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체 높이 45cm. 1976년 강원도 유형문화재(현, 유형문화유산)로 지정되었다. 현재 월정사에 소장되어 있는 이 관음보살상은 손이 모두 6개가 있어 육수(六手)관음보살이라 불린다.
자그마한 역삼각형의 얼굴에 오밀조밀한 눈 · 코 · 입이 정교하게 표현되어 있다. 눈은 시선을 아래로 향하고 있으며 입가에 엷은 미소가 있다. 머리 위에 쓰고 있는 높은 보관(寶冠)에는 꽃무늬, 화염 보주(火焰寶珠) 등이 조식(彫飾 : 잘 다듬어 꾸밈.)되어 있고, 정면에는 화불(化佛)이 있다. 보관 양옆에는 리본 모양의 관대(冠帶 : 관의 띠)가 달려 있는데, U자형으로 꺾여져 위로 올라간다.
보관 아래 마치 땋은 것 같은 두 가닥의 보발(寶髮)은 양어깨 위로 늘어져 있다. 양 귀에는 커다란 원형의 귀걸이가 매달려 있다. 온몸에는 화려한 영락(瓔珞 : 구슬을 꿰어 만든 장신구)이 뒤덮여 있다. 목에는 연주문(連珠文)의 화려한 목걸이가, 각각 다른 6개의 손에는 모두 팔찌가 있다. 양어깨에서 3개씩 뻗어 나온 6개 손의 지물(持物)은 대부분 없어져 분명하지 않다.
균형감이 뛰어난 보살의 신체는 어깨와 가슴, 허리선이 완만한 곡선으로 이루어져 있다. 특히 가는 허리가 강조되어 있다. 천의(天衣 : 천인(天人)이나 선녀의 옷)는 양어깨에서 흘러 내려와 팔을 휘돌아 감으며 아래로 떨어진다.
명대 보살상의 천의와 마찬가지로 폭이 좁고 곡선적이다. 대좌는 타원형인데 앙련(仰蓮 : 위로 향하고 있는 연꽃잎)과 복련(覆蓮 : 아래로 향하고 있는 연꽃잎)이 대칭으로 맞붙어 있다. 그 아래위로는 연주문이 빼곡이 둘려져 있으며, 각 연꽃잎 가운데가 도드라져 있다.
관음보살상의 이와 같은 특징은 15세기 명대 보살상 특히 원나라의 티베트풍 양식을 지니고 있는 보살상과 거의 일치하고 있다. 그래서 이 작품은 명의 보살상 양식이 충실히 반영된 조선시대 초기의 것이거나 혹은 중국에서 직접 전래된 명대 보살상일 가능성도 배제할 수 없다. 어쨌든 우리 나라에서는 유례가 드문 육수관음보살로 조선 초기 명과의 교섭 관계를 극명하게 보여 주는 작품이라고 할 수 있겠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