심성론 ()

불교
문헌
조선 후기 17세기 후반에, 활동한 승려 운봉 대지(雲峯大智)가 불교적 입장에서 심성(心性)에 대해 논한 불교서.
이칭
이칭
운봉선사심성론(雲峰禪師心性論)
문헌/고서
편찬 시기
1684년(숙종 10)
간행 시기
1686년(숙종 12)
저자
운봉 대지(雲峯大智)
권책수
1권 1책
권수제
운봉선사심성론(雲峰禪師心性論)
판본
목판본
소장처
국립중앙도서관, 고려대학교 도서관
내용 요약

『심성론(心性論)』은 17세기 후반에 활동한 승려 운봉 대지(雲峯大智)가 불교적 입장에서 심성(心性)에 대해 논한 불교서이다. 1684년경에 9행 18자 판본과 1686년 이후에 10행 20자 판본으로 간행되었다. 조선 후기 불교계의 심성 논쟁과 유불 교섭에 관한 불교 사상서로서의 가치를 지니고 있다.

정의
조선 후기 17세기 후반에, 활동한 승려 운봉 대지(雲峯大智)가 불교적 입장에서 심성(心性)에 대해 논한 불교서.
저자

대지(大智)의 호는 운봉(雲峯)이며, 청허 휴정(淸虛休靜)의 법맥을 이어받았으며 우화(雨花)의 제자이다. 『심성론』에 그가 교류했던 승려와 유학자에 대한 기록 외에 자세한 행적은 알 수 없다. 1686년 자장(自章)이 쓴 서문에 “운봉 선사가 『심성론』 한 권을 저술하여 총림의 주1으로 삼았다. (중략) 지금 운봉 선사가 80의 나이에 스스로 답하고 힘써 설하였으며, 판에 새겨 인출하여 수많은 사람들에게 보였다.”라는 기록으로 볼 때 그의 생몰 연대를 1606년에서 1690년 전후로 추정해 볼 수 있다.

서지사항

현재 국립중앙도서관과 고려대학교 도서관 등에서 조선 후기에 간행된 『심성론』의 목판본을 소장하고 있다. 국립중앙도서관 소장본은 10행 20자, 고려대학교 도서관 소장본은 9행 18자로 판본의 형태뿐만 아니라 원문 구성과 내용에서도 차이가 있다. 17세기 후반에 『심성론』의 편찬과 간행이 두 차례 진행된 것으로 보인다.

편찬 및 간행 경위

고려대학교 도서관 소장본은 서두에 ‘서암 계곡(栖岩溪谷) 과석(科釋), 문인(門人) 신수(神秀) 편록(編錄), 숭곡 허주(嵩谷虛舟) 정정(訂正)’의 편찬자를 밝혀 두고 있다. 「경책문인(警策門人)」 말미에 “강희 23년 갑자년 정월 운봉 대지가 오로지 제자들이 의지로 삼도록 하기 위해 이 사기를 쓴다(康熙二十三年甲子元月日雲峯子大智全爲弟資述此私記).”와 책 말미에 “강희 23년 갑자년 4월 제자 신회가 삼가 명을 받들어 글씨를 쓴다(康熙二十三年甲子四月日門弟子神會謹命而書終).” 등의 기록으로 볼 때, 1684년에 편찬에 이어 간행한 것으로 추정된다.

국립중앙도서관 소장본에 1686년 5월에 자장(自章)이 쓴 서문과 본문 말미에 호곡(壺谷) 남용익(南龍翼)이 “운봉 노스님이 병인년(1686)년 7월에 ‘도는 사람을 멀리하지 않는다’는 구절을 가지고 나에게 서문을 요청하였지만, 『심성론』의 서문 한 편을 이름 있는 자가 이미 작성하였기 때문에 나는 다만 하나의 운을 취해서 시를 지어 말하겠노라.”라고 쓴 내용을 볼 때, 이 판본은 1686년 이후에 다시 간행된 것으로 추정된다.

구성

국립중앙도서관 소장의 『심성론』은 자장과 대지의 서문에 이어 본문인 「심성론」과 「심성후발(心性後跋)」, 부록인 「간병후서(揀病後書)」, 「갑계동참발원문(甲契同參發願文)」, 「경책문인(警策門人)」과 시편(詩篇) 등으로 구성되어 있다. 이에 비해 고려대학교 도서관 소장본은 구성 순서가 다르고 원문 내용도 빠져 있는 부분이 있다.

『심성론』의 본문은 전반부와 후반부로 나눌 수 있다. 후반부는 운봉 선사의 제자인 서암 계곡이 과석한 것이며, 본서의 핵심인 전반부에서는 『대승기신론』에 기반을 두고 두 가지를 논의하고 있다. 하나는 성리학심성론에 비해 불교의 심성론이 철학적 우위에 있음을 밝히고 있다. 성리학의 무극(無極)태극(太極)을 불교의 성각(性覺)과 명각(明覺)에 배대하여 설명하였다. 다른 하나는 당시 불교계 내부에 있었던 일법신설(一法身說)과 다법신설(多法身說)의 심성 논쟁을 소개한 것인데, 대지는 이 중 다법신설이 옳다고 주장하고 있다.

내용

불교의 주10에 대하여 그 원리와 의문되는 점을 여러 측면에서 인증하여 학문적으로 정리하였다. 먼저 당시 유학자의 불교에 대한 이론을 조화하기 위하여 『주역』』의 원리와 불교의 심성 원리를 대조하여 배합시키고자 하였다.

『주역』의 도는 태극에서 비롯되었고, 태극은 무극에 근본을 두고 있는데, 무극이 담적영명(湛寂靈名: 맑고 고요하여 신령스러움)하여 십허(十虛: 시방의 허공)를 포괄하는 것이 곧 부처의 법신(法身)과 같다고 보았다. 즉, 『주역』에서 말하는 무극이 곧 불교에서 말하는 심성의 본체로서 그 영묘(靈妙)한 면을 태극이라고 논하였다.

『열자(列子)』에서 말한 태초(太初)는 신기하고 기묘한 일기(一氣: 만물이 갖는 본래의 기운)를 말한 것이고, 그 일기가 회전하는 것이 태시(太始)며, 영묘순진(靈妙純眞)한 것을 주4라 하였다. 그리고 이기(理氣)가 나누어 판단된 것을 주5라고 하는데, 기운이 맑아 위로 올라간 것을 양(陽)이라고 하고, 기운이 탁하여 내려간 것을 음(陰)이라고 하니, 부처의 주9이 이것이라고 하였다.

이와 같은 유교의 『주역』과 주11 계통의 『열자』에 나오는 태초 · 태시 · 태소 등의 우주 생성설을 혼합하여 불교의 심성설을 천명한 것은, 당시 유학자나 기타 노장 계통의 학설을 한데 회통하여 그 사상적 대립성을 조화하려고 한 것이다.

다음으로 마음의 본체를 논하고, 또 부처와 중생의 마음의 주6이 하나인가 각각인가, 법신이 하나인가 다른가 등에 관하여 논술하였다. 법신은 하늘에 있는 한 개의 달과 같은 것으로 그 그림자가 물에 나타나는 것이라고 하였다. 그리고 일원상(一圓相) · 일물(一物)에 대하여 논술하고, 7대(七大: 지(地) · 수(水) · 화(火) · 풍(風) · 공(空) · 견(見) · 식(識))가 모두 주7의 진여성(眞如性: 절대적 진리)임을 밝혔다. 또, 주8의 교지에 의하여 언어 문자의 지식과 이론이 뛰어나서 깨쳐 들어간다는 선문방편을 언급하면서, 제자 일선(一禪)에게 “내가 너희들을 위하여 심성의 도리를 결판하노라.”라고 하였다.

이어 이 책에 대한 찬사와 평소 저자와 사귀어 놀던 이들 사이에 주고받은 시 수십 수가 실려 있다. 끝에 나옹발원(懶翁發願)이 실려 있다.

참고문헌

원전

『운봉선사심성론』(『한국불교전서』 9, 동국대학교 출판부, 1988)

단행본

이종수 옮김, 『운봉선사심성론』(동국대학교 출판부, 2011)

논문

박해당, 「조선 후기 불교의 심성론: 대지의 『운봉선사심성론』을 중심으로」(『불교와 문화』 23, 대한불교진흥원, 1997)
이병욱, 「『운봉선사 심성론』의 사상적 특징」(『한국선학』 24, 한국선학회, 2009)
이종수, 「조선후기 불교계의 심성 논쟁: 운봉의 『심성론』을 중심으로」(『보조사상』 29, 보조사상연구원, 2008)
주석
주1

사물을 보고 분별하는 견문과 학식. 우리말샘

주2

하늘과 땅이 생겨난 맨 처음. 우리말샘

주4

천지개벽 이전의 혼돈하던 때. 우리말샘

주5

양(陽)과 음(陰). 또는 하늘과 땅. 우리말샘

주6

근본이 되는 본디의 바탕. 우리말샘

주7

미계(迷界)에 있는 진여(眞如). 미계의 사물은 모두 진여에 섭수(攝受)되었으므로 이렇게 일컫고, 진여가 바뀌어 미계의 사물이 된 때에는 그 본성인 여래의 덕이 번뇌 망상에 덮이지 않게 되었으므로 이렇게 부른다. 또한 미계의 진여는 그 덕이 숨겨져 있을지언정 아주 없어진 것이 아니고 중생이 여래의 본성과 덕을 갖추고 있으므로 이렇게 칭한다. 우리말샘

주8

일정한 교리 연구를 다 마치고 전적으로 선(禪) 수행에 들어감. 우리말샘

주9

삼신(三身)의 하나. 선행 공덕을 쌓은 결과로 부처의 공덕이 갖추어진 몸을 이른다. 우리말샘

주10

우주의 본체를 정신적인 것으로 보며 물질적 현상도 정신적인 것의 발현이라는 이론. 플라톤, 라이프니츠, 헤겔 등이 그 대표적 철학자이다. 우리말샘

주11

노자와 장자를 아울러 이르는 말. 우리말샘

관련 미디어 (2)
• 본 항목의 내용은 관계 분야 전문가의 추천을 거쳐 선정된 집필자의 학술적 견해로, 한국학중앙연구원의 공식 입장과 다를 수 있습니다.

•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은 공공저작물로서 공공누리 제도에 따라 이용 가능합니다. 백과사전 내용 중 글을 인용하고자 할 때는 '[출처: 항목명 -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과 같이 출처 표기를 하여야 합니다.

• 단, 미디어 자료는 자유 이용 가능한 자료에 개별적으로 공공누리 표시를 부착하고 있으므로, 이를 확인하신 후 이용하시기 바랍니다.
미디어ID
저작권
촬영지
주제어
사진크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