도부서 ()

고려시대사
제도
고려시대 지방의 수군(水軍)을 지휘 · 감독하던 관청.
이칭
이칭
선병도부서
목차
정의
고려시대 지방의 수군(水軍)을 지휘 · 감독하던 관청.
개설

일명 선병도부서(船兵都部署)라 불렸다. 고려 전기 해안의 방어를 위한 수군전담관서로서 동북양계(東北兩界)의 도부서(都部署)와 동남해도부서(東南海都部署)가 있었다.

내용 및 변천

도부서의 설치시기 및 기능에 있어서는 다소 차이가 있다.

동계방면에는 대략 1005년(목종 8)∼1009년(현종 즉위년) 사이에 진명도부서(鎭溟都部署 : 지금의 함경남도 원산 부근)가, 1044년(정종 10)∼1049년(문종 3) 사이에 원흥도부서(元興都部署 : 지금의 함경남도 정평)가 설치되어, 당시 빈번하게 동해안을 침범하던 동여진(東女眞)의 해적에 대비하였다.

그리고 북계방면에는 통주도부서(通州都部署 : 지금의 평안북도 선천)와 압강도부서(鴨江都部署 : 지금의 압록강 남안)가 있었다.

대략 996년(성종 15)∼1019년(현종 10)에 설치된 통주도부서와 994년(성종 13)∼1039년(정종 5)에 설치된 압강도부서는 그 설치목적이 동계도부서와 같이 해적의 침입에 대비했다기보다는 주변의 도(渡)나 진(津)의 방어 및 군사요충지의 지상군 지원에 있었다.

직제는 고려의 전면적인 관제개혁이 실시된 문종 이전에는 중국 5대와 송(宋)·요(遼) 등에서와 같이 도부서·부부서(副部署)·판관 등의 직관명이 사용되었다. 그러나 이 후에는 도부서사(都部署使, 6품)·도부서부사(都部署副使, 7품)·도부서판관(都部署判官) 등 다분히 고려 특유의 직관명으로 개칭되었다.

이들은 모두 동계와 북계의 병마사(兵馬使)의 지휘·감독을 받으며 일선 전투수군線戰鬪水軍)으로서의 기능과 임무를 수행하였다.

그리고 경상도·전라도·양광도 등의 연해지역을 관장하는 선병도부서로서 동남해도부서(東南海都部署)가 있었다. 그 설치시기는 대략 1049년 이전으로 추정된다. 이 동남해도부서 역시 본질적으로는 수군을 통수(統帥)하여 해상으로부터의 침입에 대처하는 것이었다.

그러나 양계도부서와 같이 일선전투수군이라기보다는, 동남해 방면을 관할해역으로 하는 후방경비수군으로 주로 비군사적 임무인 일본으로부터의 방물진공(方物進貢)과 표류민 호송을 위한 사신의 응대 등 국가 간의 공식적인 교섭을 보조하는 임무를 수행하였다.

때로는 안찰사(安察使)·안렴사(安廉使)와 마찬가지로 지방의 뇌옥(牢獄)의 검찰과 지방관의 감독 등 지방행정적 임무를 수행하기도 하였다.

이러한 기능상의 이유로 그 본영의 소재지가 원래 경주였던 것이 일본과의 교섭을 위한 교통상의 문제를 감안해 김해로 바뀌게 되었다. 명칭에 있어서도 안찰사의 이칭(異稱)으로 이해되기도 하였다. 그 직제는 양계도부서와 같으나 동남해도부서사의 품계가 5품으로 양계도부서사보다 높다.

이와 같이, 고려 전기 해상의 경비 및 방어, 그리고 내왕외인(來往外人) 및 외선(外船)의 조처 등에 관한 임무를 수행한 도부서는 문헌상 1390년(공양왕 2) 혁파되고 대신 사수서(司水署, 또는 司水寺)로 개칭되었다고 한다.

그러나 실질적으로는 이미 1107년(예종 2)윤관(尹瓘)의 여진정벌과 9성의 축조 및 반환에 의해 동여진과의 분쟁이 종식됨에 따라 그 존재의의가 상대적으로 약화되고, 무신정권기의 병제개편 때 본질적인 변동을 겪게 된 것으로 보인다.

1186년(명종 16)을 끝으로 도부서는 기록에 보이지 않게 되고, 충선왕 때 도부서를 당시 어량천택(魚梁川澤)을 관장하는 도진사(都津司)의 관할 하에 두었다는 기록이 보인다. 이는 고려 후기에 이르면 수군전담기관으로서의 도부서의 본질이 이미 상실되었음을 증명해준다.

참고문헌

『고려사(高麗史)』
『고려사절요(高麗史節要)』
『세종실록지리지(世宗實錄地理志)』
『신증동국여지승람(新增東國輿地勝覽)』
『증보문헌비고(增補文獻備考)』
「고려도부서고(高麗都部署考)」(김남규, 『사총(史叢)』 11, 1966)
「高麗初期の地方制度」(周藤吉之, 『東洋大學大學院紀要』 12, 1975 ; 『高麗朝官僚制の硏究』, 法政大學出版局, 1980)
집필자
김남규
    • 본 항목의 내용은 관계 분야 전문가의 추천을 거쳐 선정된 집필자의 학술적 견해로, 한국학중앙연구원의 공식 입장과 다를 수 있습니다.

    •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은 공공저작물로서 공공누리 제도에 따라 이용 가능합니다. 백과사전 내용 중 글을 인용하고자 할 때는 '[출처: 항목명 -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과 같이 출처 표기를 하여야 합니다.

    • 단, 미디어 자료는 자유 이용 가능한 자료에 개별적으로 공공누리 표시를 부착하고 있으므로, 이를 확인하신 후 이용하시기 바랍니다.
    미디어ID
    저작권
    촬영지
    주제어
    사진크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