된 집필자의 학술적 견해로, 한국학중앙연구원의 공식입장과 다를 수 있습니다.
    • 사실과 다른 내용, 주관적 서술 문제 등이 제기된 경우 사실 확인 및 보완 등을 위해 해당 항목 서비스가 임시 중단될 수 있습니다.
    •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은 공공저작물로서 공공누리 제도에 따라 이용 가능합니다. 백과사전 내용 중 글을 인용하고자 할 때는
       '[출처: 항목명 -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과 같이 출처 표기를 하여야 합니다.
    • 단, 미디어 자료는 자유 이용 가능한 자료에 개별적으로 공공누리 표시를 부착하고 있으므로, 이를 확인하신 후 이용하시기 바랍니다.
    미디어ID
    저작권
    촬영지
    주제어
    사진크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