야은만록 ()

목차
유교
문헌
조선 후기의 학자, 박정규의 시가와 산문을 엮어 1901년에 간행한 시문집.
• 본 항목의 내용은 해당 분야 전문가의 추천을 통해 선정된 집필자의 학술적 견해로 한국학중앙연구원의 공식입장과 다를 수 있습니다.
목차
정의
조선 후기의 학자, 박정규의 시가와 산문을 엮어 1901년에 간행한 시문집.
내용

3권 1책. 목활자본. 1901년 아들 상호(尙鎬)가 편집, 간행하였다. 권두에 최익현(崔益鉉)의 서문이 있고, 권말에 오계수(吳繼洙)의 발문이 있다. 연세대학교 도서관에 있다.

권1·2에 시 36수, 서(書) 38편, 제문 2편, 문(文) 1편, 제의(祭儀) 1편, 잠(箴) 5편, 잡저 14편, 기(記)·부(賦)·설(說)·기행문 각 1편, 도(圖) 2편, 명(銘) 1편, 권3은 부록으로 시 21수, 가장·묘표 각 1편 등이 수록되어 있다.

서 중 「상노사기선생서(上蘆沙奇先生書)」는 스승 기정진(奇正鎭)에게 보낸 서찰로, 자신의 공부 진척상황을 적고 학문의 방향에 대하여 문의한 내용이다.

잡저의 「권학문(勸學文)」은 자손들에게 학문에 힘쓸 것을 당부한 글이며, 학문의 목적이 수기(修己)·치인(治人)의 유학적 이상에 있음을 밝히고 있다. 「약선율옹요결십조면아자(約選栗翁要訣十條勉兒子)」는 이이(李珥)의 『격몽요결(擊蒙要訣)』에서 열 가지의 요목을 뽑아 자손들을 교육하기 위한 자료로 삼은 것이다.

「귀정의상민후(歸正議上閔侯)」는 군수 민종렬(閔種烈)에게 보낸 것으로, 치정(治政)의 요점을 말하면서 특히 민심의 화합을 강조하였다. 이밖에 심신의 수양방법을 그림으로 나타낸 「지신도(持身圖)」·「완심도(玩心圖)」 등이 있다.

• 항목 내용은 해당 분야 전문가의 추천을 거쳐 선정된 집필자의 학술적 견해로, 한국학중앙연구원의 공식입장과 다를 수 있습니다.
• 사실과 다른 내용, 주관적 서술 문제 등이 제기된 경우 사실 확인 및 보완 등을 위해 해당 항목 서비스가 임시 중단될 수 있습니다.
•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은 공공저작물로서 공공누리 제도에 따라 이용 가능합니다. 백과사전 내용 중 글을 인용하고자 할 때는
   '[출처: 항목명 -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과 같이 출처 표기를 하여야 합니다.
• 단, 미디어 자료는 자유 이용 가능한 자료에 개별적으로 공공누리 표시를 부착하고 있으므로, 이를 확인하신 후 이용하시기 바랍니다.
미디어ID
저작권
촬영지
주제어
사진크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