5권 2책. 목활자본. 1928년 아들 용제(龍濟)가 편집, 간행하였다. 권두에 이준섭(李埈燮)의 서문이 있고, 권말에 종제 종후(鍾厚)와 용제의 발문이 있다. 연세대학교 도서관에 있다.
권1·2에 시 178수, 서(書) 19편, 권3·4에 기(記) 1편, 서(序) 6편, 발(跋) 5편, 변(辨) 1편, 설(說) 1편, 명(銘) 2편, 잠(箴) 1편, 제문 3편, 묘지명 2편, 행장 6편, 만록 1편, 권5에 부록으로 증시 8수, 만사 13수, 제문 2편, 행장·묘갈명·유사 각 1편 등이 수록되어 있다.
서(書)의 「상연재선생(上淵齋先生)」은 스승인 송병선(宋秉璿)에게 보낸 것으로 상례에 관한 문목(問目)이 있으며, 「상심석재선생(上心石齋先生)」은 송병순(宋秉珣)에게 보낸 것으로 『대학』의 경의(經義)와 성리학에 관한 문제를 질문하였다.
「공이단변(攻異端辨)」은 예수교의 성행을 우려하면서 이것은 양주(楊朱)·묵적(墨翟)이나 도교·불교보다도 몇 배나 더 심한 해독이 있으므로 단호히 배격하여야 한다고 주장하였다.
「독서설(讀書說)」은 독서하는 순서와 방법을 말한 것으로, 『중용』과 『대학』이 학문의 기본이 됨을 강조하고 학문의 목적이 도를 밝히는 데 있다고 하였다. 「만록」은 수신(修身)·함양(涵養)과 이기(理氣), 성명(性命) 등 자신의 학문과 사상에 관하여 수록한 것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