야은유고 ()

목차
유교
문헌
조선 후기의 문신 · 학자, 송시영의 시가와 산문을 엮어 1873년에 간행한 시문집.
• 본 항목의 내용은 해당 분야 전문가의 추천을 통해 선정된 집필자의 학술적 견해로 한국학중앙연구원의 공식입장과 다를 수 있습니다.
목차
정의
조선 후기의 문신 · 학자, 송시영의 시가와 산문을 엮어 1873년에 간행한 시문집.
내용

2권 1책. 목활자본. 1873년(고종 10) 12대손 종호(宗鎬)가 편집, 간행하였다. 권두에 유인호(柳寅鎬)와 종후손 병기(秉夔)의 서문이 있고, 권말에 종호와 후손인 도수(道洙)의 발문이 있다. 연세대학교 도서관에 있다.

권1에 서(書) 4편, 권2는 부록으로 사제문(賜祭文) 5편, 애사 10편, 제문 9편, 고축문(告祝文) 9편, 장계(狀啓) 7편, 소(疏) 3편, 묘정기(廟庭記)·정려가(旌閭歌)·행장·묘지명·묘갈명·묘갈후기(墓碣後記)·묘갈추지(墓碣追識)·시장(諡狀)·행장·유사·정부인사실(貞夫人事實) 등이 수록되어 있다.

그의 유문은 병자호란 중에 거의 소실되어 극소수의 서만이 수록되어 있을 뿐이다. 서의 「여옥천의병소(與沃川義兵所)」는 정묘호란 때 옥천의병소에 보낸 서찰로 의병모집에 관한 상황을 연락한 것이다.

「기진사삼랑사랑첨전(寄進士三郎四郎僉前)」은 병자호란 때 묘사(廟社)를 따라 강화에 갔다가 이듬해 성이 포위되었을 때 이시직(李時稷)·윤전(尹烇)과 함께 1월 23일 자결할 것을 결심하고 문중제족 및 동지들에게 후사를 부탁한 유언서로, 그의 충절의 뜻을 담은 글이다. 이밖에 「신보형배후상장(信甫兄拜候上狀)」 등이 있다.

• 항목 내용은 해당 분야 전문가의 추천을 거쳐 선정된 집필자의 학술적 견해로, 한국학중앙연구원의 공식입장과 다를 수 있습니다.
• 사실과 다른 내용, 주관적 서술 문제 등이 제기된 경우 사실 확인 및 보완 등을 위해 해당 항목 서비스가 임시 중단될 수 있습니다.
•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은 공공저작물로서 공공누리 제도에 따라 이용 가능합니다. 백과사전 내용 중 글을 인용하고자 할 때는
   '[출처: 항목명 -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과 같이 출처 표기를 하여야 합니다.
• 단, 미디어 자료는 자유 이용 가능한 자료에 개별적으로 공공누리 표시를 부착하고 있으므로, 이를 확인하신 후 이용하시기 바랍니다.
미디어ID
저작권
촬영지
주제어
사진크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