소악부 ()

한문학
개념
우리나라의 가요를 한시 절구로 번안한 악부시.
• 본 항목의 내용은 해당 분야 전문가의 추천을 통해 선정된 집필자의 학술적 견해로 한국학중앙연구원의 공식입장과 다를 수 있습니다.
내용 요약

소악부는 우리나라의 가요를 한시 절구로 번역한 악부시이다. 고려의 속요나 조선의 시조와 같은 내용을 담고 있다. 형식은 기본적으로 5자나 7자로 이루어진다. 대표적으로 고려의 이제현이 지은 작품으로 「처용가」, 「서경별곡」, 「정과정」이 있다.

정의
우리나라의 가요를 한시 절구로 번안한 악부시.
내용

악부(樂府)란 중국의 한대(漢代)에 음악을 관장하던 관청의 이름으로, 거기서 불리던 노래의 가사인 시가(詩歌)를 악부(樂府)라 하였다. 그러므로 악부는 음악을 떼어 놓고 생각할 수 없었던 문학이다. 그러던 것이 시간이 지나면서 음악 없이 시가만 독립하여 악부 문학을 이루었다.

악부가 처음에 음악을 동반했다는 사실은 음악성의 길고 짧음에 따라서 그 내용인 시가 역시 그 형태가 일정하지 않았음을 말한다. 다시 말하면 악부는 한시가(漢詩歌)의 기본 형태인 한 구(句)가 5자나 7자로 이루어진다. 그러나 한 편의 악부가 몇 구로 이루어지느냐는 것에는 정해진 형식이 없다. 그런데 이따금 한시의 절구체(絶句體)를 지키고 있는 악부가 있다. 이것을 소악부라 한다. 작은 시[小詩]의 형태라는 뜻에서 지어진 이름이다.

전개 양상

우리 문학에서도 소악부라는 이름 아래에서 구사된 한시가 있다. 이 한시는 위에서 본 소악부의 기원적 문제와 아울러 우리 시가에서만 가질 수 있는 몇 가지 조건이 있었던 것으로 보인다. 그 조건은 두 가지이다. 첫째, 절구체 형식이라고 하는 짧고 간단한 시의 형태를 지녀야 하였다. 둘째, 내용은 순수한 우리말의 가요, 예를 들면 고려의 속요나 조선의 시조와 같은 내용을 담고 있다. 즉, 우리의 가요를 한시 절구로 번역한 것이라는 의미가 된다.

우리 문학에서 소악부라는 이름을 최초로 쓴 사람은 이제현(李齊賢)이다. 그가 지은 소악부는 당시의 고려 속요를 한문으로 번역한 것이다. 지금까지 전해지는 속요 3수는 「처용가」, 「서경별곡」, 「정과정」이다. 나머지 6수는 『고려사』 「악지」에 노래의 제목이나 내용만 전해진다. 그리고 나머지 2수는 이제현이 곽충룡(郭翀龍)과 소악부에 대해서 논의하면서 탐라(耽羅)의 풍속을 읊은 것이다. 다만 『익재집(益齋集)』의 소악부 항에는 9수만 있다. 문집의 편집자가 고려 속요를 번안한 것이 아니어서 소악부 항에 9수만 수록하고 나머지 2수는 다른 항목에 수록한 것으로 판단된다.

신위(申緯)「소악부」」는 40수가 전한다. 신위의 시문집(詩文集)인 『경수당전고(警修堂全藁)』에 수록되어 있다. 내용은 우리나라의 시조를 한시 칠언절구로 번역한 것이다. 우리나라의 고전문학에서 속요, 가사, 시조와 같은 것은 노래로 불린 것이기 때문에 입으로만 전해질 수밖에 없다. 그래서 문인(文人)들이 그 내용을 소악부로 번역해 둔 것이다.

신위는 「소악부」를 지으면서 서문(序文)에서 몇 가지 필요성을 말하였다. 우리의 노래는 자연스럽게 음률(音律)에 맞아 마음을 감동시킨다. 그런데 이 노래를 시로 채록(採錄)하지 않으면 없어질 우려가 있다고 하였다. 그는 이러한 점을 걱정하면서 이제현의 「소악부」의 공적(功績)을 칭찬하였다. 이로 보아서 신위의 「소악부」는 이제현의 「소악부」에 영향을 받아 지은 것이다.

이유원(李裕元)「소악부」는 45수가 전한다. 이 「소악부」는 당시에 불리던 시조 45수를 칠언절구 한시로 번역한 것이다. 이유원은 「소악부」 서문[序]에서, 이 소악부를 신위의 「소악부」를 모방하여 지었다고 말했다. 신위의 「소악부」가 시조만 한역(漢譯)의 대상으로 삼았기 때문에, 이유원의 「소악부」도 시조만 한시로 번역한 것이다. 이유원은 이 밖에도 많은 악부시(樂府詩)를 지었다.

그중에서 「해동악부(海東樂府)」 100수는 이제현의 소악부 체제를 따랐다. 그 이유는 이제현의 「소악부」 시의 내용은 속요와 가요를 중심으로 한 민풍(民風)도 있었기 때문이다. 그래서 이제현의 「소악부」를 역사적 사실로 이해하여 「해동악부」라는 역사적 사실의 시를 짓는 동기로 삼았다.

현대의 불교학자였던 권상로(權相老)는 『지귤이향집(枳橘異香集)』을 지어, 시조를 칠언절구 한시 310수로 번역했다. 작자는 소악부라는 이름은 쓰지 않았지만, 한시의 형식 중 소악부로 볼 수 있다. 그러므로 한국의 소악부에는 이 작품까지 넣어야 한다. 이상(以上)이 우리나라 소악부의 개략(槪略)이다.

의의 및 평가

말과 글이 달랐던 옛 시대에 노랫말을 그대로 전할 방법이 없었다. 이러한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노랫말 그대로는 아니지만, 한시로 번역하여 그 내용을 보존하였다는 점에서 큰 의의가 있다. 신위 이후로는 시조집(時調集)이 있었다 하더라도 소악부 형식으로 시조의 내용을 수용하기도 하였다. 이것은 노래와 시의 교통(交通)을 시도한 좋은 예로 이해될 수 있다.

참고문헌

원전

이제현, 『익재집(益齋集)』
신위, 『경수당전고(警修堂全藁)』
이유원, 『가오악부(嘉梧樂府)』
권상로, 『지귤이향집(枳橘異香集)』(『동악어문학』 3, 동악어문학회, 1965)

단행본

손팔주, 『신위연구(申緯硏究)』(태학사, 1983)
『퇴경역시집(退耕譯詩集)』(동악어문학회, 1966)

인터넷 자료

한국고전종합DB(https://db.itkc.or.kr/)
• 항목 내용은 해당 분야 전문가의 추천을 거쳐 선정된 집필자의 학술적 견해로, 한국학중앙연구원의 공식입장과 다를 수 있습니다.
• 사실과 다른 내용, 주관적 서술 문제 등이 제기된 경우 사실 확인 및 보완 등을 위해 해당 항목 서비스가 임시 중단될 수 있습니다.
•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은 공공저작물로서 공공누리 제도에 따라 이용 가능합니다. 백과사전 내용 중 글을 인용하고자 할 때는
   '[출처: 항목명 -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과 같이 출처 표기를 하여야 합니다.
• 단, 미디어 자료는 자유 이용 가능한 자료에 개별적으로 공공누리 표시를 부착하고 있으므로, 이를 확인하신 후 이용하시기 바랍니다.
미디어ID
저작권
촬영지
주제어
사진크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