신각 ()

조선시대사
인물
조선전기 경상좌수사, 강화부사, 경상도방어사 등을 역임한 무신.
인물/전통 인물
성별
남성
출생 연도
미상
사망 연도
1592년(선조 25)
본관
평산(平山)
주요 관직
경상좌수사|강화부사|경상도방어사
관련 사건
임진왜란
• 본 항목의 내용은 해당 분야 전문가의 추천을 통해 선정된 집필자의 학술적 견해로 한국학중앙연구원의 공식입장과 다를 수 있습니다.
정의
조선전기 경상좌수사, 강화부사, 경상도방어사 등을 역임한 무신.
개설

본관은 평산(平山). 아버지는 신의충(申義忠)이다.

생애 및 활동사항

무과에 급제하고 선조 초에 연안·영흥의 부사를 거쳐, 1574년(선조 7) 경상좌수사, 1576년에 경상우병사를 역임하였다.

1586년 강화부사를 거쳐 이듬해 경상도방어사가 되었으나, 영흥부사 재직 시에 신창현감(新昌縣監) 조희맹(趙希孟)이 그의 첩에서 난 아들을 납속(納粟)시켜서라도 벼슬길에 나갈 수 있게 해달라는 요청을 받고 관의 곡식을 꺼내 그 납속을 충당해주었다가 파직되었다.

1592년 임진왜란이 일어나자 다시 기용되었으며 서울 수비를 위하여 수성대장(守城大將) 이양원(李陽元) 휘하의 중위대장(中衛大將)에 임명되었고, 다시 도원수 김명원(金命元) 휘하의 부원수로서 한강을 지켰다.

이 때 김명원은 임진에 가 있었으므로 유도대장(留都大將) 이양원을 따라 양주에 가서 흩어진 군졸들을 수습하고 함경도병마사 이혼(李渾)의 원군과 합세하여, 양주 해유령(蟹踰嶺)에서 일본군을 크게 무찔렀다.

그 결과 적의 머리 70급(級)을 베었는데 이것은 왜란 초기 처음 있는 승첩이었다. 그런데 이 무렵 이양원이 산골에 숨어 있어 소식이 끊겼는데, 신각이 명령을 따르지 않고 이양원을 따라 도망쳤다는 내용의 장계(狀啓)가 올려져 당시 우의정 유홍(兪泓)에 의해 참형을 당하였다. 이날 오후 양주에서 다시 첩보가 도착하여 왕이 신각을 죽이지 말라고 선전관을 뒤따라 보냈으나, 이미 처형된 뒤였다.

무인이었으나 청렴, 근신했으므로 비명에 죽은 것을 모두 애석해하였다. 연안의 현충사(顯忠祠)에 배향되었다.

참고문헌

『선조실록(宣祖實錄)』
『선조수정실록(宣祖修正實錄)』
『정조실록(正祖實錄)』
『연려실기술(燃藜室記述)』
• 항목 내용은 해당 분야 전문가의 추천을 거쳐 선정된 집필자의 학술적 견해로, 한국학중앙연구원의 공식입장과 다를 수 있습니다.
• 사실과 다른 내용, 주관적 서술 문제 등이 제기된 경우 사실 확인 및 보완 등을 위해 해당 항목 서비스가 임시 중단될 수 있습니다.
•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은 공공저작물로서 공공누리 제도에 따라 이용 가능합니다. 백과사전 내용 중 글을 인용하고자 할 때는
   '[출처: 항목명 -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과 같이 출처 표기를 하여야 합니다.
• 단, 미디어 자료는 자유 이용 가능한 자료에 개별적으로 공공누리 표시를 부착하고 있으므로, 이를 확인하신 후 이용하시기 바랍니다.
미디어ID
저작권
촬영지
주제어
사진크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