집안 마선구 1호분 ( )

고대사
유적
중국 길림성 통화시 집안시(集安市) 마선구대대에 있는 삼국시대 고구려의 흙무지돌방무덤. 봉토석실분.
이칭
이칭
마선1호묘, 집안 통구고분군 마선묘구 제1호묘(JMM001)
• 본 항목의 내용은 해당 분야 전문가의 추천을 통해 선정된 집필자의 학술적 견해로 한국학중앙연구원의 공식입장과 다를 수 있습니다.
정의
중국 길림성 통화시 집안시(集安市) 마선구대대에 있는 삼국시대 고구려의 흙무지돌방무덤. 봉토석실분.
개설

집안 마선구1호분은 집안시 마선구대대 마선구하(麻線溝河) 서쪽 기슭에서 100m 거리의 마선구 북부 산기슭 중턱에 있다. 이 고분은 통구고묘군 마선구고분군에 속한 고구려시대 벽화가 있는 흙무지돌방무덤〔封土石室墳〕이다. 1961년집안현 문물보관소에 의해 발견되어 1962년 가을∼1963년 8월까지 길림성박물관 집안고고대에 의해 발굴 조사되었다. 1966년통구고분군 전체에 대한 조사와 정리가 행해지면서 집안 통구고분군 마선묘구 제1호묘(JMM001)로 명명되었다. 이후 1997년 재조사와 실측보고 작업이 이루어졌다.

내용

무덤의 외형은 밑이 네모진 상태에서 위로 좁혀가다가 끝이 살짝 잘린 듯이 마무리된 방대형이며, 흙무지〔封土〕는 밑면 둘레 50여m, 높이 5m 가량이다. 널길〔羨道〕과 2개의 곁방〔耳室〕으로 나뉜 앞방, 이음길, 널방〔玄室〕으로 이루어진 두방무덤〔二室墳〕이다. 무덤칸의 방향은 북으로 15˚기운 서향이다. 무덤길의 너비×길이×높이는 각각 1.38∼1.8m×7m×?이고, 널길은 1.22m×4.65m×1.6m, 좌우의 남쪽 곁방은 90㎝×1.3m×2.15m, 북쪽 곁방은 95㎝×1.25m×2.08m, 널방은 4.15m∼4.25m×4.28m×4.05m이다. 남쪽 곁방, 북쪽 곁방, 널방의 천장구조는 각각 변형 활식〔穹窿式〕, 삼각고임식, 활식이다. 널방 입구에 두 짝의 돌문을 달았고 한가운데에 천장을 받치는 둥근 돌기둥을 세웠다. 널방 바닥에는 2기의 돌널받침〔石棺臺〕을 설치하였다. 널방 궁륭고임 각 방향 중간에는 네모모양 구멍을 하나씩 뚫고 그 안에 계단모양으로 돌을 넣었다. 무덤칸 안에 백회를 입힌 뒤 그 위에 벽화를 그렸으며 벽화의 보존 상태는 비교적 양호하다. 벽화의 주제는 생활풍속과 장식무늬이다.

의의와 평가

마선구1호분은 퇴화형 앞방을 지닌 무덤구조, 장식무늬로서의 연꽃이 포함된 벽화의 제재, 유약 입힌 네귀항아리 등의 출토유물로 보아 장천1호분이나 통구12호분이 축조되던 시기와 크게 떨어지지 않는다. 이러한 측면을 고려할 때 이 벽화고분은 5세기 중엽을 전후한 시기에 축조된 것으로 보인다.

참고문헌

『한국고고학전문사전-고분편-』(국립문화재연구소, 2010)
『고구려고분벽화의 세계』(전호태, 서울대학교출판부, 2004)
『고구려고분벽화연구』(전호태, 사계절, 2000)
『高句麗古墓壁畵硏究』(耿鐵華, 吉林大學出版社, 2008)
『高句麗遺跡』(魏存成, 文物出版社, 2002)
「古墳」(吉林省文物志編委會,『集安縣文物志』, 1984)
「吉林輯安麻線溝一號壁畵墓」(吉林省博物館輯安考古隊·方起東,『考古』1964年 10期)
집필자
전호태
    • 항목 내용은 해당 분야 전문가의 추천을 거쳐 선정된 집필자의 학술적 견해로, 한국학중앙연구원의 공식입장과 다를 수 있습니다.
    • 사실과 다른 내용, 주관적 서술 문제 등이 제기된 경우 사실 확인 및 보완 등을 위해 해당 항목 서비스가 임시 중단될 수 있습니다.
    •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은 공공저작물로서 공공누리 제도에 따라 이용 가능합니다. 백과사전 내용 중 글을 인용하고자 할 때는
       '[출처: 항목명 -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과 같이 출처 표기를 하여야 합니다.
    • 단, 미디어 자료는 자유 이용 가능한 자료에 개별적으로 공공누리 표시를 부착하고 있으므로, 이를 확인하신 후 이용하시기 바랍니다.
    미디어ID
    저작권
    촬영지
    주제어
    사진크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