유허비 ()

목차
관련 정보
전주 오목대 태조고황제 주필 유지비 정면
전주 오목대 태조고황제 주필 유지비 정면
서예
개념
선현의 자취가 있는 곳을 길이 후세에 알리거나 이를 계기로 그를 추모하기 위하여 세운 비(碑). 유지비(遺址碑) · 구기비(舊基碑).
이칭
이칭
유지비(遺址碑), 구기비(舊基碑)
목차
정의
선현의 자취가 있는 곳을 길이 후세에 알리거나 이를 계기로 그를 추모하기 위하여 세운 비(碑). 유지비(遺址碑) · 구기비(舊基碑).
내용

유허란 유지(遺址) · 유적(遺蹟) · 구기(舊基)와 같이 ‘남긴 터(자취)’ · ‘옛터’의 뜻으로, 여기에서는 선현들이 태어났거나 살았거나 임시 머물렀던 곳, 또는 주1하거나 귀양살이하였던 곳을 가리킨다. 고려시대까지는 유허비라는 명칭의 비는 보이지 않으나, 조선시대에는 유허비를 비롯하여 유지비(遺址碑) · 구기비(舊基碑)라는 명칭의 비가 적지 않게 조성된다. 경기도 개성에 ‘고려충신정몽주지려(高麗忠臣鄭夢周之閭)’라는 문구와 입비연대(1530년, 중종 25)만을 간단히 새긴 비는 유허비의 성격을 띤 초기의 예라고 하겠다.

충청남도 홍성군 · 논산시의 성삼문유허비, 경상북도 경주시의 김유신유허비, 최치원 독서당(讀書堂)유허비, 신라효자 손순(孫順)유허비, 제주시의 송시열 적려(謫廬)유허비와 서귀포시의 정온(鄭蘊)유허비 등은 선현들의 출생지 · 성장지 · 적거지와 관계하여 세운 비들이다. 또한, 부산의 정발전망유지비(鄭撥戰亡遺址碑), 전주의 오목대조선태조주필유지비(梧木臺朝鮮太祖駐蹕遺址碑) 등은 선현들이 사망하거나 잠시 머물렀던 곳에 세운 비들이다.

한편, 구기비의 예도 적지 않은데, 황해도 해주의 조선인조탄강구기비, 평양의 기자궁구기비, 함경남도 영흥군의 조선태조탄생구기비, 함흥군의 양성(兩聖)탄강구기비와 조선태조독서당구기비, 안변군의 신의왕후(神懿王后)탄강구기비, 황해도 곡산군의 신덕왕후사제구기비(神德王后私第舊基碑) 등은 왕이나 왕후의 탄생지 등에 관련하여 세운 비이다. 특히, 구기비라는 용어는 왕족들에게만 한정되어 사용되었던 점이 주목된다.

이와 같이, 유허비 · 유지비 · 구기비는 입비 장소가 중시된다는 점에서 지연적 성격이 강하지만, 이를 통하여 선현의 뜻을 기린다는 점에서 송덕의 성격도 강하다. 따라서, 공덕비(功德碑) · 의열비(義烈碑) · 정려비(旌閭碑) 등과 내용상 크게 구별되지 않으며, 넓은 의미에서는 사실의 내력을 적어 길이 후세에 남긴다는 뜻에서 기적비(紀績碑 · 紀蹟碑) 또는 사적비(事蹟碑)의 범주에 포함된다고 하겠다.

참고문헌

『조선금석총람(朝鮮金石總覽)』하(下)
『한국금석문대계(韓國金石文大系)』1∼5
주석
주1

충성스러운 절개나 여자의 곧은 절개를 지키기 위하여 죽음. 우리말샘

집필자
김응현
    • 본 항목의 내용은 관계 분야 전문가의 추천을 거쳐 선정된 집필자의 학술적 견해로, 한국학중앙연구원의 공식 입장과 다를 수 있습니다.

    •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은 공공저작물로서 공공누리 제도에 따라 이용 가능합니다. 백과사전 내용 중 글을 인용하고자 할 때는 '[출처: 항목명 -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과 같이 출처 표기를 하여야 합니다.

    • 단, 미디어 자료는 자유 이용 가능한 자료에 개별적으로 공공누리 표시를 부착하고 있으므로, 이를 확인하신 후 이용하시기 바랍니다.
    미디어ID
    저작권
    촬영지
    주제어
    사진크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