상사진정몽가 ()

고전시가
작품
작자 · 연대 미상의 가사.
정의
작자 · 연대 미상의 가사.
구성 및 형식

제작연대는 조선 말 내지 그 이후의 작품으로 추정된다. 4음보 1구로 헤아려 모두 188구로 그 중 3·4조가 86구, 4·4조가 84구, 2·3조와 2·4조가 각 7구, 3·2조가 2구, 3·3조와 4·3조가 각 1구씩으로 되어 있다.

내용 및 평가

꿈에도 잊지 못할 연인에 대한 극진한 애정을 펴보인 연서(戀書)의 성격을 띤 가사로서 남자가 지어 여자에게 보낸 것이다.

지은이가 남자라는 점을 유추할 수 있는 것은 “저도 나고 나도 나서”, “가련한 이내 몸이 널로 하여 죽어지면”, “널로 하여 생겻든지 널로 하야 못 살겠다. 널로 하여 죽게 되니 절로는 살 길 없다.”, “내 널 그려 끈튼 애를 네 날 그려 끈허 보렴” 등의 표현이 우리의 사회 관습상 여인쪽에서 남성에게 보낸 글이라고는 전혀 볼 수 없기 때문이다.

“보면 반갑고 못 보면 그리워라.”로 시작하여 “할 말씀 무궁하나 대강 사정 기록하야 임 좌하에 부치나니 이를 보면 아로리라. 내 진정 내 사정을 이 글 보고 웃지 마소.”로 끝맺고 있는 이 작품은 같은 성 안에 살면서도 밤낮으로 그리워하며 애태우는 짝사랑의 애틋한 정을 중국의 고사와 한문 숙어를 많이 사용하여 극진한 자기의 진정(眞情)을 제대로 그려내지 못하고 있다.

“반야산 가자 하니 마고집 머러 잇고 서왕모 차자가나 청조새 아득하다.”라든가 “연모지설은 장재이변하고 화월지태는 암유안중이라.”라고 한 것이 그 보기이다.

참고문헌

『주해가사문학전집(註解歌辭文學全集)』(김성배 외, 정연사, 1961)
집필자
최강현
    • 본 항목의 내용은 관계 분야 전문가의 추천을 거쳐 선정된 집필자의 학술적 견해로, 한국학중앙연구원의 공식 입장과 다를 수 있습니다.

    •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은 공공저작물로서 공공누리 제도에 따라 이용 가능합니다. 백과사전 내용 중 글을 인용하고자 할 때는 '[출처: 항목명 -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과 같이 출처 표기를 하여야 합니다.

    • 단, 미디어 자료는 자유 이용 가능한 자료에 개별적으로 공공누리 표시를 부착하고 있으므로, 이를 확인하신 후 이용하시기 바랍니다.
    미디어ID
    저작권
    촬영지
    주제어
    사진크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