일본뇌염 ()

목차
의약학
개념
모기에 의해 전파된 일본뇌염 바이러스에 의해 나타나는 급성 중추 신경계 질환. 뇌염.
이칭
이칭
뇌염
목차
정의
모기에 의해 전파된 일본뇌염 바이러스에 의해 나타나는 급성 중추 신경계 질환. 뇌염.
내용

제3급 법정감염병으로 지정되어 있다. 우리 나라 문헌상의 기록은 오늘날의 질병분류방법과 달라서 그 발생소장(發生消長:발병율의 크고 작음)을 역사적으로 구명하기는 어렵다.

그러나 뇌염과 비슷한 과거의 병명을 들면 시행감기(時行感氣:유행성 감기)·온역(瘟疫:돌림병)을 비롯하여 귀신에 홀렸다는 사수(邪祟)는 물론 어린이들의 경풍(驚風:놀라서 까무러침)에 이르기까지 광범위하다.

우리 나라에서 최초로 기면성뇌염(嗜眠性腦炎:졸음을 수반한 뇌염)이 보고된 것은 1926년으로 ≪조선의학회지 朝鮮醫學會誌≫에 임명재(任明宰) 등이 보고한 <기면성뇌염의 3례>를 들 수 있다. 또 1926년에 일본인 이마노(今野)는 ≪군의단지 軍醫團誌≫에 <기면성유행성뇌염의 2례>를 보고한 일도 있다.

그러나 1930년대 이후에는 이와 같은 보고가 자취를 감추어버렸다. 그대신 일본뇌염은 1924년·1927년·1935년·1938년에 대유행을 거쳐 독립된 질환으로 인정받게 되었으며, 많은 사람들의 관심을 불러일으키게 되었다.

지리적으로 이 병의 유행지역을 보면, 우리 나라를 비롯하여 일본·대만·필리핀·중국·만주·시베리아 등이다. 우리 나라에서는 일반적으로 이환연령(罹患年齡:병에 걸리는 나이)이 소아기에 치우쳐 있다.

이와 같은 현상은 어려서 이환하여 성인이 되면 면역을 얻게 되므로 나타난 결과라 보며, 1949년의 유행에서 보면 어린이가 전환자의 60%를 차지하였고 1975년에는 75%로 높았다.

1949년에 이삼열(李三悅) 등이 발표한 <한국에 발생한 유행성뇌염에 관한 연구>의 결과에 따르면, 일반주민은 물론 우리 나라의 말과 돼지·소의 혈액 중에 높은 면역체를 보유하고 있음을 알 수 있다.

유행계절을 보면, 대개 7월 말이나 8월 초에 환자발생이 가장 많고, 9월이나 10월 초에는 발생이 끝났으며, 가장 많이 발생하는 연령층은 4∼8세였고, 남녀간의 차이는 2:1로 남자에게 많이 발생하여왔다.

환자가 많이 발생하는 지역을 보면 1949년의 전국적인 대유행 이후 1955년 이후에는 전라남북도와 경상남북도의 4개 도에서 집중적으로 많이 발생하였다.

대개는 3년을 주기로 하여 큰 유행이 반복되었고 10년 간격으로 대유행이 있었다. 우리 나라는 일본과 함께 1925년·1939년·1948년에 대유행이 거듭되었으나 1959년 이후에는 이와 같은 경향이 차차 사라지고 있다.

이 병은 후유증이 심하고 소나 말 같은 가축에도 발생하며 모기에 의하여 전염되므로 쉽게 근절하기 어려웠으나, 근래 예방주사의 도입과 환경위생의 개선에 힘입어 거의 발생하지 않고 있다.

참고문헌

『嗜眠性腦炎の三例』(水鳥·任明宰·志田, 『朝鮮醫學會誌』, 1926)
『1949년 유행한 뇌염의 임상적 관찰』(전종휘, 경남의사회, 1952)
집필자
허정
    • 본 항목의 내용은 관계 분야 전문가의 추천을 거쳐 선정된 집필자의 학술적 견해로, 한국학중앙연구원의 공식 입장과 다를 수 있습니다.

    •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은 공공저작물로서 공공누리 제도에 따라 이용 가능합니다. 백과사전 내용 중 글을 인용하고자 할 때는 '[출처: 항목명 -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과 같이 출처 표기를 하여야 합니다.

    • 단, 미디어 자료는 자유 이용 가능한 자료에 개별적으로 공공누리 표시를 부착하고 있으므로, 이를 확인하신 후 이용하시기 바랍니다.
    미디어ID
    저작권
    촬영지
    주제어
    사진크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