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984년 국가민속문화재(현, 국가민속문화유산)로 지정되었다. 전하는 바로는 고종의 왕비인 명성황후가 만일의 사태에 대비하여 피난할 집으로 지었다고 하는데 지금은 안채의 일곽만 남아 있다.
「형의 안채와 」형의 행랑채, 마당을 가운데 두고 튼 □형으로 일곽을 이루고 있다. 안채는 대청과 건넌방을 남향으로 하였다. 안방과 부엌이 동향한 서변(西邊)이 된다. 대청은 툇마루가 있는 칸반통의 2칸인데 문얼굴을 설치하고 사분합을 달았다.
뒷벽에는 머름을 드린 문얼굴에 바라지 창을 달아 뒷동산을 내다보게 하였다. 대청 동편의 건넌방은 칸 반 크기이다. 안방은 칸반통의 2칸으로 제법 널찍하다. 이는 부엌을 칸반통의 2칸으로 잡은 넓이와 함께 시골집에서는 보기 드문 크기를 지녔다.
2칸 부엌 위로는 고미혀를 받친 다락을 설비하였다. 불발기를 위하여 작은 분합으로 광창을 내었고 안마당쪽으로 멍에에 따라 선반을 매었다. 선반 아래의 부엌벽은 한쪽은 판벽에 널문짝을 달았다. 나머지 칸에는 머름을 드리고 붙박이 살대를 박아 광창을 만들고 그 위 수장에 의지하여 문얼굴을 만들었다.
부엌의 크기와 다락 · 벽면 구성 등이 이 집의 특색을 이룬다. 하나 더 보기 드문 구조는 부엌 서쪽편으로 2칸 달아내고 그 중의 1칸을 찬방으로 꾸민 것이다. 행랑채는 남면에 7칸, 꺾이면서 동변에 7칸 합하여 14칸으로 이루어져 있는데 남면의 1칸이 중문으로 열려 있다.
중문 서편의 방들은 사랑방처럼 만들었으나 단칸통에서 개조되지 않았고, 부엌 1칸이 달려 있다. 중문의 동편으로는 마굿간과 마부의 방이 설치되었고 꺾이면서 부엌 2칸에 뜰아랫방 2칸, 곳간과 2칸의 내고(內庫)가 차례로 자리 잡았다.
안채 일곽의 이런 구조는 시골의 여염집이라기보다는 사대부의 제택(第宅) 중에서 격조 높은 집이었다고 보아야 마땅하다. 이는 안채에 말끔하게 다듬은 화강암의 두벌대 설치라던가 사다리꼴의 잘다듬은 주초를 놓았다던가 하는 고급스러운 치장에서도 알 수 있다.
원래 사랑채와 별당채가 더 있었다고 하며 안채 · 행랑채 밖에 사랑채의 터전이 남아 있다. 사랑채와 별당채가 남아 있다면 이 집은 명품으로 손꼽힐 수 있었을 것이다. 안채 서편에는 우물이, 서북편 언덕 위에는 장독대가 있고 앵두나무 등의 나무가 여러 그루 있다. 소박한 대로 원야(園冶)하였던 흔적도 보인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