성재집 ()

유교
문헌
조선시대 때의 학자, 금난수의 시가와 산문을 엮어 1909년에 간행한 시문집.
정의
조선시대 때의 학자, 금난수의 시가와 산문을 엮어 1909년에 간행한 시문집.
편찬/발간 경위

1909년에 간행되었으며, 김도화(金道和)의 서문과 이만도(李晩燾)·금정기(琴鼎基)의 발문이 있다.

서지적 사항

4권 2책. 목활자본. 국립중앙도서관·규장각 도서·고려대학교 도서관 등에 있다.

내용

권1에는 「독심경서(讀心經書)」 등 시 104수가 수록되어 있다. 대부분 계문(溪門)의 사우(師友)들 사이에 주고받은 증답시(贈答詩)이다. 권2는 서(書)와 잡저(雜著)로 이루어져 있다. 서(書) 역시 사우간에 주고받은 것으로 이황(李滉)에게 보낸 편지는 대개 질의(質疑)의 형태를 취하였으며, 각 조목에 대한 답변은 ‘문목(問目)’의 형태로 되어 있다. 「상퇴계선생(上退溪先生)」·「여조사경(與趙士敬)」·「토민침점장인전지금단규약(土民侵占匠人田地禁斷規約)」 등 서(書) 10편, 「독화담집변(讀花潭集辨)」·「퇴계선생향립약조후지(退溪先生鄕立約條後識)」 등 잡저(雜著) 10편이 실려 있다.

「독화담집변」을 통해 서경덕(徐敬德)의 「태허설(太虛說)」과 「사생귀신설(死生鬼神說)」을 비판하고, 이(理)의 주재성(主宰性)과 기(氣)의 소멸을 주장하였다. 「토민침전장인전지금단규약」에서는 임진왜란을 지내면서 다시 향금(鄕禁)이 해이해지고 장인(匠人)이 흩어지는 것을 우려해 유향소(留鄕所)에 보낼 것을 권유하고, 또 그러한 일을 시행한 사실을 기록한 것이다. 「퇴계선생향립양조후지」는 이황이 향약(鄕約)을 실행하면서 신분에 관계없이 연령에 따라 순서를 정한 데 대한 일부의 반발을 변호한 것이다.

권3에는 도산서당 건립시의 시말(始末)을 상세히 기록한 「도산서당영건기사(陶山書堂營建記事)」와 「보현암벽상서전후팔산기(普賢菴壁上書前後八山記)」·「도산서당영건기사」 등의 기(記), 「좌우명(座右銘)」·「유이견옥역정명(柳而見玉淵亭銘)」 등의 명(銘), 「제퇴계선생문(祭退溪先生文)」 등의 제문(祭文), 그리고 「성재선생연보(惺齋先生年報)」 등 7편이 실려 있다. 권4는 부록으로 묘갈명(墓碣銘)·유사(遺事)·발(跋) 등 11편으로 되어 있다.

• 본 항목의 내용은 관계 분야 전문가의 추천을 거쳐 선정된 집필자의 학술적 견해로, 한국학중앙연구원의 공식 입장과 다를 수 있습니다.
• 사실과 다른 내용, 주관적 서술 문제 등이 제기된 경우 사실 확인 및 보완 등을 위해 해당 항목 서비스가 임시 중단될 수 있습니다.
•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은 공공저작물로서 공공누리 제도에 따라 이용 가능합니다. 백과사전 내용 중 글을 인용하고자 할 때는
   '[출처: 항목명 -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과 같이 출처 표기를 하여야 합니다.
• 단, 미디어 자료는 자유 이용 가능한 자료에 개별적으로 공공누리 표시를 부착하고 있으므로, 이를 확인하신 후 이용하시기 바랍니다.
미디어ID
저작권
촬영지
주제어
사진크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