송시철 ()

조선시대사
인물
조선 후기에, 좌승지, 형조참의, 공조참의 등을 역임한 문신.
이칭
숙보(叔保)
설촌(雪村)
인물/전통 인물
성별
남성
출생 연도
1610년(광해군 2)
사망 연도
1673년(현종 14)
본관
여산(礪山: 지금의 전라북도 익산)
주요 관직
좌승지|형조참의|공조참의
• 본 항목의 내용은 해당 분야 전문가의 추천을 통해 선정된 집필자의 학술적 견해로 한국학중앙연구원의 공식입장과 다를 수 있습니다.
정의
조선 후기에, 좌승지, 형조참의, 공조참의 등을 역임한 문신.
개설

본관은 여산(礪山). 자는 숙보(叔保), 호는 설촌(雪村). 아버지는 예조참의 송극인(宋克認)이며, 어머니는 첨정 김흡(金洽)의 딸이다.

생애 및 활동사항

1633년(인조 11) 사마시에 합격하여 헌릉참봉(獻陵參奉)·종묘서부봉사(宗廟署副奉事)·상서원부직장(尙瑞院副直長)·선공감감역(繕工監監役)·내자시주부(內資寺主簿)·사평(司評)·공조좌랑 등을 지냈다.

1653년(효종 4) 별시 문과에 병과로 급제하여 병조좌랑·사간원정언·고산찰방(高山察訪)·황해도사(黃海都事)·예조정랑 등을 거쳐 사헌부장령(司憲府掌令)에 올라 세자시강원사서(世子侍講院司書)를 겸임하면서 송준길(宋浚吉)이 경연(經筵)에서 시강할 때 많은 보조를 하였다.

그 뒤 성균관사성(成均館司成)으로 서장관(書狀官)이 되어 청나라에 다녀온 뒤 밀양부사로 나아가 치적을 올렸으며, 1661년(현종 2) 이후 상의원(尙衣院)·사복시(司僕寺)·장악원(掌樂院)·봉상시(奉常寺)·군자감(軍資監)의 장을 거치면서 사간원헌납(司諫院獻納)·사헌부의 장령(掌令)·집의(執義), 사간원사간을 여러 번씩 역임하였다.

이 때 대각(臺閣)에 커다란 의론이 있을 때마다 반드시 참여하여 정론(正論)으로 시비를 가렸다. 1667년 동부승지가 되고 좌승지, 형조·공조의 참의를 거쳐 원주목사로 내려가 향교를 수축하고 늠희(廩餼: 쌀과 음식)를 지급하여 문운(文運)을 크게 일으켰으며, 흉년에는 요역(徭役)과 부역(賦役)을 덜어주어 민심을 회복시켰다.

참고문헌

『현종실록(顯宗實錄)』
『현종수정실록(顯宗修正實錄)』
『문곡집(文谷集)』
『국조인물고(國朝人物考)』
『국조방목(國朝榜目)』
• 항목 내용은 해당 분야 전문가의 추천을 거쳐 선정된 집필자의 학술적 견해로, 한국학중앙연구원의 공식입장과 다를 수 있습니다.
• 사실과 다른 내용, 주관적 서술 문제 등이 제기된 경우 사실 확인 및 보완 등을 위해 해당 항목 서비스가 임시 중단될 수 있습니다.
•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은 공공저작물로서 공공누리 제도에 따라 이용 가능합니다. 백과사전 내용 중 글을 인용하고자 할 때는
   '[출처: 항목명 -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과 같이 출처 표기를 하여야 합니다.
• 단, 미디어 자료는 자유 이용 가능한 자료에 개별적으로 공공누리 표시를 부착하고 있으므로, 이를 확인하신 후 이용하시기 바랍니다.
미디어ID
저작권
촬영지
주제어
사진크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