석애문집 ()

목차
관련 정보
석애문집
석애문집
유교
문헌
조선 후기의 문신, 홍봉주의 시가와 산문을 엮어 1904년에 간행한 시문집.
목차
정의
조선 후기의 문신, 홍봉주의 시가와 산문을 엮어 1904년에 간행한 시문집.
내용

6권 3책. 석인본. 1904년 5대손인 복희(復熹)·석희(錫熹) 등이 편집, 간행하였다. 권말에 복희·석희 등의 발문이 있다. 규장각 도서·국립중앙도서관·국회도서관·고려대학교 도서관 등에 있다.

권1·2는 시 491수, 권3·4는 소(疏) 4편, 계(啓) 1편, 서(書) 22편, 부(賦) 4편, 의(義) 1편, 표(表) 1편, 전(箋) 1편, 송(頌) 1편, 책(策) 4편, 찬(贊) 1편, 사(辭) 1편, 고문(告文) 1편, 상량문 3편, 잡저 8편, 권5는 서(序) 2편, 발 4편, 행장 6편, 권6은 부록으로 만사·행장·묘지명·유허비·기묘식년사마방목(己卯式年司馬榜目)·급문록(及門錄) 등이 수록되어 있다.

책의 「문춘운운(問春云云)」은 1833년(순조 33) 흥양동시(興陽東試)에 합격한 책문으로, 천지의 음기가 다하고 양기가 돌아올 때가 봄, 즉 우리에게 있는 인(仁)이니, 수도와 정치를 인으로 하면 온 천하가 모두 봄일 것이라는 내용이다.

「문칠사운운(問七事云云)」은 광양동시(光陽東試)에서 지은 책문으로, 법조목이 중요한 것이 아니라 실행이 중요하다고 말하고, 지금의 수령들은 칠사(七事)의 조목만을 외울 뿐 실행에 있어서는 조금도 힘쓰지 않음을 지적하면서 무엇보다도 임금이 정치를 인으로 할 것을 강조하였다.

이밖에도 이 책에 수록된 「경진기사(庚辰記事)」·「신사기사(辛巳記事)」·「임오기사(壬午記事)」·「계미기사(癸未記事)」·「계묘기사(癸卯記事)」 등은 특별한 일만을 기록한 것으로 19세기의 사회풍속 등을 이해하는 데 도움이 되는 자료이다.

관련 미디어 (2)
집필자
김신호
    • 본 항목의 내용은 관계 분야 전문가의 추천을 거쳐 선정된 집필자의 학술적 견해로, 한국학중앙연구원의 공식 입장과 다를 수 있습니다.

    •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은 공공저작물로서 공공누리 제도에 따라 이용 가능합니다. 백과사전 내용 중 글을 인용하고자 할 때는 '[출처: 항목명 -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과 같이 출처 표기를 하여야 합니다.

    • 단, 미디어 자료는 자유 이용 가능한 자료에 개별적으로 공공누리 표시를 부착하고 있으므로, 이를 확인하신 후 이용하시기 바랍니다.
    미디어ID
    저작권
    촬영지
    주제어
    사진크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