왕조길례 ()

목차
유교
문헌
조선 전기의 문신, 허조가 길례에 대하여 우리나라에서 행하는 전고와 중국의 예문을 참작하여 저술한 예서.
• 본 항목의 내용은 해당 분야 전문가의 추천을 통해 선정된 집필자의 학술적 견해로 한국학중앙연구원의 공식입장과 다를 수 있습니다.
목차
정의
조선 전기의 문신, 허조가 길례에 대하여 우리나라에서 행하는 전고와 중국의 예문을 참작하여 저술한 예서.
내용

4권 2책. 필사본. 국립중앙도서관에 있다.

권1은 「길례서례(吉禮序禮)」로 변사(辨祀)·시일(時日)·단유(壇壝)·신위(神位) 등 11칙(則)에 대한 해설, 권2는 「길례」로 친제사직의(親祭社稷儀)·제사직섭사의(祭社稷攝事儀)·기고사직의(祈告社稷儀) 등 7칙의 절차와 해설, 권3·4도 「길례」로 사풍운뇌우산천성황의(祀風雲雷雨山川城隍儀)·사영성의(祀靈星儀)·제악해독의(祭嶽海瀆儀)·제삼각산의(祭三角山儀) 등 15칙의 해설이 수록되어 있다.

「단유」는 사직단과 풍운뇌우단 및 영성단 등의 위치·규모·모형과 행사 때 규제하는 사항을 설명하였다. 「신위」는 사직단에서 대사(大祀)하는 데 후토(后土)를 배향하고 대직(大稷)을 제사하는 데 후직(后稷)을 배향하는 제도와, 각 단좌(壇座)를 설치하는 방향 및 의규(儀規) 등에 대하여 자세히 설명하였다.

• 항목 내용은 해당 분야 전문가의 추천을 거쳐 선정된 집필자의 학술적 견해로, 한국학중앙연구원의 공식입장과 다를 수 있습니다.
• 사실과 다른 내용, 주관적 서술 문제 등이 제기된 경우 사실 확인 및 보완 등을 위해 해당 항목 서비스가 임시 중단될 수 있습니다.
•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은 공공저작물로서 공공누리 제도에 따라 이용 가능합니다. 백과사전 내용 중 글을 인용하고자 할 때는
   '[출처: 항목명 -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과 같이 출처 표기를 하여야 합니다.
• 단, 미디어 자료는 자유 이용 가능한 자료에 개별적으로 공공누리 표시를 부착하고 있으므로, 이를 확인하신 후 이용하시기 바랍니다.
미디어ID
저작권
촬영지
주제어
사진크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