잔무늬 거울

목차
관련 정보
화순 대곡리 청동기 일괄 중 정문경
화순 대곡리 청동기 일괄 중 정문경
선사문화
유물
뒷면의 장식이 세모, 네모꼴, 둥근 무늬 등의 가는 선으로 이루어진 청동기시대 후기 또는 초기 철기시대의 청동제 거울.
이칭
이칭
다뉴세문경
목차
정의
뒷면의 장식이 세모, 네모꼴, 둥근 무늬 등의 가는 선으로 이루어진 청동기시대 후기 또는 초기 철기시대의 청동제 거울.
개설

다뉴세문경(多鈕細文鏡)이라고도 한다. 거울면이 약간 오목하며 뒷면에는 기하학적인 무늬가 새겨져 있고 주연(周緣)에는 단면 반원형의 테두리가 돌고 있다. 가운데에서 약간 치우쳐 허리가 오목한 리본모양의 고리가 2, 3개 붙어 있다.

내용

청동기시대 전기에 사용되었던 거친무늬거울[粗文鏡]의 무늬에 비해 기하학적인 무늬가 다양해지고 무늬가 섬세해지므로 잔무늬거울이라 한다. 대개 한국식 동검 후기형식과 동과(銅戈)·동모(銅矛)·방울류 등과 반출되는 예가 많아 늦은 시기에 유행한 것으로 볼 수 있다.

현재까지 발견된 유물은 약 20점에 달한다. 한반도에서는 평안북도와 함경도지방에서는 보이지 않고, 대동강유역·강원도지방·금강유역·전라남도지역·경주지역에서 많이 출토되었다.

또한 일본의 구주(九州)·나라(奈良)지방에서도 발견되어 거친무늬거울보다 분포지역이 전체적으로 남하하고 있다. 유적은 대부분이 확인되지 않았으나 돌널무덤 또는 토광묘계통으로 알려져 있다.

동질은 은백색이 나는 백동(白銅)으로서 양호하며, 크기는 지름이 8∼21㎝에 이르기까지 다양하나 대개 12∼13㎝ 내외가 대부분이다. 전라남도 영암에서 발견된 석제 거푸집은 잔무늬거울의 특징이 모두 구비되었으나 무늬가 없다.

정밀한 무늬를 제작하는데는 석제 거푸집으로는 불가능해 밀랍으로 원형을 만들고 진흙으로 틀을 만든 이범(泥範)을 사용했을 것으로 추측되나 유물로 발견된 것은 없다. 구도는 뒷면의 기하학적인 무늬로 보아 외구(外區)·중구(中區)·내구(內區)의 3구로 나뉜다.

외구는 평행선으로 채워진 톱날무늬를 서로 반대방향으로 배치한 대향(對向)삼각열대가 일반적이다. 그러나 중간중간에 원 8개를 배치한 것도 있고, 또 복잡한 세선문대(帶)로 구획하기도 하였다.

중구는 외구와 내구를 각각 몇 개의 동심원문으로 구분하고, 평행선으로 채워진 둔각삼각형띠, 또는 교차하는 사선문띠, 기타 동심원을 구획해 방사선띠와 무문띠를 교대로 배치한 무늬띠로 채웠다.

내구는 세로·가로로 선을 그어 이루어진 사각형을 대각선으로 구획하고 서로 방향이 다른 평행선으로 채운 것이 일반적인 형태이다.

1971년 국보로 지정된 정문경(잔무늬거울)은 크기도 가장 크며 무늬도 가장 섬세한 완성형이다. 잔무늬거울은 청동기시대 전기의 거친무늬거울이 발전된 형태로서, 서기 전후에 이르기까지 사용된 듯하며 철기의 전래·확산과 더불어 소멸하였다.

참고문헌

『한국청동기문화의 연구』(임병태, 학연문화사, 1996)
「한국청동유물의 연구」(윤무병, 『백산학보』 12, 1972)
「多鈕鏡の硏究」(宇野隆夫, 『史林』 60-1, 1977)
집필자
이강승
    • 본 항목의 내용은 관계 분야 전문가의 추천을 거쳐 선정된 집필자의 학술적 견해로, 한국학중앙연구원의 공식 입장과 다를 수 있습니다.

    •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은 공공저작물로서 공공누리 제도에 따라 이용 가능합니다. 백과사전 내용 중 글을 인용하고자 할 때는 '[출처: 항목명 -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과 같이 출처 표기를 하여야 합니다.

    • 단, 미디어 자료는 자유 이용 가능한 자료에 개별적으로 공공누리 표시를 부착하고 있으므로, 이를 확인하신 후 이용하시기 바랍니다.
    미디어ID
    저작권
    촬영지
    주제어
    사진크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