적의 ()

적의
적의
고전시가
문헌
조선 후기의 무신, 이용의 「북정록」 · 「서행록」 · 「북정가」 등을 수록한 시문집.
• 본 항목의 내용은 해당 분야 전문가의 추천을 통해 선정된 집필자의 학술적 견해로 한국학중앙연구원의 공식입장과 다를 수 있습니다.
정의
조선 후기의 무신, 이용의 「북정록」 · 「서행록」 · 「북정가」 등을 수록한 시문집.
서지석 사항

1권(56장). 한문 필사본.

표지에는 ‘適宜(적의)’라는 책이름과 함께 “甲子九月至丁酉夏(갑자구월 지정유하)”라는 간기가 적혀 있다. 표지 안쪽에는 ‘北征錄(북정록)’이라는 본문 제목 밑에 국립중앙도서관 등록인과 ‘漢城禮信文庫(한성예신문고)’ 도장, 그리고 저자 ‘完山人李溶(완산인 이용)’과 그의 자(字)인 ‘溶止(용지 : 이용의 자)’라는 도장이 찍혀 있다.

간기로 보아 1744년(영조 27) 9월부터 1777년(정조 1) 4월까지의 기록임을 알 수 있다.

내용

이 책의 내용은 제1엽에서부터 39엽 전면까지 「북정록」이 실려 있으며, 제39엽 후면부터 47엽 후면까지 「서행록(西行錄)」이 실려 있다. 48엽 전면부터 54엽 전면까지는 국한문 혼용의 국문가사 「북정가」와 그 끝에 작자의 호 ‘회은(晦隱)’에 대한 해설인 한문 수필 「회설(晦說)」이 54엽 후면까지 실려 있다.

「북정록」은 지은이가 본 시 짓기의 어려움과 북관지방에서 인연을 맺었던 평사(評事)와 원(員)들과 방백(方伯)과 그 고장으로 유배 온 적객(謫客)들과 주로 받은 시들이다. 「서행록」은 병신(丙申, 1776년)) 10월부터 이듬해인 정유(丁酉, 1777년) 3월까지 안주를 향하여 가면서 보고들은 견문과 노정(路程)을 시로 지어서 표현한 것이다.

「북정가」는 지은이가 문사(文士)가 될 것을 꿈꾸었으나, 뜻대로 되지 않아서 무관이 되어 관북지방을 옮겨 다니며 구경한 내용을 노래한 관북(關北)유람의 기행가사이다.

의의와 평가

이 책은 과거 조선시대 유배지로 유명하였던 관북지방 문화와 풍속을 이해하는 데 도움이 되는 자료로서 가치가 있다. 국립중앙도서관에 소장되어 있다.

참고문헌

『기행가사자료집』 1(최강현, 국학자료원, 1996)
「북정가소고(北征歌小考)」(최강현, 『어문논집』 1, 고려대학교, 1966)
관련 미디어 (2)
• 항목 내용은 해당 분야 전문가의 추천을 거쳐 선정된 집필자의 학술적 견해로, 한국학중앙연구원의 공식입장과 다를 수 있습니다.
• 사실과 다른 내용, 주관적 서술 문제 등이 제기된 경우 사실 확인 및 보완 등을 위해 해당 항목 서비스가 임시 중단될 수 있습니다.
•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은 공공저작물로서 공공누리 제도에 따라 이용 가능합니다. 백과사전 내용 중 글을 인용하고자 할 때는
   '[출처: 항목명 -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과 같이 출처 표기를 하여야 합니다.
• 단, 미디어 자료는 자유 이용 가능한 자료에 개별적으로 공공누리 표시를 부착하고 있으므로, 이를 확인하신 후 이용하시기 바랍니다.
미디어ID
저작권
촬영지
주제어
사진크기