어망 ()

목차
관련 정보
정치망
정치망
산업
물품
물고기 등을 잡기 위하여 실이나 노끈으로 많은 코의 구멍이 나게 얽은 어구.
이칭
이칭
그물
내용 요약

어망은 물고기 등을 잡기 위하여 실이나 노끈으로 많은 코의 구멍이 나게 얽은 어구이다. 그물이라고도 한다. 종류로는 걸그물, 얽애그물, 투망류, 끌그물류, 두리그물류, 들그물류, 유도함정그물류 등이 있다. 그물감으로는 매듭의 종류에 따라 참매듭그물감·막매듭그물감 등이 있다. 매듭이 없는 그물감에는 관통그물감·모기장그물감·라셀그물감 및 접착그물감 등이 있다. 그물을 구성하는 재료는 크게 천연섬유와 인조섬유로 나눌 수 있다. 어망은 인류문화의 발생과 더불어 생겨나서 지역과 환경에 맞도록 발달해 온 것이기 때문에 그 지역에 따라 특유한 것이 많다.

목차
정의
물고기 등을 잡기 위하여 실이나 노끈으로 많은 코의 구멍이 나게 얽은 어구.
내용

그물어구에는 그물코에 고기가 꽂히게 하는 걸그물과 얽히게 하는 얽애그물, 위에서 덮어 씌우는 투망류, 수평방향으로 그물을 끌어서 어획하는 끌그물류, 어군을 둘러싸서 잡는 두리그물류, 수면 아래방향으로 그물을 펼쳐두고 대상물을 그 위에 유인한 뒤 그물을 들어 올려서 잡는 들그물류, 고기를 유도해서 함정에 빠뜨려 잡는 유도함정그물류 등이 있다.

그리고 그물감으로는 매듭의 종류에 따라 참매듭그물감 · 막매듭그물감 등이 있고, 매듭이 없는 그물감에는 관통그물감 · 모기장그물감 · 라셀(raschel)그물감 및 접착그물감 등이 있다. 그물을 구성하는 재료는 매우 많으나 크게 천연섬유와 인조섬유로 나눌 수 있다.

제2차세계대전 이전까지는 주로 면 · 마와 같은 천연섬유를 사용하였으나 1950년대 이후부터는 여러 종류의 인조섬유가 개발되었고, 그 중에서도 합성섬유가 썩지 않고 질긴 장점이 있어서 그물재료로 많이 사용하게 되었다.

합성섬유 중에 대개 일곱 가지가 어구재료로 쓰이지만, 그 중 특히 많이 쓰이는 재료는 폴리아미드 · 폴리에틸렌 · 폴리프로필렌 및 폴리비닐알코올계 섬유이다. 폴리아미드는 주로 장섬유의 형태로 생산되어 유연하고 질긴 성질이 요구되는 걸그물어구에 많이 쓰이며, 끌그물과 같이 해저와의 마찰에 오래 견디어야 하는 그물은 단일섬유의 형태로 구성된 폴리에틸렌계 재료를 주로 사용하고 있다.

특히, 촉감이 면과 같이 부드럽고 미끄러지지 않는 성질이 요구되는 그물에는 단섬유로 구성된 폴리비닐알코올계에 속하는 비닐론 · 쿠랄론과 같은 그물 재료가 쓰이고 있다.

인류문화의 발생과 더불어 생겨나서 세계 각처에서 그 지역과 환경에 맞도록 발달해온 것이기 때문에 그 지역에 따라 특유한 것이 많다. 따라서 이것을 체계 있게 분류하기는 매우 어려우나 일반적으로 잡는 방법에 따라 분류하고 있다.

『세종실록』 지리지에 인용되고 있는 『단군고기(檀君古記)』의 「주몽탄생설화」에 ‘양중어(梁中魚)’라는 것이 있는 것으로 보아 일찍부터 나뭇가지나 갈피(葛皮)를 이용한 어량(魚梁)이 있었음을 암시하고 있다.

원시시대는 대나 싸리 등을 얽어서 만든 삼태그물같은 것이 사용되었을 것이고 갈피와 같은 식물성섬유로 만든 것도 사용되었을 것이다. 또한, 토기의 빗살무늬나 방추차(紡錘車)의 유물로 미루어보아 추가 달린 그물도 사용된 듯하다.

또한, 현재 미개민족이 사용하고 있는 그물어구는 대부분 주1인 것으로 보아 이와 같은 소형 채그물이 대형화함에 따라서 주2로 발달하고, 또 치는 방법을 고안해서 주3류가, 채그물을 옆으로 사용한 것이 주4류(囊長網類)가, 더욱 발달한 것이 주5류가 되었다.

낭장망류를 고정하지 않고 이동하며 고기잡는 방법이 주6으로 발달되고, 배로 예인하여 잡는 방법이 주7이 되었다. 현재의 주8은 개막이그물[建干網]에서 출발해서, 썰물을 기다리지 않고 어획하기 위한 것이 현대의 걸그물[刺網]이 되었고, 걸그물에 걸린 고기는 어체가 많이 상하고 고기를 떼어내는 데도 시간이 많이 걸리기 때문에 건착망을 생각하게 되었다.

이렇게 그물어구의 발달경로를 찾아보면 간단한 그물어구에서 시작된 것을 알 수 있다. 모든 그물의 변천과정을 자세하게 설명하기는 곤란하나 산업적으로 중요한 그물어구는 다음과 같다.

① 유도함정그물류:함정그물류는 크게 길그물과 통그물로 구성되어 있으며, 길그물로 어군의 통로를 차단하고 통그물로 유도하여 잡는다. 통그물의 모양에 따라 대망류와 승망류로 나눌 수 있는데, 이 그물은 오랫동안 한 자리에 고정시키므로 정치망이라고도 한다. 대망류의 초창기 것은 통그물의 모양이 대체로 삼각형에 가깝고 그 한 변이 입구가 되도록 한 것인데, 대부망은 어군이 들어가기가 쉬우나 되돌아나오기도 쉬운 결함이 있다.

그렇기 때문에, 고기가 들어가고 나가는 것을 감시하는 노견어(櫓見魚)라고 하는 망대가 반드시 가까이에 있었다. 19세기 말경에 함경도와 강원도연안에서 대구청어를 잡기 위한 어장에 속하는 주9이 이와 같은 그물이다. 따라서 다음 단계에서는 주10보다 들어가기 힘들며 나오기도 힘들도록 길그물과 통그물이 수직이 되도록 한 대모망(大謀網)의 형태로 개량되었다.

다음 단계에서는 통그물을 헛통과 원통의 두 부분으로 나누고, 그 경계에 비탈그물을 설치하여, 헛통에 일단 들어간 어군이 되돌아나오기가 매우 힘들도록 개량되었다. 이것을 낙망이라고 하는데 현재 가장 많이 사용하고 있는 형태이다. 최근에는 어획성능을 높이기 위해서 좌우 양쪽에 원통이 있는 양낙망, 헛통에서 원통에 이르는 사이에 비탈그물이 이중으로 있는 이중낙망 등 여러 가지가 있다.

또한 조류나 풍랑이 아주 강한 곳에는 수중에 부설하여 어획하도록 한 중층낙망도 있다. 승망은 통그물이 헛통과 자루그물로 구성되어 있으며, 헛통에 유도되어 머물던 어군을 다시 자루그물로 유도하여 잡는 그물어구이다.

자루그물의 수에 따라 헛통이 삼각형 또는 오각형으로 보이므로 삼각망 · 오각망이라고도 한다. 과거 진해만일대에 대구가 풍부하였던 시기에는 승망이 널리 쓰였지만 지금은 자원의 고갈로 연안에서 잡어를 잡는 데 쓰이고 있는 정도이다.

② 강제함정그물류:고기를 강한 조류나 해류 등의 외력에 밀려가게 하여 강제로 자루그물에 들어가도록 해서 잡는 방법이다. 그물의 설치위치가 오랜 기간 고정되는 것과 이동이 가능한 것이 있는데, 앞의 것에는 주11 · 주12 · 주13 등이 있고, 뒤의 것에는 주14이 있다.

③ 걸그물류:조업방법에 따라 주15 · 부자망 · 주16 · 주17으로 구분된다. 저자망은 그물을 고정시켜놓고 어획하므로 그물이 크면 유수저항을 많이 받아서 그물의 깊이를 깊게 할 수 없고, 유자망과 같이 물의 흐름에 따라 그물이 흘러가도록 되어 있는 그물은 깊이가 15m 또는 27m에 달하는 깊은 것도 있다.

그물실의 재료는 20세기 초에 쓰여진 『한국수산지』의 방어그물 설명을 보면 “그물실은 모시로 하고 뜸은 가죽나무껍질, 줄은 또는 새끼줄, 발돌은 자연석을 두 발에 한개씩 단다.”고 한 것으로 보아 아주 조잡한 그물이었던 것을 알 수 있다. 같은 걸그물이라도 좀 더 예민한 고기를 잡는 데는 면사를 사용한 기록도 있다.

그 뒤 점차 면사가 많이 쓰이게 되어, 1950년대까지는 자연섬유에 의존했으나, 합성섬유가 보급됨에 따라 처음에는 나일론 복합섬유를 사용했고, 그 이후에는 유연성을 더 증가시키기 위하여 꼬임의 수를 덜 준 형태, 투명한 단일섬유, 물색깔과 같은 색깔로 염색한 그물 등 여러 가지 재료가 개발되어 물고기를 잡는 데 효율적인 재료와 어구 구성방법을 선택적으로 사용하게 되었다.

④ 끌그물류:외끌이기선저인망 · 쌍끌이기선저인망 · 틀방그물 · 트롤(trawl)그물 등이 있다. 현재 우리가 쓰고 있는 형태와 비슷한 모양의 전개판이 달린 오터 트롤(otter trawl)그물은 오랜 실험과 시행착오를 거쳐서 1890년대에 이르러 널리 사용하게 되었다.

우리나라에서는 광복 후 트롤어선으로서 북한산호와 조풍호가 있었으나 성공하지 못하였다. 그 뒤 수산고문으로 와 있던 미국의 모르간(Morgan)이라는 사람이 동해안에서 새우트롤 조업방법을 도입하여 정착하게 되었다.

원양어업 진출은 1966년 7월 북양어업조사를 위한 부산수산대학(지금의 부경대학교) 실습선 백경호의 진출을 계기로 하여 민간기업 진출에 대한 선도적 역할을 하게 된 뒤 오늘날에는 세계 각처에서 수백 척의 트롤어선이 조업하고 있다. 어로방법이 기계화됨에 따라 예망능력도 증대되어 중층트롤그물의 경우 그물 입구 부분에서 가로와 세로의 크기가 50m×40m 정도까지 되고 그물의 길이는 100m가 넘는다.

⑤ 두리그물류:지중해를 중심으로 해서 발달한 람파라(lampara)그물과 미국을 중심으로 발달한 건착망이 있는데, 근래에 와서는 성능이 우수한 건착망 형태가 대부분이다. 연근해에서 작은 고기를 대상으로 조업할 때는 그물의 길이가 300∼400m 정도였으나 원양에서 다랑어와 같은 유영속도가 빠르고 큰고기를 대상으로 함에 따라서 그물의 길이도 1,500∼2,000m에 이르고, 그물의 깊이도 200m가 넘는 대형그물로 발전하였다.

그물이 대형화함에 따라 네트호울러(net hauler)나 파워블록(power block)과 같은 주18를 사용하게 되었다. 광복 후의 건착그물은 쌍둥이형 그물로 20톤 내외의 작은 배가 그물의 절반씩을 나누어 싣고 다니다가 고기떼를 발견하면 두 배가 같이 어군을 둘러싸서 아랫자락을 조임줄로 졸라매어 고기가 도망가지 못하도록 한 뒤 어획하였으나, 그물의 대형화 및 조업방법이 기계화되고, 보다 대형선으로 먼 바다에까지 나가서 조업하게 된 1960년대부터는 주19 건착망으로 전환하게 되었다.

수산자원의 고갈현상이 나타나면서부터는 대상어의 종류도 달라지고 그물의 크기도 달라지고 있다.

앞으로의 그물어구는 인력을 감소시키기 위해서 완전자동화하는 방향으로 개발될 것이고 컴퓨터는 어선의 조종뿐만 아니라 어군탐지, 어획 및 어획물처리과정까지 시스템화하게 될 것이다. 한 가족만으로 운항되는 대형선박이 멀지않아 출현하게 될 것이고, 그 배들은 인공위성과 연결되어 투망과 양망의 시간까지 자동화할 가능성이 있다.

일차적으로는 그물을 이용하는 데 있어서 기계화에 힘쓰겠지만, 그 다음 단계는 그물을 사용하지 않는 어법이 개발될 가능성이 있다.

참고문헌

『어구어법학(漁具漁法學)』(고관서, 고려출판사, 1975)
『한국어업사(韓國漁業史)』(박구병, 정음사, 1979)
『국립수산진흥원육십년사』(수산진흥원, 1981)
주석
주1

지나가는 물고기를 물 밑으로부터 떠올려 잡는 그물.    우리말샘

주2

바다 밑이나 중간쯤에 그물을 깔아 놓고 물고기를 그 위로 유인한 뒤 들어 올려 잡는 그물.    우리말샘

주3

물고기가 다니는 길목에 미리 설치하여 유인한 후 포획하는 그물.    우리말샘

주4

양쪽 날개의 앞 끝에 닻이 있어 강한 조류에 어구(漁具)가 밀려가지 않도록 고정이 되어 있는 그물. 끌그물과 비슷하며 멸치, 새우, 반지 따위를 잡는다.    우리말샘

주5

큰자리그물에서, 통그물에 들어온 고기 떼를 위로 오르게 하여 자루그물로 이끄는 그물.    우리말샘

주6

물가에 긴 그물을 둘러쳐서 양 끝에 줄을 연결하여 육지에서 끌어당겨 어획하는 어구(漁具). 높이가 낮고 길이가 긴 그물의 뜸줄에는 뜸을 달고 발줄에는 발돌을 달아 그물이 수면에서 밑바닥까지 막게 되어 있다.    우리말샘

주7

연안에 들어온 고기 떼를 그물로 둘러싸고 몰아넣어 배에서 끌어당겨 올려서 잡는 그물. 후릿그물과 비슷하나 후리보다 작고 끝줄이 짧다. 까나리, 도루묵, 빙어, 전어, 멸치 따위를 잡는 데 쓴다.    우리말샘

주8

고기잡이 그물의 하나. 띠 모양의 큰 그물로 고기를 둘러싸고 줄을 잡아당기면 두루주머니를 졸라맨 것처럼 되어 고기가 빠져 나가지 못하게 된다. 고등어, 다랑어, 정어리 따위를 잡는 데 쓴다.    우리말샘

주9

고기가 다니는 길목에 막대를 박아 그물을 울타리처럼 쳐 두고 물고기를 원통 안으로 몰아넣어 잡는 그물.    우리말샘

주10

들그물을 크게 개량한 자리그물. 길그물과 통그물을 갖추고 있다. ⇒규범 표기는 ‘큰들그물’이다.    우리말샘

주11

좁은 바다 물목에 대나무로 만든 그물을 세워 물고기를 잡는 일. 또는 그 그물.    우리말샘

주12

양쪽 날개의 앞 끝에 닻이 있어 강한 조류에 어구(漁具)가 밀려가지 않도록 고정이 되어 있는 그물. 끌그물과 비슷하며 멸치, 새우, 반지 따위를 잡는다.    우리말샘

주13

나무 말뚝으로 입구를 고정시켜 물고기를 잡는 그물. 바다 밑에 기둥을 박고 그물을 달아서 조류에 밀리는 물고기를 받아서 잡는다.    우리말샘

주14

긴 주머니 모양의 통그물. 조류가 빠른 곳에 큰 닻으로 고정하여 놓고 조류에 밀리는 물고기를 받아서 잡는다.    우리말샘

주15

바다의 밑바닥에 쳐 놓아 해저에 서식하는 고기나 게 따위를 잡는 데 쓰는 그물.    우리말샘

주16

어망의 하나. 배와 함께 떠다니는 그물로서 물고기가 그물코에 걸리거나 그물에 감싸이게 하는 것이다.    우리말샘

주17

물고기 떼를 둘러싼 후에 물고기를 놀라게 해서 그물코에 걸리게 하여 잡는 자망.    우리말샘

주18

그물을 걷어 올리는 기계.    우리말샘

주19

한 척의 배로 두릿그물을 둘러쳐서 고기를 잡는 조업 방법.    우리말샘

관련 미디어 (3)
• 본 항목의 내용은 관계 분야 전문가의 추천을 거쳐 선정된 집필자의 학술적 견해로, 한국학중앙연구원의 공식 입장과 다를 수 있습니다.

•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은 공공저작물로서 공공누리 제도에 따라 이용 가능합니다. 백과사전 내용 중 글을 인용하고자 할 때는 '[출처: 항목명 -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과 같이 출처 표기를 하여야 합니다.

• 단, 미디어 자료는 자유 이용 가능한 자료에 개별적으로 공공누리 표시를 부착하고 있으므로, 이를 확인하신 후 이용하시기 바랍니다.
미디어ID
저작권
촬영지
주제어
사진크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