수리산 ()

자연지리
지명
경기도 안양시 만안구 안양동과 군포시 속달동 및 안산시 상록구 수암동에 걸쳐 있는 산.
이칭
이칭
수리산(修李山)
속칭
견불산(見佛山)
지명/자연지명
면적
36.155㎢
높이
489m
소재지
경기도 안양시 만안구 안양동, 군포시 속달동, 안산시 상록구 수암동
• 본 항목의 내용은 해당 분야 전문가의 추천을 통해 선정된 집필자의 학술적 견해로 한국학중앙연구원의 공식입장과 다를 수 있습니다.
내용 요약

수리산은 경기도 안양시 만안구 안양동과 군포시 속달동 및 안산시 상록구 수암동에 걸쳐 있는 산이다. 해발 고도는 가장 높은 태을봉이 489m이며, 해발 고도 300~400m의 봉우리들이 능선을 이룬다, 광주산맥을 구성하는 산지로, 기반암은 선캄브리아기 변성암을 중심으로 규암질의 봉우리와 편마암질의 계곡부로 이루어져 있다. 도시 지역에 위치한 산으로 아름다운 숲이 조성되어 있어 많은 시민들이 찾고 있으며, 수리산 둘레길도 개통되어 있다. 현재 수리산 도립공원으로 지정되어 있다.

정의
경기도 안양시 만안구 안양동과 군포시 속달동 및 안산시 상록구 수암동에 걸쳐 있는 산.
개설

수리산의 위치는 동경 126°50″∼126°55″, 북위 37°20″∼37°24″이고 높이는 489m이다. 조선시대에 안산군(安山郡)의 명산으로 봉우리가 매우 빼어났으며 산곡이 깊었다. 전체 면적 36.155㎢ 중 안양시가 19.5㎢, 군포시가 10.475㎢, 안산시가 6.18㎢를 점유하고 있다. 수리산 도립공원으로 지정되어 있다.

명칭 유래

수리산 지명의 유래에 관해서는 세가지 설이 있다. 산의 바위가 마치 독수리와 비슷하여 수리산이라 했다는 설, 신라시대 진흥왕 때 창건한 수리사(修理寺)로 인해 수리산이라 했다는 설, 조선시대 때 어느 왕손이 수도(修道)하여 수리산(修李山)이라고 했다는 설 등이 그것이다. 일명 견불산(見佛山)이라고도 한다.

자연환경

수리산은 광주산맥을 구성하는 산지 중의 하나로 군포시의 북서쪽에 위치하고 있다. 태을봉(489m)을 중심으로 남서쪽에 슬기봉(451.5m), 북서쪽으로 관모봉(426m), 남서쪽으로 수암봉(395m) 등이 있다.

수리산의 기반암은 주로 선캄브리아기에 형성된 암석으로 이루어져 있으며, 봉우리 및 절벽은 대체로 상대적으로 풍화 및 침식(浸蝕)에 강한 백운모편암(PCEms)으로 이루어진 규암(硅巖)이고 계곡 지대에는 상대적으로 풍화 및 침식에 약한 흑운모호상편마암(PCEbngn)이나 안구상편마암(PCEagn)이 넓은 범위를 차지한다.

숲의 상층부는 낙엽 활엽수(落葉闊葉樹)로서 굴참나무, 갈참나무, 신갈나무가 우점하고 있고 상록 침엽수(常綠針葉樹)로는 소나무가 일부지역에 소규모로 분포하고 있다. 전체적으로 수리산에서 나타나는 포유류는 종류와 개체수가 비교적 적은 경향을 나타내고 있다. 두더지, 멧토끼, 청설모, 들개, 너구리, 족제비 등이 서식하고 있다고 보고되고 있다.

현황

산의 북쪽 골짜기에 있는 안양동의 담뱃골은 약 30호쯤 되는 작은 산촌으로 지금은 담배를 재배하지 않으나, 조선 후기에 헌종천주교를 박해하던 기해박해 때, 천주교 신자들이 숨어 들어와 담배를 가꾸며 살던 곳이다.

이들 중 이 땅의 두 번째 신부최양업(崔良業)의 가족들이 겪은 수난은 매우 처참하였다. 최양업의 어린 동생들은 당고개에서 죽음을 당한 많은 신자 중 어머니의 주검은 못 찾고 아버지 최경환의 주검만을 거두어 그들이 살던 수리산 골짜기에 묻었다. 그 무덤 자리는 지금도 남아 있어 천주교 신도들의 순례지가 되었다.

북쪽으로 안양시, 동남쪽으로 군포시, 서쪽으로 신흥 도시(新興都市)인 안산시와 접하고 있고 아름다운 숲이 있어 관광지로서 기대를 받고 있다. 숲은 약 100년에서 300년가량 된 고목들이 우거져 있고, 숲의 가장 깊숙한 곳에 당집이 자리 잡고 있어서 역사 · 민속학적으로 주목을 받고 있다. 당집은 중부지방 서해안 일대에 발달된 ‘터줏가리당’이다. 수리산 숲 내에는 수리사를 비롯한 여러 사찰도 위치하고 있다. 숲은 2002년에는 생명의 숲 및 산림청에서 주최한 『제3회 아름다운 숲』 전국대회에서 우수상을 수상하였다. 수리산 유원지와 수리산 삼림욕장이 있는 수리산은 2009년 7월에 도립공원으로 지정되었다.

수리산은 수도권 도시 지역에 위치한 산이기 때문에 많은 시민들이 등산 및 산책의 목적으로 방문한다. 수도권 지하철 4호선 수리산역을 비롯하여 4호선 대야미역을 비롯한 지하철과 버스 등으로 등산로 입구까지 접근이 용이하다. 주요 등산로로 수리산역에서 시작하여 초막골 생태공원을 거쳐 태을봉까지 등산한 후 관모봉을 거쳐 명학역으로 하산하는 코스를 비롯하여 다수의 등산로가 개통되어 있다. 또한, 안양 수리산 둘레길, 군포수릿길 등 수리산 주변으로 둘레길이 다수 개통되어 있어 이를 방문하는 시민들도 많다.

참고문헌

원전

『신증동국여지승람(新增東國輿地勝覽)』

단행본

이원순, 『천주교회사』 (탐구당, 1970)
『한국의 발견-경기도-』 (뿌리깊은나무사, 1983)
『한국지명총람』 (한글학회, 1985)

논문

「시민휴식공간으로서의 산림자원 활용 및 보전 전략에 관한 연구-군포시 수리산을 중심으로-」 (정등조, 상명대학교 석사학위논문, 2007)

인터넷 자료

군포시청(https://www.gunpo.go.kr/)
한국지질자원연구원 지오빅데이터 오픈플랫폼(https://data.kigam.re.kr/)
관련 미디어 (1)
• 항목 내용은 해당 분야 전문가의 추천을 거쳐 선정된 집필자의 학술적 견해로, 한국학중앙연구원의 공식입장과 다를 수 있습니다.
• 사실과 다른 내용, 주관적 서술 문제 등이 제기된 경우 사실 확인 및 보완 등을 위해 해당 항목 서비스가 임시 중단될 수 있습니다.
•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은 공공저작물로서 공공누리 제도에 따라 이용 가능합니다. 백과사전 내용 중 글을 인용하고자 할 때는
   '[출처: 항목명 -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과 같이 출처 표기를 하여야 합니다.
• 단, 미디어 자료는 자유 이용 가능한 자료에 개별적으로 공공누리 표시를 부착하고 있으므로, 이를 확인하신 후 이용하시기 바랍니다.
미디어ID
저작권
촬영지
주제어
사진크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