육재유고 ()

목차
유교
문헌
조선 후기의 학자, 이건석의 시 · 만사 등을 수록한 시문집.
• 본 항목의 내용은 해당 분야 전문가의 추천을 통해 선정된 집필자의 학술적 견해로 한국학중앙연구원의 공식입장과 다를 수 있습니다.
목차
정의
조선 후기의 학자, 이건석의 시 · 만사 등을 수록한 시문집.
내용

불분권 1책. 필사본. 저자의 맏형이 정리하였고, 권두와 권말에 그의 서문과 만사 3수가 있다. 이 책에는 유배지에서 지은 시 227수가 실려 있는데, 모두 품격이 고아하여 고인의 시풍을 연상하게 한다. 장서각 도서에 있다.

특히, 「영해백운(詠海百韻)」 등은 유배지인 백령도(白翎島)의 풍경 및 민속·특산물 등을 읊은 것이고, 「해중잡영(海中雜詠)」은 양근(楊根)에서부터 배를 타고 고양(高陽) 도촌(島村)을 지나서 종남산(終南山)에 올라 등(燈)을 달아 붉을 밝힌 일들을 시로 담은 것으로 당시의 민속을 살필 수 있는 자료가 된다.

• 항목 내용은 해당 분야 전문가의 추천을 거쳐 선정된 집필자의 학술적 견해로, 한국학중앙연구원의 공식입장과 다를 수 있습니다.
• 사실과 다른 내용, 주관적 서술 문제 등이 제기된 경우 사실 확인 및 보완 등을 위해 해당 항목 서비스가 임시 중단될 수 있습니다.
•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은 공공저작물로서 공공누리 제도에 따라 이용 가능합니다. 백과사전 내용 중 글을 인용하고자 할 때는
   '[출처: 항목명 -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과 같이 출처 표기를 하여야 합니다.
• 단, 미디어 자료는 자유 이용 가능한 자료에 개별적으로 공공누리 표시를 부착하고 있으므로, 이를 확인하신 후 이용하시기 바랍니다.
미디어ID
저작권
촬영지
주제어
사진크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