수양산가 ()

목차
관련 정보
고전시가
작품
조선시대, 십이가사 중 하나인 궁중음악.
• 본 항목의 내용은 해당 분야 전문가의 추천을 통해 선정된 집필자의 학술적 견해로 한국학중앙연구원의 공식입장과 다를 수 있습니다.
목차
정의
조선시대, 십이가사 중 하나인 궁중음악.
내용

십이가사의 하나. 작자와 제작연대는 미상이다. 『 정선조선가곡』 · 『교주가곡집』에 수록되어 있다. 십이가사 중 「 백구사(白鷗詞)」 · 「 죽지사(竹枝詞)」 등이 정격(正格)으로 불리는 데 반해, 이 노래는 「처사가 處士歌」 등과 더불어 변격(變格)으로 불린다. 잡가와의 구별이 그리 뚜렷하지 않다.

문학상으로도 4음보 연속체라는 가사(歌辭) 장르 특유의 율격을 상당히 벗어나고 있다. 즉 이 작품에서는 호흡을 길게 엮어가는 변격형 가사의 특이성을 보이고 있는데, 이는 작품 전체가 단 하나의 문장으로 구조화되어 있기 때문이다.

특히 노래의 중간에 “네로이네노 노네니나 네루이루하고 나루이루하고 네로나 이루 나로로 이루하고 네루네니 나네니나 노네니나노 노너니나”라는 여음이 삽입되어 있다. 이 여음을 경계로 전련과 후련이 분절되어 있는 형식을 보이고 있어 잡가 장르에 귀속시키거나 또는 조선 후기에 변모된 평민가사로 다루기도 한다.

묘사보다는 서술이 중심이 되어 있다. 이 작품에서 작가는 달구경하면서 술과 안주를 벗하며 자연을 즐기려 했더니 바람이 불고 눈비가 오려고 하여 달구경을 즐길 수 없는 심회를 읊고 있다.

아울러 항우(項羽)와 양귀비(楊貴妃)의 슬픈 고사를 떠올리며 비감에 젖다가 “오늘같이 좋고 좋은 날 만나 아니 놀고 무엇 일하자느냐”라고 역설적으로 풍류를 노래하였다.

「수양산가」의 가사는 모두 4마루로 되어 있다. 첫째마루의 가사는 수양산(首陽山)에 얽힌 백이(伯夷) · 숙제(叔齊)의 고사로 시작한다. 둘째마루는 첫째마루보다 짧고, 수양산과는 전혀 다른 간단한 풍광(風光)을 서술하였다. 셋째마루는 긴 입타령이다.

마지막 넷째마루가 가장 긴 가사로 되었는데 중국의 고사를 읊으면서 인생은 허무하니 마음껏 놀아보자는 내용으로 끝맺고 있다. 이러한 가사 4마루는 6절의 음악으로 만들어졌는데, 셋째마루 외에는 모두 두 절씩으로 나누어 가락을 붙였다. 6박을 한 장단으로 하는 절의 구조는 다음과 같다.

1절 4장단, 2절 6장단, 3절 7장단, 4절 7장단, 5절 8장단, 6절 6장단이다. 1절부터 3절까지의 끝 두 장단의 5절 가락은 같으며 마지막 6절의 장단은 4박으로 축소되었다. 황종(黃) · 태주(太) · 중려(仲) · 임종(林) · 무역(無)의 평조적 5음음계로 되어 있고, 노래의 음역은 탁임종(㑣)-청중려(㳞)이다.

가락은 4도가 주축이 되고 비약진행(飛躍進行)을 하며 굴곡이 심하고 잡가의 창법으로 쓰고 있다. 6절의 가락이 모두 달라서 변화가 많으나 1절 ·2절 ·3절과 끝절인 6절의 종지를 이루는 장단의 가락이 같다.

다른 4절과 5절의 종지 가락은 상행4도 종지가 분명하나, 곡의 끝종지를 이루는 것은 상행4도 사이에 장식 선율을 삽입하여 순차적으로 하행시킨다. 이로써 종지감을 감소시키고 있다. 비약진행의 가락을 잡가의 창법과 함께 부르므로 웅혼하고 남성적인 멋이 깃들어서 가객들에게 널리 불리고 있다.

참고문헌

『한국가창대계』(이창배, 홍인문화사, 1976)
• 항목 내용은 해당 분야 전문가의 추천을 거쳐 선정된 집필자의 학술적 견해로, 한국학중앙연구원의 공식입장과 다를 수 있습니다.
• 사실과 다른 내용, 주관적 서술 문제 등이 제기된 경우 사실 확인 및 보완 등을 위해 해당 항목 서비스가 임시 중단될 수 있습니다.
•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은 공공저작물로서 공공누리 제도에 따라 이용 가능합니다. 백과사전 내용 중 글을 인용하고자 할 때는
   '[출처: 항목명 -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과 같이 출처 표기를 하여야 합니다.
• 단, 미디어 자료는 자유 이용 가능한 자료에 개별적으로 공공누리 표시를 부착하고 있으므로, 이를 확인하신 후 이용하시기 바랍니다.
미디어ID
저작권
촬영지
주제어
사진크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