옥선몽 ()

목차
관련 정보
고전산문
작품
작자 · 연대 미상의 고전소설.
• 본 항목의 내용은 해당 분야 전문가의 추천을 통해 선정된 집필자의 학술적 견해로 한국학중앙연구원의 공식입장과 다를 수 있습니다.
목차
정의
작자 · 연대 미상의 고전소설.
내용

한문필사본. 총11회. 2권 2책. 건(乾)·곤(坤)으로 분책되어 있다. 국립중앙도서관에 소장되어 있다.

만경현(萬頃縣)에 허거통(許巨通)이라고 하는 호방한 선비가 살고 있었다. 일찍이 혼자 되뇌기를, 대장부가 작은 편방(偏邦)에 나서 큰 뜻을 펴지 못하는 것이 개탄스럽다고 하면서, 만약에 중원 넓은 땅에 태어나서 천하를 주유(周遊)하고 천자의 조정에 서되 출장입상(出將入相)하며 고락을 맛볼 수 있다면 죽어도 여한이 없을 것이라고 하였다.

하루는 허거통이 지리산 청학동(靑鶴洞)을 찾아가 한 암자에서 쉬다가 불상(佛像) 앞에서 졸기 시작한다. 이때 그의 혼은 중국으로 날아가서 전당(錢塘) 땅 영계촌에 사는 전순화(錢循華)라는 선비의 집에 떨어지니, 때는 대명 영락황제가 즉위한 해였다. 이때 전공은 40세가 넘도록 자녀가 없다가 늦게야 아들을 얻고 이름을 몽옥(夢玉)이라 하는데, 몽옥은 곧 조선인 허거통의 전생(轉生)이었다.

몽옥은 장성할수록 대인(大人)의 기상을 띠게 되고, 유·불·도 삼교를 달통하고 천문지리와 육도삼략에도 능통하게 된다. 11세 되는 해에 양친을 잃고 삼년상을 마친 뒤 천하의 여행길에 오른다. 몽옥은 찻집에서 노파로부터 계(桂) 소저의 아름다움을 듣고, 여장을 하고 계 소저를 찾아가 선을 보고 와서 가연을 맺는다. 이때 도적이 일어나자 몽옥은 계 소저와 후일을 기약하고 헤어진다.

몽옥이 소주(蘇州)에 이르렀다. 부자인 두희탁(杜希卓)의 딸, 두 부인이 청상과부가 되어 친정에 와 있었는데, 몽옥은 두 부인의 유혹에 끌려 운우(雲雨)의 정을 나누었다. 그러나 두 부인이 이루어질 수 없는 사랑을 탄식하던 끝에 자살하자, 몽옥은 살인죄로 몰려 투옥된다. 몽옥은 살인죄는 면하였으나 과부를 유혹하여 죽게 하였다는 죄로 유배를 당한다.

배소의 부사는 두 부인의 사촌오빠였다. 두 부인이 두 부사의 꿈에 나타나 황제에게 호소하여 몽옥을 석방시켜 줄 것을 간청한다. 배소에서 풀려난 몽옥은 과거에 응시하여 장원급제하였고, 황제는 몽옥을 부마로 삼는다.

이때 반란이 일어나자 몽옥은 원수가 되어 출전한다. 적장의 딸 채란(綵蘭)이 아버지를 따라 출전하였다가 생포되고는 몽옥의 인물에 감동되어 아버지로 하여금 항복하게 한다. 몽옥은 채란을 데리고 회군하여 첩으로 삼는다.

어느 날 몽옥이 매화녀(賣花女)를 보고 그 아름다움에 반하여 궁중에 있게 하고는 그 신분을 알아보았는데, 바로 계 소저였다. 계 소저를 부인으로 삼고 공주와 더불어 화락하게 살아간다.

몽옥은 공주가 병이 들어 죽자, 벼슬을 버리고 고향인 전당으로 돌아와 계 부인과 행복한 생활을 한다. 하루는 천목산 영은사로 올라가 도승(道僧)과 인과(因果)의 이치를 논하다가 깨어보니 이제까지의 일이 모두 꿈이었다. 꿈에서 깨어 현실로 돌아온 허거통은 인생 백년의 영욕이 일장춘몽임을 깨닫고 출가하여 중이 된다.

의의와 평가

이 작품은 김만중(金萬重)의 『구운몽(九雲夢)』과 유사한 작품이다. 『구운몽』이 중국을 배경으로 하였다면 이 작품은 우리나라를 배경으로 하였다는 데에 특색이 있다. 『구운몽』에서 주인공 성진이 선방에서 꿈을 꾸는 것이나, 이 작품에서 주인공 허거통이 불상 앞에서 꿈을 꾼다는 설정은 동일하다.

『구운몽』에서 양소유가 여장을 하고 정 소저의 선을 보는 것은, 이 작품 『옥선몽』에서 전몽옥이 여장을 하고 계 소저의 선을 보는 것과도 같다. 그리고 『구운몽』에서 양 원수가 출전하였을 때 자객 심요연이 양 원수의 인물에 반하여 적장을 항복하게 하고 양 원수를 따라오는 것은, 이 작품에서 적장의 딸 채란이 전 원수의 인물에 반하여 부친을 항복하게 하는 것과 동일하다.

그러나 이 작품만이 가지고 있는 사건 또한 많다. 주인공과 정을 통한 청상과부가 자살하고, 주인공이 살인죄로 몰려 투옥·유배되고, 자살한 원혼이 부사의 꿈에 나타나 주인공을 석방하게 하는 사건이 그 좋은 예이다. 이 사건은 주인공으로 하여금 인생의 고통을 맛보게 하는 의미를 갖는다. 이 작품의 주제는 불교적인 인생관에 입각하여 인간 백년의 영욕을 덧없는 것으로 보고, 도를 깨닫고 출가한다는 데에 있다.

참고문헌

『한국고전소설연구』(김기동, 교학사, 1981)
「『옥선몽』 연구: 19세기 소설의 정체성과 소설론의 향방」(서경희, 이화여자대학교대학원박사학위논문, 2004)
「『옥선몽』의 구성방식 연구」(서경희, 『한국고전연구』7, 한국고전연구학회, 2001)
「조선 후기 한문소설의 의론적 대화 양상과 그 의미: 『정생전』ㆍ『삼한습유』ㆍ『옥선몽』을 중심으로」(김경미, 『고소설연구』8, 한국고소설연구회, 1999)
「『옥선몽』 연구」(한영찬, 홍익대학교교육대학원석사학위논문, 1993)
「『옥선몽』 연구」(홍향숙, 이화여자대학교대학원석사학위논문, 1990)
「허무의식을 반영한 몽자류 소설: 『옥선몽』」(차용주, 『한국한문소설사』, 아세아문화사, 1989)
• 항목 내용은 해당 분야 전문가의 추천을 거쳐 선정된 집필자의 학술적 견해로, 한국학중앙연구원의 공식입장과 다를 수 있습니다.
• 사실과 다른 내용, 주관적 서술 문제 등이 제기된 경우 사실 확인 및 보완 등을 위해 해당 항목 서비스가 임시 중단될 수 있습니다.
•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은 공공저작물로서 공공누리 제도에 따라 이용 가능합니다. 백과사전 내용 중 글을 인용하고자 할 때는
   '[출처: 항목명 -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과 같이 출처 표기를 하여야 합니다.
• 단, 미디어 자료는 자유 이용 가능한 자료에 개별적으로 공공누리 표시를 부착하고 있으므로, 이를 확인하신 후 이용하시기 바랍니다.
미디어ID
저작권
촬영지
주제어
사진크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