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음보 1구로 하여 모두 120구이며, 4·4조와 3·4조가 거의 반반으로 혼합된 율조를 보이고 있다. 오십노년(五十老年)의 나이로 정묘년 중춘(仲春)에 동네 노인네들과 함께 주왕산(周王山)을 유람하고 그 아름다운 선경을 흥취 있게 노래한 작품이다. 여기 정묘년은 이 글의 내용으로 보아 1927년인 듯하다.
내용은, 청춘시절 왕사(往事)를 생각하니 고향은 꿈속에 있는 듯하고 인생고락 한탄 속에 백발이 이미 성성한데, 신선경을 찾아 영남의 명승지인 청송(靑松) 주왕산을 두루 구경해보니 진정 별유천지요, 무릉도원이라 하고 인생행락(人生行樂)이 그지없다고 한 것이다.
비록 구식 글로 되는 대로 지은 것이긴 하지만 명산승지를 찾았던 표적으로 아손에게 전해주고자 한다고 끝맺고 있는데, 부녀자들 사이에 이러한 풍류스러운 가사 창작의 관습이 보편화되어 연면하게 이어져왔음을 엿볼 수 있는 작품이다. 경상북도 영덕군 달산면 대치리에서 수집한 필사본이 『규방가사(閨房歌辭)』 Ⅰ에 수록되어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