석주문집 ()

석주문집
석주문집
유교
문헌
조선 후기의 학자, 신홍원의 시가와 산문을 엮어 1963년에 간행한 시문집.
• 본 항목의 내용은 해당 분야 전문가의 추천을 통해 선정된 집필자의 학술적 견해로 한국학중앙연구원의 공식입장과 다를 수 있습니다.
정의
조선 후기의 학자, 신홍원의 시가와 산문을 엮어 1963년에 간행한 시문집.
편찬/발간 경위

1963년 신홍원의 증손인 신상효(申相孝)가 편집·간행하였다.

서지적 사항

11권 5책. 석인본. 고려대학교 도서관 등에 있다.

내용

권1∼3에 부(賦) 2편, 시 381수, 권4·5에 소(疏) 1편, 정문(呈文) 5편, 서(書) 136편, 권6에 잡저 29편, 잠(箴) 2편, 찬(贊) 2편, 명(銘) 7편, 권7·8에 서(序) 18편, 기(記) 21편, 지(識) 6편, 발(跋) 8편, 설(說) 5편, 권9·10에 고유문 3편, 애사 10편, 뇌문(誄文) 6편, 제문 18편, 묘지명 4편, 묘표 3편, 광지(壙誌) 2편, 행장 2편, 유사 3편, 사략(事略) 1편, 권11에 부록으로 행장·묘갈명·유사 각 1편 등이 수록되어 있다.

잡저의 「고금문평(古今文評)」은 중국의 고문(古文)으로부터 조선 중기까지의 글을 시대 순으로 뽑아서 그 장단점을 설명하고 다른 글과 비교하면서 우열을 평론한 것으로, 글을 짓는 데 참고 자료가 된다.

설의 「숙흥야매설(夙興夜寐說)」에서는 천지의 동정(動靜)은 언제나 자·축(子丑)에서 시작하여 술·해(戌亥)에서 끝나기 때문에 그 날의 시작이 새벽에 있으니, 정치를 하는 사람이나 농사를 짓는 사람 모두가 일찍 일어나지 않으면 그 날의 좋은 기회를 모두 잃어버린다고 하면서, 일찍 일어날 것을 강조했다.

「칠정잠(七情箴)」에서는 인(仁)·의(義)·예(禮)·지(智)는 성(性)이므로 원래 선(善)하고, 희(喜)·노(怒)·애(哀)·낙(樂)·애(愛)·오(惡)·욕(欲)은 정(情)이 발하는 것이므로 절도에 맞기도 하고 맞지 않기도 하는 차이가 있다고 했다. 또한, 기질은 원래 청(淸)·탁(濁)·후(厚)·박(薄)의 다른 점이 있음을 강조했다. 자기가 증험해 본 결과 노(怒)와 욕(欲)을 제거하기가 가장 어렵다고 지적했다.

관련 미디어 (2)
• 항목 내용은 해당 분야 전문가의 추천을 거쳐 선정된 집필자의 학술적 견해로, 한국학중앙연구원의 공식입장과 다를 수 있습니다.
• 사실과 다른 내용, 주관적 서술 문제 등이 제기된 경우 사실 확인 및 보완 등을 위해 해당 항목 서비스가 임시 중단될 수 있습니다.
•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은 공공저작물로서 공공누리 제도에 따라 이용 가능합니다. 백과사전 내용 중 글을 인용하고자 할 때는
   '[출처: 항목명 -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과 같이 출처 표기를 하여야 합니다.
• 단, 미디어 자료는 자유 이용 가능한 자료에 개별적으로 공공누리 표시를 부착하고 있으므로, 이를 확인하신 후 이용하시기 바랍니다.
미디어ID
저작권
촬영지
주제어
사진크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