서경별곡 ()

악장가사 / 서경별곡
악장가사 / 서경별곡
고전시가
작품
고려시대에 지어진 작자 미상의 속요.
• 본 항목의 내용은 해당 분야 전문가의 추천을 통해 선정된 집필자의 학술적 견해로 한국학중앙연구원의 공식입장과 다를 수 있습니다.
정의
고려시대에 지어진 작자 미상의 속요.
개설

『악장가사(樂章歌詞)』 · 『대악후보(大樂後譜)』 · 『시용향악보』에 실려 있어 가사와 악곡의 구조를 알 수 있다. 그러나 작자와 제작 동기에 관한 기록이 없어 작품을 이해하는 데 어려움이 많다. 「청산별곡(靑山別曲)」과 더불어 궁중 악장 가운데 대표적인 속악의 하나로 조선 전기까지 궁중에서 애창되었다.

내용 및 형식

작품의 형식은 3음보 율격구조에다 모든 연의 끝에 후렴이 붙는 연장체(聯章體) 가요로서 전형적인 속요의 형태를 보인다. 이 작품은 음악적 측면에서는 『악장가사』에 수록된 형태대로 13연으로 분석되며, 그 여음과 후렴 또한 질서정연한 규칙성을 보여준다. 이와는 달리 여음을 제외하고 통사론적으로 분석할 때는 3연의 구조를 가진다.

즉, 이 작품은 서경으로 시작되는 1연과, 같은 속요인 「정석가(鄭石歌)」와 사설이 일치하는 2연과, 대동강이 작품의 공간적 배경이 되고 있는 3연으로 구조가 분리된다. 여기서 2연은 이제현(李齊賢)「소악부(小樂府)」에도 한역(漢譯)되어 있어, 당대에 널리 유행하였던 가요( 민요)로 짐작된다.

의의와 평가

작품의 구조에 있어서 형태상 · 의미상의 괴리와 이질성을 보인다. 이것은 곧 이 작품의 형성이 제1연의 서경 노래, 제2연의 당대에 유행했던 민요, 제3연의 대동강 노래, 이렇게 세 가요(민요)를 당대에 새로 유입된 궁중의 속악 악곡에 맞추어 연마다 여음과 후렴을 붙여 합성 · 조절한 가요임을 보여주는 증거로 삼기도 한다.

또 이와는 달리, 각 연의 정조(情調)를 중시하여 제1연과 3연이 불길 같은 감정의 표출을 담은 여성의 사설임에 반해, 제2연은 싸늘한 이성(理性)의 소리로 된 남성의 사설로 되어 있기 때문에 이 작품은 남녀 사이의 대화를 담은 희곡적 구조를 가지고 있다는 견해도 있다. 그러나 2연이 과연 남성적 정조인지는 의문이라 하겠다.

또, 이 작품의 사회적 배경을 『고려사(高麗史)』 세가(世家) 권18 의종(毅宗) 21년 3월조에 보이는 중미정(衆美亭) 역사(役事) 설화처럼 부역(賦役)으로 인한 남녀의 강제적 이별에서 찾는 견해도 있다.

참고문헌

「별곡의 구조」(김택규, 『고려시대의 언어와 문학』, 형설출판사, 1975)
「서경별곡고구(西京別曲考究)」(여증동, 『김사엽송수기념논총』, 1973)
관련 미디어 (1)
• 항목 내용은 해당 분야 전문가의 추천을 거쳐 선정된 집필자의 학술적 견해로, 한국학중앙연구원의 공식입장과 다를 수 있습니다.
• 사실과 다른 내용, 주관적 서술 문제 등이 제기된 경우 사실 확인 및 보완 등을 위해 해당 항목 서비스가 임시 중단될 수 있습니다.
•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은 공공저작물로서 공공누리 제도에 따라 이용 가능합니다. 백과사전 내용 중 글을 인용하고자 할 때는
   '[출처: 항목명 -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과 같이 출처 표기를 하여야 합니다.
• 단, 미디어 자료는 자유 이용 가능한 자료에 개별적으로 공공누리 표시를 부착하고 있으므로, 이를 확인하신 후 이용하시기 바랍니다.
미디어ID
저작권
촬영지
주제어
사진크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