율시 ()

목차
관련 정보
한문학
개념
한시 형식의 하나로 4운 8구로 된 근체시.
내용 요약

율시는 한시 형식의 하나로 4운 8구로 된 근체시이다. 1구가 5자로 이루어진 오언율시와 7자로 이루어진 칠언율시가 있다. 대우·성운·자수·구수가 모두 엄정한 규율에 맞아야 한다. 위진남북조시대에 싹이 트고 당나라 때 본격적으로 발달했다. 3·4구와 5·6구는 반드시 대조적인 내용을 갖는 대구를 써야 하는 대우법, 운을 맞추는 성운법은 엄격히 지켜야 했다. 율시는 중국 시가전통 속에서 매우 정제된 미의식을 바탕으로 고도로 발달된 시가형태이다. 그러나 까다로운 법칙 때문에 자유로운 정서의 표출을 방해하고 지나치게 형식미를 추구한다는 비판을 받기도 했다.

목차
정의
한시 형식의 하나로 4운 8구로 된 근체시.
내용

1구의 자수에 따라 5언 · 7언의 구별이 있다. 1구 5자인 경우는 오언율시, 1구 7자인 경우는 칠언율시이다. 같은 근체시절구보다 형식이 까다롭다. 대우(對偶) · 성운(聲韻) · 자수(字數) · 구수(句數)가 모두 엄정한 규율에 맞아야 한다. 율시는 양(梁) · 진(陳) 이래로 성률과 대우를 쓰기 시작하면서 당대에 이르러 완정(完定)한 모습을 갖추게 된다. 따라서 당나라 때부터 율시가 본격적으로 발달하게 된 것으로 본다. 이익(李瀷)은 율시의 기원에 대하여 “오언은 육조에서 생기고, 칠언은 심전기(沈佺期) · 송지문(宋之問)에게서 생겼다.”라고 하였다. 이것은 당대 시인들에게서 율시의 기원을 찾은 것이다.

율시의 편법은 주1의 넷으로 나누어진다. 1 · 2구를 기, 3 · 4구를 승, 5 · 6구를 전, 7 · 8구를 결이라 한다. 논자에 따라 용어상 약간의 차이를 보이고 있다. 그러나 내용은 대동소이하다. 범팽(范梈)은 『시법정론 詩法正論』에서 1연을 기, 2연을 승, 3연을 전, 4연을 합이라 하였다. 엄우(嚴羽)는 『창랑시화(滄浪詩話)』에서 ‘발단(發端) · 함련(頷聯) · 경련(頸聯) · 낙구(落句)’라 하였다. 매요신(梅堯臣)은 ‘파제 · 함련 · 경련 · 낙구’라 하였다. 일반적으로는 수련(首聯) · 함련 · 경련 · 미련(尾聯)이라 한다.

율시의 각 구절은 한 수의 시 속에서 긴절한 연락관계를 유지하면서 각 위치에 맞게 내용이 부합하여야 한다. 매요신은 이에 대하여 “파제에서는 광풍이 물결을 쳐서 하늘을 뒤덮을 듯한 기세로 지어야 한다. 함련에서는 용이 여의주를 물고 놓치지 않는 듯이 지어야 한다. 경련에서는 벼락이 산을 무너뜨려 보는 이가 놀라게 하여야 하고, 낙구에서는 높은 산에서 돌을 굴리듯이 한 번 가면 돌아오지 못하는 것처럼 써야 한다.”라고 하였다.

율시의 대우는 시구가 서로 대조적인 내용을 써서 서로 대응되도록 하는 것이다. 함련과 경련은 반드시 대구를 써야 한다. 즉, 함련의 3구와 4구, 경련의 5구와 6구는 반드시 서로 내용 상에 대구가 이루어져야 한다는 것이다. 이러한 법칙을 어기고 수련에서 대우를 하고 함련에서 산구하는 것을 투춘체(偸春體)라고 한다. 수련과 함련에서 대우를 쓰지 않다가 경련에 와서 대우를 하는 것을 봉요체(蜂腰體)라고 하였다. 율시에서 대우하는 방법에는 유협(劉勰)이 말한 ‘4대(四對)’와 당나라 상관의(上官儀)가 말한 ‘육대(六對)’ · ‘팔대(八對)’ 등이 있다.

율시에서 압운은 시의 짝수가 되는 구절에 같은 음운의 글자를 쓰는 것을 말한다. 압운법에는 오언율시는 제2구 · 제4구 · 제6구 · 제8구의 끝자에 운을 달아야 한다. 칠언율시인 경우는 오언율시와 대체로 같다. 그러나 1구의 끝에 운을 더 달아야 하는 것이 틀리다.

율시의 평측의 배열은 대체로 2자를 한 단위로 하여 평성과 측성을 번갈아 위치시킨다. 1구와 2구는 정반대의 운을 사용한다. 그리고 오언율시인 경우 매 구의 2자 · 4자, 칠언율시인 경우에는 매 구의 2자 · 4자 · 6자의 평측이 항상 달라야 한다. 이것을 ‘2 · 4부동(二四不同)’이라 한다. 그리고 칠언율시의 경우 2자와 4자는 다르지만, 2자와 6자는 늘 같다는 것을 알 수 있다. 이것을 ‘2 · 6대(二六對)’라 한다. 오언율시에서 각 구의 2자와 4자, 칠언율시에서 2 · 4 · 6자가 각 연마다 평측이 달라야 한다. 이것을 ‘반법(反法)’이라 한다. 각 구의 2 · 4 · 6자들은 2구와 3구, 4구와 5구, 6구와 7구에 있어 같은 평측의 글자를 쓴다. 이것을 ‘점법(粘法)’이라 한다.

그리고 평성자 중간에 평성자가 한 자가 끼여 있는 것을 ‘고평(孤平)’이라 한다. 반대로 평성자 중간에 측성자가 한 자가 끼여 있는 것을 ‘고측(孤仄)’이라 한다. 평측법에서 이것을 꺼린다. 또한 글의 끝 세자가 같은 성의 글자가 올 경우 이를 ‘하삼련(下三連)’이라 한다. 측성자가 나란히 3개 오면 ‘측삼련(仄三連)’, 평성자가 나란히 3개 오면 ‘평삼련(平三連)’이라 한다. 특히 ‘평삼련’은 쓰기를 꺼렸다. 율시의 평측을 배열하는 법에서 근체시는 평성운을 사용하는 것을 원칙으로 하기 때문에 운자가 측성이 되는 배열법은 쓰지 않는다. 이 경우에 시작하는 글자의 소리가 측성이냐 평성이냐에 따라 측기식(仄起式)과 평기식(平起式)의 두 가지 방법이 있다.

위의 여러 이론에 준거하여 아래와 같은 평측법이 정하여졌다. 후대에는 이 규율에 맞아야만 시의 기본적인 요건을 갖추게 되었던 것이다. 먼저 오언시의 평측법을 보기로 한다. ○은 평성, ●은 측성, ◉은 운자를 나타낸다. 1은 수련, 2는 함련, 3은 경련, 4는 미련이다. 칠언율시의 평측법도 오언율시의 경우와 같다. 그러나 칠언에서는 1구에도 압운하는 것이 원칙이다. 평측법은 다음의 두 가지 정격이 있다.

율시는 중국 시가전통 속에서 고도로 발달된 시가형태로 매우 정제된 미의식을 바탕으로 하고 있다. 그러나 까다로운 여러 가지 법칙 때문에 자유로운 정서의 표출을 방해하는 역작용도 일으키게 되었다. 그리고 이에 따른 많은 부작용과 한계를 노출시키기도 하였다. 이익은 율시의 병통에 대하여 “율시가 생겨나면서부터 시를 짓는 방법이 크게 변하였다.”라고 하였다. 문장의 수식 중에 율시의 가운데에 두 연과 같은 것이 없기 때문에 사람들이 이것에 전심하게 된다고 하였다. 그러나 수미 두 연은 구차하게 메워서 편을 이루는 것을 면하지 못할 뿐이다. 그리고 오로지 “대를 맞추고 평측을 고르는 데에 힘을 다하다 보니 지취를 자연적으로 잃어버리게 되었다.”라고 하였다. 이익은 지나치게 형식미를 추구하는 경향을 지적하였다. 그리고 시의 내용까지도 형식에 매몰되는 결과를 초래하였던 후대의 병통을 말하였다.

참고문헌

『성호사설(星湖僿說)』
『문장변체(文章辨體)』(오눌)
『문체명변(文體明辨)』(서사증)
『중국문학개론』(김학주, 신아사, 1977)
『한문학개론』(이종찬, 이우출판사, 1981)
주석
주1

한시에서, 시구를 구성하는 방법. 기는 시를 시작하는 부분, 승은 그것을 이어받아 전개하는 부분, 전은 시의를 한 번 돌리어 전환하는 부분, 결은 전체 시의(詩意)를 끝맺는 부분이다. 절구에서는 제1구가 기, 제2구가 승, 제3구가 전, 제4구가 결이고, 율시에서는 제1구와 제2구가 기, 제3구와 제4구가 승, 제5구와 제6구가 전, 제7구와 제8구가 결이 된다.    우리말샘

집필자
윤호진
    • 본 항목의 내용은 관계 분야 전문가의 추천을 거쳐 선정된 집필자의 학술적 견해로, 한국학중앙연구원의 공식 입장과 다를 수 있습니다.

    •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은 공공저작물로서 공공누리 제도에 따라 이용 가능합니다. 백과사전 내용 중 글을 인용하고자 할 때는 '[출처: 항목명 -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과 같이 출처 표기를 하여야 합니다.

    • 단, 미디어 자료는 자유 이용 가능한 자료에 개별적으로 공공누리 표시를 부착하고 있으므로, 이를 확인하신 후 이용하시기 바랍니다.
    미디어ID
    저작권
    촬영지
    주제어
    사진크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