서북학회 ()

근대사
단체
1908년 서북 · 관서 · 해서지방 출신자들이 서울에서 조직되었던 애국계몽단체.
내용 요약

서북학회는 1908년 서북·관서·해서지방 출신자들이 서울에서 조직되었던 애국계몽단체이다. 일본의 탄압으로 국권회복운동이 어렵게 되자, 애국계몽운동을 적극적으로 추진하기 위해 서우학회와 한북흥학회를 통합하여 조직되었다. 서울에 총사무소를 두고 31개 지역에 지회를 설치하고 69개 지역에 지교를 두었다. 『서북학회월보』를 발간하여 사회진화론과 민권론을 기반으로 민중의식을 계발하고 애국심을 고취하며 애국계몽운동을 확산하였다. 1909년 만주 등지에 독립군 기지를 조성하고 무관학교를 설립하여 애국계몽운동을 국외독립군운동으로 전환하는 데 크게 기여하였다.

정의
1908년 서북 · 관서 · 해서지방 출신자들이 서울에서 조직되었던 애국계몽단체.
설립목적

설립 목적과 취지는 자신들의 시대에 대한 주1 인식에서 출발하고 있다. 서북학회 구성원들은 지금은 제국주의 시대로 강력한 힘을 가진 나라나 민족이 힘이 약한 나라나 민족을 침탈하는 주2나 약육강식 논리만이 적용되는 시대로 열패자인 약자는 실력양성을 강구하지 않을 수 없다고 인식하였다. 이러한 기본 인식 위에 궁극목표는 국권회복 · 인권신장을 통하여 근대문명국가의 달성에 있었다. 민력양성을 위해 민력 결집은 시급한데, 방법은 단체설립과 단체 상호간의 단합으로 서북학회 설립도 여기서 비롯되었다.

연원 및 변천

애국계몽운동은 1907년 중엽에 이르러 관서와 관북지방에서 뿌리를 내려 일정한 성과를 거두게 되자 전 민족적 전 국가적 차원으로의 확산을 시도하였다. 그리고 일제의 강압책으로 국권회복운동이 더욱 어렵게 되자, 이러한 제약을 보다 적극적으로 극복하기 위해 서우학회한북흥학회를 통합하여 1908년 1월 조직하였다. 구성원은 주로 평안도 · 함경도 · 황해도민이다.

주요 임원은 이동휘(李東輝) · 안창호(安昌浩) · 박은식(朴殷植) · 이갑(李甲) · 유동열(柳東說) · 최재학(崔在學) 등이었다. 임시회장 이동휘의 지도 하에 서우회관(西友會館)에서 조직회를 개최하였다. 이때 회장으로 정운복(鄭雲復), 부회장 강윤희(姜玧熙), 총무 김달하(金達河)를 선출하였다. 1909년에는 회장으로 오상규(吳相奎), 부회장 정운복, 총무 김명준(金明濬)을 선출하였다.

조직은 서우학회 · 한북흥학회를 토대로 하였다. 서울에 총사무소를 두었으며, 회장 1명, 부회장 1명, 총무 · 부총무 각 1명, 평의원 30명, 사찰원(司察員), 회계 각 1명, 서기 2명이었다. 월보(月報) 간행을 위해 주필 1명, 편집 1명, 협찬원(協贊員) 19명을 두었다. 개별 사무를 처리할 때는 위원이나 총대(總代)를 정하여 담당하게 하였다. 31개 지역에 지회를 설치하고 69개 지역에 지교(支校)를 두었다. 「사립학교령(私立學校令)」 · 「학회령(學會令)」 등 애국계몽운동에 대한 탄압이 가중되자, 1909년 2월 이후에는 37개 지역에 학사시찰위원(學事視察委員)을 선정, 지회 · 지교 활동을 보완하였다.

서북지방민으로 국권 회복을 원하는 사람이면 관(官) · 민(民)을 막론하고 누구나 회원이 될 수 있었다. 회원은 2,300명 정도에 이른 것으로 추산되며, 신지식층 · 신흥시민층을 중심으로 한 광범한 시민층이었다. 항일교육구국운동은 국민들에게 신교육의 절실한 필요를 계몽하는 것이었다. 교사 양성에 주력하는 서북협성학교(西北協成學校), 노동자 교육을 위한 수상야학(水商夜學) · 측량과(測量科) · 심학강습소(心學講習所) · 농림강습소(農林講習所) 등을 설치, 인재를 양성하였으며 각 지역 사립학교 교무의 지도와 후원을 통하여 전개되었다. 계몽강연활동은 학회의 여러 모임, 특히 운동회를 통해 광범위하게 파급되었다. 당시 상황을 알리고 애국심을 고취시켰으며 실력양성운동에의 참여를 촉구하였다.

1908년 2월부터 『서북학회월보(西北學會月報)』라는 학보를 발간, 1910년 1월까지 계속하였다. 학보를 통해 사회진화론과 민권론(民權論)에 기반을 둔 실력양성론 · 단체론 · 애국론 · 교육구국론 · 실업진흥론 · 사회관습개혁론 등을 전달하여 민중의식을 계발하고 애국심을 고취하였다. 민족산업진흥운동이 중요시된 것은 서북학회의 사회적 기반이 신흥시민층에 있었기 때문이다. 실업교육을 장려하고, 특히 일제의 경제적 침략과 관련해 농림(農林)의 진흥을 강조하였다. 이와 같이 좀더 광범한 지역과 대중에게까지 애국계몽운동을 확산시키고자 하였다.

「사립학교령」 · 「학회령」 · 「기부금품모집취체규칙(寄附金品募集取締規則)」 · 「지방비법(地方費法)」 등 일제의 탄압에 대한 구체적 대응책을 제시하여 민중들이 적극 대처하도록 하는 데 주력하였다. 그 뒤 일제의 탄압이 더욱 강화되고 서북학회 분쇄책이 시도되자, 1909년 독립전쟁 전략을 채택하여 국외에서는 독립군기지 건설과 무관학교 설립운동에 주력하였다. 국내에서는 사립학교 유지방법 강구 등의 교육운동과 농회 · 농림강습소 설립, 민족산업 진흥운동 등을 계속 추진하였다.

이 학회는 애국계몽운동을 광범위하게 확산시켰을 뿐 아니라 애국계몽운동을 진정한 국권회복운동으로 전개되게 하였다. 1909년 일제의 탄압이 가중되자 만주 등지로 근거지를 옮겨 독립군 기지를 조성하고 무관학교를 설립하여 애국계몽운동을 국외 독립군운동으로 전환시키는 데도 크게 기여하였다. 기관지로는 『서우(西友)』를 계승한 『서북학회월보』가 있다. 1910년 9월 강제 해산되었다.

의의와 평가

서북학회는 1909년 초 신민회와 같이 독립전쟁전략을 최고전략으로 채택하여 독립군기지건설에 주력하여 국외독립운동의 초석이 되었으며, 국내활동 특히 교육운동은 일제하 민족운동의 원동력이었다.

참고문헌

『한국독립운동사(韓國獨立運動史)』1(국사편찬위원회, 1965)
「서북학회(西北學會)의 관서지방(關西地方) 지회(支會)와 지교(支校)」(조현욱, 『한국민족운동사연구』 24, 2000)
「서북학회(西北學會)의 애국계몽운동(愛國啓蒙運動)Ⅰ」(조현욱, 『한국학연구』 5, 숙명여대, 1995)
「대한제국 말기 애국계몽학회 연구」(이송희, 이화여대 박사학위논문, 1986)
「한말(韓末) 서북학회(西北學會)의 애국계몽활동(愛國啓蒙活動)」(이송희, 『한국학보(韓國學報)』 31·32, 1983)
『대한매일신문(大韓每日新聞)』
『제국신문(帝國新聞)』
『황성신문(皇城新聞)』
『서우(西友)』
『서북학회월보(西北學會月報)』
주석
주1

사회의 성격을 생물학적 유기체에 비유하여 자연 유기체와 유사하게 파악하는 학설. 19세기 후반에 진화론의 영향을 받아 성립되었으며, 콩트ㆍ스펜서 등이 주장하였다. 우리말샘

주2

나은 자는 이기고 못한 자는 패함. 또는 강한 자는 번성하고 약한 자는 쇠멸함. 우리말샘

• 본 항목의 내용은 관계 분야 전문가의 추천을 거쳐 선정된 집필자의 학술적 견해로, 한국학중앙연구원의 공식 입장과 다를 수 있습니다.

•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은 공공저작물로서 공공누리 제도에 따라 이용 가능합니다. 백과사전 내용 중 글을 인용하고자 할 때는 '[출처: 항목명 -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과 같이 출처 표기를 하여야 합니다.

• 단, 미디어 자료는 자유 이용 가능한 자료에 개별적으로 공공누리 표시를 부착하고 있으므로, 이를 확인하신 후 이용하시기 바랍니다.
미디어ID
저작권
촬영지
주제어
사진크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