오천축국도 ()

목차
관련 정보
인문지리
문헌
고려시대 윤보가 인도와 서역제국을 중심으로 그린 지도. 서역제국지도.
• 본 항목의 내용은 해당 분야 전문가의 추천을 통해 선정된 집필자의 학술적 견해로 한국학중앙연구원의 공식입장과 다를 수 있습니다.
목차
정의
고려시대 윤보가 인도와 서역제국을 중심으로 그린 지도. 서역제국지도.
내용

윤보의 묘지에 “현장(玄奘)의 ≪대당서역기 大唐西域記≫에 의거하여 ≪오천축국도≫를 만들어 왕에게 바쳤다.”는 기록이 있다. 현존하지 않으므로 그 정확한 내용은 알 수 없다.

그러나 일본 호류사(法隆寺) 소장의 ≪오천축국도≫(1364) 및 ≪슈가이초 拾芥抄≫(1294년경)에 실린 <천축국도> 등이 현존하므로 이를 통해서 간접적으로나마 그 내용을 짐작할 수 있다. 그리고 17세기의 작품이기는 하나 현장의 행정(行程)을 도리도(道里圖) 형식으로 그린 족자로 된 지도가 경상남도 양산 통도사에 전해오고 있다.

이런 것들이 모두 윤보의 ≪오천축국도≫를 상상해낼 수 있는 근거가 될 수도 있다. 호류사의 ≪오천축국도≫에는 파도를 그린 해양 가운데에 계란을 거꾸로 세운 것과 같은 윤곽을 가진 대륙[南贍部洲]이 있다.

대륙 내부에는 중첩된 산악 속에 수많은 당탑불적(堂塔佛跡)이 그림으로 그려져 있고, 거기에 현장의 행정을 붉은 선으로 그린 외에 지명과 주기(註記)가 기록되어 있다.

내용을 살펴보면 서역 및 인도의 여러 나라가 중심이 되어 있고 이 밖에 중국(晨旦國 : 大唐國)이 작은 부분을 차지하고 있으며, 대륙 주변의 바다 속에 스리랑카(執師子國)와 몇몇 도서가 있다. 또한 지도의 오른편 상단부에 일본을 나타내는 부분(九國 : 四國)의 기록이 있다.

≪슈가이초≫에 실린 <천축국도>는 호류사의 것에 비하여 훨씬 조잡하고 작은 지도에 불과하지만, 기하학적인 윤곽을 가진 지도로서 구도에 있어서는 비슷하여 동일 계통의 지도라 짐작된다.

<천축국도>에는 일본이 빠져 있는 대신 고려가 명확히 기록되어 있는 것이 특색이다. 이 지도는 중국을 비롯하여 서역과 인도에 걸쳐 그 때까지 알려진 세계를 총망라한 세계지도로서, 종래의 중국 중심의 세계관에서 벗어나는 계기가 되었다.

참고문헌

「한국고세계지도(韓國古世界地圖)의 특색과 이에 대한 외래적영향(外來的影響)에 관한 연구」(노정식, 『대구교육대학논문집』 18, 1982)
「日本に行われた佛敎系世界地圖について」(空賀信夫·海野一隆, 『地理學史硏究』 1, 1957)
• 항목 내용은 해당 분야 전문가의 추천을 거쳐 선정된 집필자의 학술적 견해로, 한국학중앙연구원의 공식입장과 다를 수 있습니다.
• 사실과 다른 내용, 주관적 서술 문제 등이 제기된 경우 사실 확인 및 보완 등을 위해 해당 항목 서비스가 임시 중단될 수 있습니다.
•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은 공공저작물로서 공공누리 제도에 따라 이용 가능합니다. 백과사전 내용 중 글을 인용하고자 할 때는
   '[출처: 항목명 -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과 같이 출처 표기를 하여야 합니다.
• 단, 미디어 자료는 자유 이용 가능한 자료에 개별적으로 공공누리 표시를 부착하고 있으므로, 이를 확인하신 후 이용하시기 바랍니다.
미디어ID
저작권
촬영지
주제어
사진크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