안무사 ()

목차
고려시대사
제도
고려시대의 관직.
• 본 항목의 내용은 해당 분야 전문가의 추천을 통해 선정된 집필자의 학술적 견해로 한국학중앙연구원의 공식입장과 다를 수 있습니다.
목차
정의
고려시대의 관직.
내용

1012년(현종 3)에 절도사제(節度使制)를 폐지하고 75도(道)에 안무사를 파견하였으나 1018년에 폐지되었다. 이때에 안무사는 75도가 아니라 양주·광주·충주·청주·진주·길주·황주 등의 7주에 파견된 것이라는 설도 있다.

1107년(예종 2)에 백성의 질고와 수령의 전최(殿最 : 관리의 근무태도를 조사하여 고과를 매기는 일)를 살피는 것을 그 임무로 하는 안무사를 여러 도에 보냈다. 이 때부터 안무사는 일이 생기면 파견하고 그 일이 끝나면 파하는 임시관직으로 되었다.

후기의 안무사는 실제로는 지방에 소요(騷擾)나 변란이 일어났을 때에 흔히 파견되었으며 지방 군현(郡縣)의 떠돌아다니는 백성을 안집(安集)하는 것을 임무로 하였다. 『고려사(高麗史)』 백관지(百官志)는 1276년(충렬왕 2)에 안무사를 고쳐 순무사(巡撫使)로 하였다고 기록하고 있으나 그 뒤에도 여전히 안무사가 파견되었다.

참고문헌

『고려사(高麗史)』
『동사강목(東史綱目)』
「고려지방제도(高麗地方制度)의 정비(整備)와 주현군(州縣軍)의 성립(成立)」(이기백, 『조명기박사화갑기념불교사학논총(趙明基博士華甲記念佛敎史學論叢)』, 1965)
「고려지방제도(高麗地方制度)의 일연구(一硏究)」(하현강, 『사학연구(史學硏究)』13, 1963)
• 항목 내용은 해당 분야 전문가의 추천을 거쳐 선정된 집필자의 학술적 견해로, 한국학중앙연구원의 공식입장과 다를 수 있습니다.
• 사실과 다른 내용, 주관적 서술 문제 등이 제기된 경우 사실 확인 및 보완 등을 위해 해당 항목 서비스가 임시 중단될 수 있습니다.
•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은 공공저작물로서 공공누리 제도에 따라 이용 가능합니다. 백과사전 내용 중 글을 인용하고자 할 때는
   '[출처: 항목명 -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과 같이 출처 표기를 하여야 합니다.
• 단, 미디어 자료는 자유 이용 가능한 자료에 개별적으로 공공누리 표시를 부착하고 있으므로, 이를 확인하신 후 이용하시기 바랍니다.
미디어ID
저작권
촬영지
주제어
사진크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