어면순 ()

구비문학
문헌
조선 전기, 문신 송세림이 편찬한 패설집. 소화집.
문헌/고서
편찬 시기
1510년 전후
간행 시기
1530년 전후
저자
송세림
권책수
1책
권수제
어면순
표제
어면순
소장처
미상
• 본 항목의 내용은 해당 분야 전문가의 추천을 통해 선정된 집필자의 학술적 견해로 한국학중앙연구원의 공식입장과 다를 수 있습니다.
내용 요약

『어면순』은 조선 전기 문신 송세림이 편찬한 패설집이다. 송세림이 1510년 전후로 『어면순』을 편찬하였고, 그의 동생 송세형이 운각(芸閣)의 제조(提調)로 있던 1530년 전후에 이를 간행하였다. 수록된 이야기는 총 82화인데, 그 중 35편이 성 이야기에 해당한다.

정의
조선 전기, 문신 송세림이 편찬한 패설집. 소화집.
작자

『어면순』은 송세림(宋世琳, 1479~1519)이 지었다. 그는 1502년에 문과에서 장원 급제하여 사헌부 감찰을 역임하는 등 앞날이 기대되는 인물이었지만, 1504년의 갑자사화와 모친의 사망, 1506년 부친의 사망으로 세상에 대한 뜻을 접고 스스로 호(號)를 취은(醉隱)으로 정했다. 1515년에 능성 현령으로 있다가 1519년에 사망하였다. 『어면순』의 편찬 시기는 그의 동생 송세형(宋世珩, ?~1553)이 쓴 서문을 근거로 추정할 수 있는데, 송세림이 호를 취은(醉隱)으로 쓰면서 『어면순』을 편찬했다는 점을 고려하면 대략 1510년 전후로 보인다.

이본 및 서지사항

『어면순』의 이본은 총5종이 전하며 유인본(油印本), 동양문고본, 고려대본, 송신용(宋申用) 교열본, 유재영 복사본이 있다. 이본마다 수록된 작품 수를 달리 쓰고 있지만 82화가 맞다. 그중 선본(善本)은 유인본인데, 그 원본의 소장처는 확인되지 않는다. 유인본이라 함은 1958년에 민속학자료간행회에서 간행한 『 고금소총』 수재본(收載本)을 말하는데, 여기에 수록된 『어면순』에는 송세형의 서문과 정사룡(鄭士龍)의 발문이 실려 있다.

구성 및 내용

『어면순』은 ‘졸음을 막는 방패’라는 뜻이다. 책은 2권 1책으로 되어 있다. 상권에는 20편, 하권에는 62편, 도합 82편의 이야기가 실렸다. 상권에는 논평을 달았지만, 하권에는 논평 없이 작품만 수록하였다.

성적인 이야기가 책의 큰 비중을 차지하는데 82편 중 35편이 성 소화(笑話)에 해당한다. 성 소화는 단순히 쾌락을 위한 것이 아니다. 성 담론을 말초적이며 소비적인 행태가 아니라 가장 고통스러운 인간의 내면을 웃음으로 표출시킨 하나의 행위로 볼 수도 있다. 송세림은 성과 궤변으로써 『어면순』을 통해 자신의 분울함을 담아내었다.

비슷한 맥락으로 「모로쇠전(毛老金傳)」을 참고할 수 있다. 실제 「모로쇠전(毛老金傳)」과 같은 작품은 “모로쇠라는 자는 거시기 고을 사람이다. 눈이 없어도 가을 터럭까지 볼 수 있으며, 귀가 없어도 개미들의 다투는 소리까지 들을 수 있고, 코는 비록 막혀 있지만 달고 신 것을 맡을 수 있고, 입은 비록 닫혀 있지만 물길이 천리를 가는 것처럼 말을 잘하였다.”라는 식으로 처음부터 끝까지 역설과 반어를 되풀이한다. 이는 모순으로 가득찬 세상에서 벗어날 수 없는 찬자의 처지를 비유적으로 담아낸 것이라 할 만하다.

의의 및 평가

『어면순』은 서거정(徐居正)의 『 태평한화골계전』과 함께 조선 초기의 대표적인 패설집이다. 『태평한화골계전』이 조화로운 세상을 말했다면, 『어면순』은 그와 반대의 세상을 말하였다. 두 작품집이 형성된 이후 소화의 방향은 두 갈래로 나뉘는데 『어면순』이 그 선두에 있었다. 『어면순』의 글쓰기 방식은 이후 성여학(成汝學)의 『 속어면순』으로 이어지기도 했다.

참고문헌

원전

동국대 한국문학연구소(『한국문헌설화전집(韓國文獻說話全集)』 7, 태학사, 1981)
민속학자료간행회(『고금소총(古今笑叢)』, 1958)

단행본

김준형, 『한국패설문학연구』 (보고사, 2004)

논문

김준형, 「조선 전기 패설 연구의 성과와 방향」, (『東方漢文學』 80, 동방한문학회, 2019)
유해인, 「어면순 소재 성소화의 서사 논리와 그 의미」(『어문논집』 86, 민족어문학회, 2019)
윤석산, 「<어면순>연구」(『한국언어문화』 18, 한국언어문화학회, 2000)
임완혁, 「송세림론 -『어면순(禦眠楯)』의 저작배경에 대한 일고-」(『漢文學報』, 14, 우리한문학회, 2006)
관련 미디어 (2)
• 항목 내용은 해당 분야 전문가의 추천을 거쳐 선정된 집필자의 학술적 견해로, 한국학중앙연구원의 공식입장과 다를 수 있습니다.
• 사실과 다른 내용, 주관적 서술 문제 등이 제기된 경우 사실 확인 및 보완 등을 위해 해당 항목 서비스가 임시 중단될 수 있습니다.
•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은 공공저작물로서 공공누리 제도에 따라 이용 가능합니다. 백과사전 내용 중 글을 인용하고자 할 때는
   '[출처: 항목명 -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과 같이 출처 표기를 하여야 합니다.
• 단, 미디어 자료는 자유 이용 가능한 자료에 개별적으로 공공누리 표시를 부착하고 있으므로, 이를 확인하신 후 이용하시기 바랍니다.
미디어ID
저작권
촬영지
주제어
사진크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