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권 1책. 연활자본. 1642년(인조 20) 김상성(金相聖)이 잡저(雜著) 1권과 서(書) 1권을 합편하여 송익필의 『구봉집(龜峰集)』의 전질을 재편차하고, 동생 송한필(宋翰弼)의 원고를 권 11에 함께 실어 간행하였다. 시 32수, 잡저 12편, 제문 1편, 서(書) 1편, 잡설 8칙, 비문 1편, 송서(送序) 1편이 수록되었으며, 저자에 대한 제문 3편이 부록으로 실려 있다.
송한필은 형 익필(翼弼)과 함께 당대의 명인들과 종유하여 문명을 날렸다. 익필이 문학에 뛰어나 이름을 드날릴 때에 그 또한 문학적으로 뛰어난 것으로 형에 비견되었다. 『운곡집』에 수록된 저작 가운데에서 시는 그의 문학적 역량과 자질을 잘 드러내준다.
수록된 시는 많지 않다. 그러나 그 가운데 담겨 있는 사상과 표현기법은 뛰어나다.
「우음(偶吟)」으로 알려진 「석춘(惜春)」은 봄비에 핀 꽃이 바람에 떨어지는 것을 보고 봄철의 무상함을 오언절구로 노래한 것이다. 짤막한 시 형식에 사물의 이치를 꿰뚫어 저편에 있는 인생의 본질적 측면의 일부를 간단한 기법으로 무리 없이 표현하였다.
이 밖에 주위의 사물과 세태를 보고 느낀 감정을 「유감(有感)」·「감흥(感興)」 등의 제목으로 지은 일련의 서정시와 적중(謫中)에 지은 여러 편의 유배시(流配詩) 등은 주관적 정서를 짙게 표출시킨 작품들이다.
잡저의 「칠정(七情)」·「심술(心述)」 등에서는 인간의 심성에 대한 관심과 사상을 보여준다. 「음식(飮食)」·「의복(衣服)」·「위의(威儀)」 등에서는 인간의 생활과 행동양식에 대한 내용을 담았다. 「부자(父子)」·「군신(君臣)」·「부부(夫婦)」·「붕우(朋友)」·「장유(長幼)」 등에서는 오륜에 대하여 설명하였다.
이 밖에 제왕의 건강학에 대하여 언급한 「제왕보양방(帝王補養方)」과 잡저의 모든 내용을 총괄하여 논한 「총론」이 있다.
이 글은 성리학적 견해를 일정한 순서 없이 기술해놓은 잡저와 함께 그의 사상과 학문을 알 수 있는 자료이며, 당시의 사회상을 이해하는 자료로서도 가치가 크다. 성균관대학교·이화여자대학교 도서관도서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