유불일치론 ()

목차
관련 정보
불교
개념
유교와 불교의 사상이 서로 대치되는 것이 아니라 뜻이 일치한다는 이론을 가리키는 종교용어. 유교용어.
목차
정의
유교와 불교의 사상이 서로 대치되는 것이 아니라 뜻이 일치한다는 이론을 가리키는 종교용어. 유교용어.
연원 및 변천

유불일치론은 중국에서 먼저 대두되었다. 예(禮)를 권위로 삼는 유교윤리의 중국사회에 처음 불교가 전해지자, 오계(五戒)라는 불교의 실천윤리를 유교의 주1이나 오륜(五倫)과 어떻게 일치, 조화시키느냐 하는 것이 불교측에 있어서의 가장 큰 관심사였다. 오계를 오상과 일치시켜 중국사상에 합치시키는 일은 불교를 중국인들에게 이해시키는 가장 좋은 수단이 되었기 때문이다.

북위(北魏) 때의 담정(曇靖)은 『제위파리경(提謂波利經)』이라는 위경(僞經: 부처가 설하지 않은 경전)을 만들어서 오계와 오상의 일치를 꾀하였다. 그 뒤에도 중국에서는 유밀(劉謐)의 『삼교평심론(三敎平心論)』을 비롯하여 계숭(契嵩)의 『보교편(輔敎篇)』, 장상영(張商英)의 『호법론(護法論)』 등을 통하여 유불일치를 꾀하였다.

우리나라의 경우, 신라와 고려 때는 불교가 그 사회를 주도하는 위치에 있었고 유교가 사회적으로 크게 등장하지 않았기 때문에 유불일치론은 현실적으로 승려들 사이에서 큰 관심거리가 되지 못하였다. 그러나 조선시대에 접어들면서 그 사정은 자연 달라질 수밖에 없었다. 고려 말부터 송학(宋學)이 전래되면서 중국의 경우처럼 고려에도 주2이 크게 등장하였고, 조선 초기에 억불정책을 시행하게 되자 불교측에서 유불일치론을 주창하게 된 것이다.

그 최초의 인물은 기화(己和)였다. 기화는 『현정론(顯正論)』을 저술하여 유교와 불교의 근본정신과 실천윤리가 다르지 않음을 천명하였다. 또한, 기화의 저술로 추정되고 있는 『유석질의론(儒釋質疑論)』은 유교의 음양 · 오행 · 심(心) · 성(性) · 이(理) · 기(氣) 등을 불교의 교리와 비교, 해석하여 그 일치점을 모색한 매우 논리적인 저서이다. 조선 중기의 보우(普雨)「일정설(一正說)」을 지어 유교의 성명(性命)과 천리(天理)에 관한 학설을 밝혔고, 휴정(休靜)『삼가귀감(三家龜鑑)』을 지어 유교와 불교와 도교의 조화를 도모하였다.

처능(處能)은 『인의설(仁義說)』 · 『성명설(性命說)』 · 『간폐석교론(諫廢釋敎論)』 등을 저술하여 나라를 다스리고 백성을 교화하는 데 유교와 불교가 새의 두 날개 또는 수레의 두 바퀴와 같은 구실을 한다는 것을 강조하였다. 숙종 때의 대지(大智)는 『심성론(心性論)』을 저술하여 유교의 무극(無極)을 불교의 법신(法身)에 대비시키는 등 두 종교의 매우 깊은 사상을 원천적으로 결합시켜 보고자 노력하였다.

참고문헌

『현정론(顯正論)』
『심성론(心性論)』
『백곡집(白谷集)』
주석
주1

유학에서, 사람이 지켜야 할 다섯 가지 도리. 부자유친, 군신유의, 부부유별, 장유유서, 붕우유신을 이른다. 우리말샘

주2

불교를 배척하자는 주장. 우리말샘

집필자
이종익
    • 본 항목의 내용은 관계 분야 전문가의 추천을 거쳐 선정된 집필자의 학술적 견해로, 한국학중앙연구원의 공식 입장과 다를 수 있습니다.

    •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은 공공저작물로서 공공누리 제도에 따라 이용 가능합니다. 백과사전 내용 중 글을 인용하고자 할 때는 '[출처: 항목명 -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과 같이 출처 표기를 하여야 합니다.

    • 단, 미디어 자료는 자유 이용 가능한 자료에 개별적으로 공공누리 표시를 부착하고 있으므로, 이를 확인하신 후 이용하시기 바랍니다.
    미디어ID
    저작권
    촬영지
    주제어
    사진크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