인선수덕가 ()

용암유사 권14 / 인선수덕가
용암유사 권14 / 인선수덕가
고전시가
작품
작자 · 연대 미상의 동학가사(東學歌辭).
• 본 항목의 내용은 해당 분야 전문가의 추천을 통해 선정된 집필자의 학술적 견해로 한국학중앙연구원의 공식입장과 다를 수 있습니다.
정의
작자 · 연대 미상의 동학가사(東學歌辭).
구성 및 형식

1932년경상북도 상주의 동학본부에서 김주희(金周熙)에 의하여 간행된 목판본 『용담유사(龍潭遺詞)』 권14에 실려 있다. 분량은 2율각 1구로 887구이며, 율조는 4·4조가 주조를 이루고 있는데, 전체적인 율조는 귀글체가 많이 파괴되어 난삽하고 산만하다.

내용

내용은 “어화세상(御化世上) 만은 사ᄅᆞᆷ/무사(無事)ᄒᆞᆫ 태내(台內) 사ᄅᆞᆷ/자세(仔細) 아지 못하나마”로 시작하여 “부야흥야(賦也興也) 지은 노ᄅᆡ/숙독상미(熟讀詳味) 하여서루/경천순천(敬天順天) 하여 ᄂᆡ여/인선지심(仁善之心) 주장(主張)하면/자연(自然) 창덕(唱德) 되ᄂᆞᆫ 게니/만코 만은 세상(世上) 사ᄅᆞᆷ/잇지 안코 시행(施行)할가.”로 끝맺고 있다.

의의와 평가

이 작품은 유학·불교·선교(仙敎)의 가르침을 고루 취한 삼합도(三合道)의 사상을 바탕으로 하고 있으나, 결론은 경천(敬天)·수덕(修德)의 교훈을 잘 지켜 인선지심을 행동으로 실천하면 저절로 창덕(昌德)될 것이니, 꼭 실천하라고 권하고 있다.

참고문헌

『동학가사(東學歌辭)』Ⅰ(한국정신문화연구원, 1979)
「동학가사(東學歌辭)의 문학사적위상(文學史的位相)」(조재훈, 『자산이상비박사화갑기념논총, 국문학의 사적조명』, 계명문화사, 1992)
「동학가사에 나타난 민간신앙적 요소의 의미」(윤석산, 신인간, 한양대학교 신인간사, 1989.7.)
「동학교(東學敎)와 그 가사(歌辭)」(유탁일, 『한국어문논총』, 형설출판사, 1976)
「새로 찾은 동학(東學)노래의 사상적(思想的) 맥락(脈絡)」(하성래, 『문학사상』 32, 1975.5.)
「상주본동학가사(尙州本東學歌辭)에 대하여」(이원주, 계명대학보, 1976.1.13.)
「찾아진 동학가사(東學歌辭) 100여편과 그 책판(冊板)」(유탁일, 부대신문, 1974.11.11.)
관련 미디어 (1)
• 항목 내용은 해당 분야 전문가의 추천을 거쳐 선정된 집필자의 학술적 견해로, 한국학중앙연구원의 공식입장과 다를 수 있습니다.
• 사실과 다른 내용, 주관적 서술 문제 등이 제기된 경우 사실 확인 및 보완 등을 위해 해당 항목 서비스가 임시 중단될 수 있습니다.
•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은 공공저작물로서 공공누리 제도에 따라 이용 가능합니다. 백과사전 내용 중 글을 인용하고자 할 때는
   '[출처: 항목명 -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과 같이 출처 표기를 하여야 합니다.
• 단, 미디어 자료는 자유 이용 가능한 자료에 개별적으로 공공누리 표시를 부착하고 있으므로, 이를 확인하신 후 이용하시기 바랍니다.
미디어ID
저작권
촬영지
주제어
사진크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